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13
2 김광순,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박문사 2017
3 문금현,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63-92, 2004
4 박진호,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402-445, 2017
5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97-126,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광순, "친족어의 호칭어로서 확장‧사용 양상 - {형}, {누나}, {오빠}, {언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8 : 175-201, 2015
8 안세근,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저씨-아주머니 이미지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7-225, 2009
9 김태기, "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 : 163-193, 1986
10 조남민, "여성 호칭어 ‘아주머니’ 계열 어휘의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45) : 497-533, 2009
1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13
2 김광순,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박문사 2017
3 문금현,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63-92, 2004
4 박진호,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402-445, 2017
5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97-126,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광순, "친족어의 호칭어로서 확장‧사용 양상 - {형}, {누나}, {오빠}, {언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8 : 175-201, 2015
8 안세근,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저씨-아주머니 이미지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7-225, 2009
9 김태기, "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 : 163-193, 1986
10 조남민, "여성 호칭어 ‘아주머니’ 계열 어휘의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45) : 497-533, 2009
11 김재선, "국어 친족 호칭의 의미·화용적 특성에 대한 연구 : '아줌마/아주머니' , '이모' , '언니' , '아가씨'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박근영, "‘이’,‘그’,‘저(뎌)’의 의미 기능 변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 (2): 65-93, 2006
13 최희정, "'아줌마'와 '아주머니'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