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인터넷 윤리는 단순히 도덕적 이해, 예의에 대한 지식 혹은 상식의 일종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저작권 침해, 해킹을 동반한 악성코드와 같은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72452
2013
Korean
028.6
KCI등재
학술저널
71-78(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인터넷 윤리는 단순히 도덕적 이해, 예의에 대한 지식 혹은 상식의 일종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저작권 침해, 해킹을 동반한 악성코드와 같은 인...
지금까지 인터넷 윤리는 단순히 도덕적 이해, 예의에 대한 지식 혹은 상식의 일종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개인정보의 불법유출, 저작권 침해, 해킹을 동반한 악성코드와 같은 인터넷 역기능이 급증함에 따라 인터넷 윤리의 범주가 불가피하게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터넷 윤리의 교육 내용은 법과 제도뿐만 아니라 인터넷 윤리의 예방과 대응에 관한 전문 지식을 포함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윤리 자격 시험을 살펴봄으로써 인터넷 윤리의 다양한 범주에 걸쳐 교육 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분석하고 인터넷 윤리를 강화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net ethics has been simply recognized as moral understanding, knowledge of etiquette or a kind of common sense. Recently, however, rapid growth of internet dysfunction such as the inadvertent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f co...
Internet ethics has been simply recognized as moral understanding, knowledge of etiquette or a kind of common sense. Recently, however, rapid growth of internet dysfunction such as the inadvertent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malicious code with hacking, has unavoidably broadened the territory of internet ethics. In this light, education contents of internet ethics must include not only laws and systems but specialized knowledge on prevention and action of internet dysfunc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n diverse domains of internet ethics by investigating internet ethics qualifying examination and afterward we suggest some application methods to strengthen the internet ethic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저작권위원회저작권통계 제1권 제1호" 문화체육관광부 2012
2 "한국저작권위원회"
3 "인터넷중독대응센터"
4 행정안전부,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5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인터넷 윤리 창간 1호"
6 정진욱, "인터넷 윤리 : 불의 선물" 생능출판사 2012
7 인터넷 윤리실천협의회, "인터넷 윤리" 이한미디어 2012
8 권정인,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1-10, 2011
9 "사이버테러대응센터"
10 백승익, "사이버 윤리지표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14 (14): 85-101, 2007
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저작권위원회저작권통계 제1권 제1호" 문화체육관광부 2012
2 "한국저작권위원회"
3 "인터넷중독대응센터"
4 행정안전부,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5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인터넷 윤리 창간 1호"
6 정진욱, "인터넷 윤리 : 불의 선물" 생능출판사 2012
7 인터넷 윤리실천협의회, "인터넷 윤리" 이한미디어 2012
8 권정인,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1-10, 2011
9 "사이버테러대응센터"
10 백승익, "사이버 윤리지표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14 (14): 85-101, 2007
11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대학생 인터넷 윤리 소양시험 시범실시 연구 보고서" 정보통신윤리위원회 2006
12 Livingstone, S., "Media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2010
13 Williamson, S.,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the Internet :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Using the Multidimensional Ethics Scale" 1 (1): 128-143, 2011
컴퓨터교과교육 :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과교육 :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컴퓨터 운영체제 실습 수업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컴퓨터교과교육 : Hands on 센서 기반 고도화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컴퓨터활용교육 : 초등학교 나이스 방과후학교 시스템의 효과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7 | 1.67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42 | 2.251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