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antilever-Type Traction Appliance for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s with Eruption Disturbances = 하악 제1대구치 맹출 장애에서 Cantilever-Type의 견인 장치를 활용한 맹출 유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7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정원,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대한소아치과학회 37 (37): 130-135, 2010

      2 조완선, "소아∙청소년 환자의 매복치 특성과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306-313, 2014

      3 박정아, "복잡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대한소아치과학회 34 (34): 651-657, 2007

      4 서희원,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대한소아치과학회 45 (45): 464-473, 2018

      5 김소현,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 양상과 역학적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3 (43): 51-59, 2016

      6 Kim YJ, "Treatment of Permanent First Molar by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24 : 771-775, 1997

      7 Baccetti T, "Tooth anomalies associated with failure of eruption of first and second permanent molars" 118 : 608-610, 2000

      8 Romeo DA, "Tip-back mechanics" 72 : 414-421, 1977

      9 Laskin D, "Textbook and color atlas of tooth impaction;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Munksgaard 1997

      10 Johnson JV, "Surgical repositioning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teeth" 91 : 242-251, 1987

      1 소정원,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대한소아치과학회 37 (37): 130-135, 2010

      2 조완선, "소아∙청소년 환자의 매복치 특성과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41 (41): 306-313, 2014

      3 박정아, "복잡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대한소아치과학회 34 (34): 651-657, 2007

      4 서희원,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대한소아치과학회 45 (45): 464-473, 2018

      5 김소현,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 양상과 역학적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 43 (43): 51-59, 2016

      6 Kim YJ, "Treatment of Permanent First Molar by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24 : 771-775, 1997

      7 Baccetti T, "Tooth anomalies associated with failure of eruption of first and second permanent molars" 118 : 608-610, 2000

      8 Romeo DA, "Tip-back mechanics" 72 : 414-421, 1977

      9 Laskin D, "Textbook and color atlas of tooth impaction;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Munksgaard 1997

      10 Johnson JV, "Surgical repositioning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teeth" 91 : 242-251, 1987

      11 Kokich V, "Surgical and orthodontic management of impacted teeth" 37 : 181-204, 1993

      12 Nielsen SH, "Primary retention of first permanent mandibular molars in 29 subjects" 28 : 529-534, 2006

      13 Proffit WR, "Primary failure of eruption : a possible cause of posterior open-bite" 80 : 173-190, 1981

      14 Adigüzel Ö, "Patient-specific factors in the proximity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to the tooth apex" 17 : e1103-, 2012

      15 지명관, "Orthodontic Traction and Decompression Method in Treating Impacted Permanent Mandibular First Molars : Case Reports" 대한소아치과학회 42 (42): 257-263, 2015

      16 장윤형,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교정치료 증례" 대한소아치과학회 37 (37): 246-251, 2010

      17 Ryu HS, "Management of impacted teeth by autotransplantation in children" 27 : 564-572, 2000

      18 Hegde S, "Management of an impacted, dilacerated mandibular left permanent first molar : A case report" 32 : 235-237, 2001

      19 Kennedy DB, "Management of an ectopically erupting permanent mandibular molar : a case report" 30 : 63-65, 2008

      20 Boshart BF, "Loaddeflection rate measurements of activated open and closed coil springs" 60 : 27-32, 1990

      21 Park YH, "Fine structures of physiologic and pathologic root resorption surfaces of deciduous teeth" 27 : 524-534, 2000

      22 Raghoebar G, "Eruption disturbances of permanent molars : a review" 20 : 159-166, 1991

      23 Becker A, "Early treatment for impacted maxillary incisors" 121 : 586-587, 2002

      24 Nakano K, "Delayed development or congenital absence of a single first permanent molar in Japanese child patients" 9 : 271-276, 1999

      25 Messer LB, "Ankylosed primary molars : results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from an eight-year longitudinal study" 2 : 37-47,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