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설거주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활동을 활용한 AAC 중재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AC intervention Using Community Adapted Activiti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6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AC system was developed to adapt to the community arou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led.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4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d been diagnosed as 1-class handicapped presently living in the facilities and wanted to have a self-reliant life. Pre-, post-, and maintenance tests were performed. In the intervention stage, four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intervention, and pre-, post-test, and maintenance-test were conducted in actual community situa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AAC communication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as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all of the participants maintained their AAC communication behavior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AC intervention using community adaptated activities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actual community situa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AC system was developed to adapt to the community arou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led.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4 peo...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AC system was developed to adapt to the community arou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led.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4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d been diagnosed as 1-class handicapped presently living in the facilities and wanted to have a self-reliant life. Pre-, post-, and maintenance tests were performed. In the intervention stage, four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intervention, and pre-, post-test, and maintenance-test were conducted in actual community situa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AAC communication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as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all of the participants maintained their AAC communication behavior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AC intervention using community adaptated activities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communicative behaviors in the actual community situa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지체장애 성인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AAC 체계를 적용한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여 중재효과와 유지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자립생활을 원하는 1급 지체장애인 4명이다. 사전-사후검사 설계(pre-, post-test design)를 사용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이 참여하게 될 지역사회 장소 4곳을 선정한 활동을 구성하여 중재하였고, 사전검사, 사후검사, 유지검사는 실제 지역사회 상황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적응활동에서 AAC 적용을 통해 대상자의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가 중재 전과 비교했을 때 중재 이후 증가하였다. 둘째, 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이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지역사회 적응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지체장애 성인의 실제 지역사회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지체장애 성인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AAC 체계를 적용한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여 중재효과와 유지효과를 살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지체장애 성인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AAC 체계를 적용한 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여 중재효과와 유지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자립생활을 원하는 1급 지체장애인 4명이다. 사전-사후검사 설계(pre-, post-test design)를 사용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이 참여하게 될 지역사회 장소 4곳을 선정한 활동을 구성하여 중재하였고, 사전검사, 사후검사, 유지검사는 실제 지역사회 상황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적응활동에서 AAC 적용을 통해 대상자의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가 중재 전과 비교했을 때 중재 이후 증가하였다. 둘째, 중재를 통해 습득된 의사소통 행동이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지역사회 적응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지체장애 성인의 실제 지역사회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석정,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6 (16): 81-109, 2017

      2 김민영,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5 (5): 5-36, 2011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9 (9): 114-141, 2005

      5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6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7 Kim, Y. L., "The community activity using AAC" Hakjisa 2016

      8 Sigafoos, J., "Supporting self-determinations by assessing preference for communication devices" 17 (17): 143-153, 2005

      9 "Smart AAC (version 1.0.1) [application]"

      10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 연석정,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6 (16): 81-109, 2017

      2 김민영,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5 (5): 5-36, 2011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9 (9): 114-141, 2005

      5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6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7 Kim, Y. L., "The community activity using AAC" Hakjisa 2016

      8 Sigafoos, J., "Supporting self-determinations by assessing preference for communication devices" 17 (17): 143-153, 2005

      9 "Smart AAC (version 1.0.1) [application]"

      10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1 Park, E. H., "Paradise AAC assessment" Paradise Welfare Foundation 2008

      12 Kim, Y. T., "Korean AAC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rogram" Hakjisa 2016

      13 Kim, Y. T.,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Hakjisa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