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0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ex culture of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mothers/friends/partners as exogenous variables, sexual attitude as a mediator variable, and sexual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irst, sexual double standard was found not to affect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econ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no effect on sexual attitude, while sex communication with mothers negatively affected sexual attitude. However, sexual communication with mothers did not affect the individual’s direct sexual behavior. Third,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with no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 Fourth, sex communication between part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s, but in the process, sexual attitude had no mediating effect. Therefore, we discussed the need for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sexual communication skills.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ex culture of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ex culture of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mothers/friends/partners as exogenous variables, sexual attitude as a mediator variable, and sexual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irst, sexual double standard was found not to affect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econ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no effect on sexual attitude, while sex communication with mothers negatively affected sexual attitude. However, sexual communication with mothers did not affect the individual’s direct sexual behavior. Third,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with no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 Fourth, sex communication between part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s, but in the process, sexual attitude had no mediating effect. Therefore, we discussed the need for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sexual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숙,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인터넷 중독 및 성태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8 (8): 1137-1149, 2007

      2 김희은, "임부 부부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가 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3 (23): 201-209, 2017

      3 김윤정, "부모의 성교육이 청소년들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2 (12): 235-253, 2005

      4 김은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감독과 청소년들의 위험 성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263-278, 2019

      5 김흥규, "대학생의 심리적 성숙 변인과 성태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403-422, 2003

      6 장순복, "대학생의 성적(性的)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3 (33): 339-346, 2003

      7 박지현, "대학생의 성 행동에 관한 연구 -부모와의 의사소통 특성과 대학생의 성태도 및 성에 관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75-101, 2005

      8 이주연, "대학생의 개인 심리적 특성변인과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49-172, 2005

      9 김연제, "간호사관생도의 성지식, 성태도, 양성평등의식과 성적 자율성의 관계" 군건강정책연구소 34 (34): 103-115, 2016

      10 Choi, I. S., "Validity of the Hendrick Multidimensionality Sexual Attitud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1 김성숙,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인터넷 중독 및 성태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8 (8): 1137-1149, 2007

      2 김희은, "임부 부부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가 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3 (23): 201-209, 2017

      3 김윤정, "부모의 성교육이 청소년들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2 (12): 235-253, 2005

      4 김은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감독과 청소년들의 위험 성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263-278, 2019

      5 김흥규, "대학생의 심리적 성숙 변인과 성태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403-422, 2003

      6 장순복, "대학생의 성적(性的)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3 (33): 339-346, 2003

      7 박지현, "대학생의 성 행동에 관한 연구 -부모와의 의사소통 특성과 대학생의 성태도 및 성에 관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75-101, 2005

      8 이주연, "대학생의 개인 심리적 특성변인과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49-172, 2005

      9 김연제, "간호사관생도의 성지식, 성태도, 양성평등의식과 성적 자율성의 관계" 군건강정책연구소 34 (34): 103-115, 2016

      10 Choi, I. S., "Validity of the Hendrick Multidimensionality Sexual Attitud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11 Wang, B., "The influence of parental monitoring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Bahamian adolescent risk involvement" 97 : 161-169, 2013

      12 Kim, Y. S., "The Importance do the Communication of Sex with friends" Korea University 2007

      13 Kim, Y. G.,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xual Double Standard, Sexual Subjectivity, Sexual Meaning on their Sexual Behaviors" Myongji University 2011

      14 Nam, Y. J., "Sexual meaning type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 Seoul University 2003

      15 Woo, G. H.,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16 Aspy, C. B., "Parental communication and youth sexual behavior" 30 : 449-466, 2007

      17 Whitaker D. J., "Parent-adolescent discussions about sex and condoms : Impact on peer influences of sexual risk behavior" 15 (15): 251-273, 2000

      18 Erickson, E. H., "Norton. Identity" Youth, and Crisis 1968

      19 Cho, S. H., "A study on Sexual Behavior University Study Students who Experience Dating" Myongji University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