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친족어 {아저씨}, {아주머니}·{아줌마}의 비친족어로서의 확장·사용 양상 = The Aspect of Extension and Use of Kinship Terms of Address- in the Center of {Uncle}, {Au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6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3-1, 1-20.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s that the kinship terms of {uncle}, {aunt} are expanded and used as non-kinship terms. In the「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the basic meanings of the two lexical units are arranged in kinship terms and are not treated as important in the expanded meaning used in non-kinship. However, in the actual language life, both lexical units are actively used as non-kinship terms, and the pattern of usage as kinship terms is greatly reduced. Thus, the aspect in that the kinship terms are expanded and used as non-kinship term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ch is also active in other kinship terms. In this paper, I try to identify the specific attributes that are used and expanded based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two lexical units in real language lif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aspects that {uncle}, {aunt} is being used in actual language life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their forms and meanings, especially, since the two lexical units are used as the reference terms and address te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sers and subjects will be investigated, and since the background of the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 will look at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it
      번역하기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3-1, 1-20.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s that the kinship terms of {uncle}, {aunt} are expanded and used as non-kinship terms. In the「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the basic meanings of the two lexical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3-1, 1-20.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s that the kinship terms of {uncle}, {aunt} are expanded and used as non-kinship terms. In the「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the basic meanings of the two lexical units are arranged in kinship terms and are not treated as important in the expanded meaning used in non-kinship. However, in the actual language life, both lexical units are actively used as non-kinship terms, and the pattern of usage as kinship terms is greatly reduced. Thus, the aspect in that the kinship terms are expanded and used as non-kinship term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ch is also active in other kinship terms. In this paper, I try to identify the specific attributes that are used and expanded based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two lexical units in real language lif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aspects that {uncle}, {aunt} is being used in actual language life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of their forms and meanings, especially, since the two lexical units are used as the reference terms and address te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sers and subjects will be investigated, and since the background of the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 will look at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13

      2 김광순,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박문사 2017

      3 문금현,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63-92, 2004

      4 박진호,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402-445, 2017

      5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97-126,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광순, "친족어의 호칭어로서 확장‧사용 양상 - {형}, {누나}, {오빠}, {언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8 : 175-201, 2015

      8 안세근,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저씨-아주머니 이미지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7-225, 2009

      9 김태기, "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 : 163-193, 1986

      10 조남민, "여성 호칭어 ‘아주머니’ 계열 어휘의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45) : 497-533, 2009

      1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2013

      2 김광순,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박문사 2017

      3 문금현,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63-92, 2004

      4 박진호,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402-445, 2017

      5 왕한석,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97-126, 200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광순, "친족어의 호칭어로서 확장‧사용 양상 - {형}, {누나}, {오빠}, {언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48 : 175-201, 2015

      8 안세근,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저씨-아주머니 이미지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07-225, 2009

      9 김태기, "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5 : 163-193, 1986

      10 조남민, "여성 호칭어 ‘아주머니’ 계열 어휘의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배달말학회 (45) : 497-533, 2009

      11 김재선, "국어 친족 호칭의 의미·화용적 특성에 대한 연구 : '아줌마/아주머니' , '이모' , '언니' , '아가씨'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박근영, "‘이’,‘그’,‘저(뎌)’의 의미 기능 변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 (2): 65-93, 2006

      13 최희정, "'아줌마'와 '아주머니'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 한국언어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임홍빈)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 1.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