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점 발화시 한국인 화자와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포먼트 실현 = A Study of the vowel formants in focused Korean words by native Korean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5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spoken by Japanese learners in focused word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by Japanese with those by Korean native speakers. The data are eight Korean vowels without focus and same vowels with focus. In this study,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were measured by WaveSur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or the Koreans, the F1 rising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mouth opening at the lips, was gett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focused vowel. That is, the lower the vowels are, the higher F1 rising ratio are. However, F2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frontness of the tongue, was not affected by the focus at all. For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F1 of a focused vowel was getting higher in the rising ratio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tatistics, and F2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As a result, F1 was the one that shows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in focused wor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spoken by Japanese learners in focused word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by Japanese with those by Korean native speake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spoken by Japanese learners in focused word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vowels by Japanese with those by Korean native speakers. The data are eight Korean vowels without focus and same vowels with focus. In this study,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were measured by WaveSurf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or the Koreans, the F1 rising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mouth opening at the lips, was gett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focused vowel. That is, the lower the vowels are, the higher F1 rising ratio are. However, F2 ratio of focused vowels,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frontness of the tongue, was not affected by the focus at all. For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F1 of a focused vowel was getting higher in the rising ratio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tatistics, and F2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As a result, F1 was the one that shows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in focused wor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의 어휘 대조 초점과 음소 대조 초점의 실현 양상" 2006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3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에 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포먼트값 대조 분석" 한국음향학회 제17권 1호 403-408, 1988

      4 이숙향,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대한음성학회 (55) : 59-74, 2005

      5 이재강, "한국어 모음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조연구" 한국언어학회 (제22호) : 347-369, 1998

      6 성철재,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제23권 (제23권): 454-461, 2004

      7 "표준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구" (제33~34호) : 111-125, 1997

      8 "일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 분석: L1과 L2 발음체계 차이에서 기인한 오류를 중심으로" 2003

      9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 제11권 (제11권): 69-81, 2004

      10 우인혜, "일본인 학습자가 곤란을 겪는 한국어음" 287-295, 2001

      1 "한국어의 어휘 대조 초점과 음소 대조 초점의 실현 양상" 2006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3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에 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포먼트값 대조 분석" 한국음향학회 제17권 1호 403-408, 1988

      4 이숙향,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대한음성학회 (55) : 59-74, 2005

      5 이재강, "한국어 모음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조연구" 한국언어학회 (제22호) : 347-369, 1998

      6 성철재,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제23권 (제23권): 454-461, 2004

      7 "표준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구" (제33~34호) : 111-125, 1997

      8 "일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 분석: L1과 L2 발음체계 차이에서 기인한 오류를 중심으로" 2003

      9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 제11권 (제11권): 69-81, 2004

      10 우인혜, "일본인 학습자가 곤란을 겪는 한국어음" 287-295, 2001

      11 이윤희,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2002

      12 이용주, "발화속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향적 특성" 제25권 (제25권): 1503-1512, 1998

      13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음성학,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0

      14 장혜진,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대한음성학회 (57) : 15-30, 2006

      15 배주채, "국어 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1996

      16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1968

      17 "Suprasegmentals" 1970

      18 "Spectrographic Study of Vowel Reduction" 35 : 1773-1781, 1963

      19 "Sentence stress and syntactic transformations" 47 : 257-281, 1971

      20 "Semantic Interpretation in Generative Grammar" MIT Press 1972

      21 "Intonation and grammar in British English" 1967

      22 Oh, M, "Focus and Prosodic Structure" 8 (8): 21-32, 2001

      23 "Effect of speaking rate on diphthong formant movement" 44 : 1570-1573, 1968

      24 Susan F, "Aspects of English Sentence Stres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6

      25 이규식, "3-5세 아동의 한국어 기본모음 음형대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과학회 제24권 (제24권): 139-14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Phonology-Morphology Circle of Kore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음성음운형태론연구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1.18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