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석정,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6 (16): 81-109, 2017
2 김민영,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5 (5): 5-36, 2011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9 (9): 114-141, 2005
5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6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7 Kim, Y. L., "The community activity using AAC" Hakjisa 2016
8 Sigafoos, J., "Supporting self-determinations by assessing preference for communication devices" 17 (17): 143-153, 2005
9 "Smart AAC (version 1.0.1) [application]"
10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 연석정,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6 (16): 81-109, 2017
2 김민영,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5 (5): 5-36, 2011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9 (9): 114-141, 2005
5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6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7 Kim, Y. L., "The community activity using AAC" Hakjisa 2016
8 Sigafoos, J., "Supporting self-determinations by assessing preference for communication devices" 17 (17): 143-153, 2005
9 "Smart AAC (version 1.0.1) [application]"
10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1 Park, E. H., "Paradise AAC assessment" Paradise Welfare Foundation 2008
12 Kim, Y. T., "Korean AAC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rogram" Hakjisa 2016
13 Kim, Y. T.,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Hakjisa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