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웰다잉, 아름다운 마침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복합적일 수 있다.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면 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10주간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 100분씩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실시하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2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1기 22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1월 16일 부터 3월 26일까지, 2기 16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교육을 실시했다. 10주간 이루어진 강의주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존엄한 죽음을 위한 3가지 대안, 죽음 끝이 아니다(I, II), 호스피스(I, II), 죽음의 9가지 유형(I, II, III),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다음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 점수를 교육 실시 전 점수와 t-test로 검정한 결과, 교육실시 이후에는 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태도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모두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계층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면,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반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복합적일 수 있다.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면 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10주간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 100분씩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실시하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2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1기 22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1월 16일 부터 3월 26일까지, 2기 16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교육을 실시했다. 10주간 이루어진 강의주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존엄한 죽음을 위한 3가지 대안, 죽음 끝이 아니다(I, II), 호스피스(I, II), 죽음의 9가지 유형(I, II, III),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다음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 점수를 교육 실시 전 점수와 t-test로 검정한 결과, 교육실시 이후에는 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태도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모두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계층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면,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반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II), hospice(I, II), and 9 patterns of death(I, II, III).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scales for Korean elders were employ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1 time per week during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dow 14.0.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Also,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 the base of program developments on death education enhancing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Korean older ad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II), hospice(I, II), and 9 patterns of death(I, II, III).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scales for Korean elders were employ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1 time per week during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dow 14.0.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Also,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 the base of program developments on death education enhancing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Korean older adul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