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ims to present dere as an ‘inference’ evidential marker by verifying that the realization conditions of the particle dere representing conjecture in Manchu coincide with the properties of the ‘inference’ evidential marker in lingu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15139
2021
-
만주어 ; 추측 ; 추론 ; 증거성 ; 주어 제약 ; 1인칭 효과 ; 의지 ; Manchu ; Conjecture ; Inference ; Evidentiality ; dere ; Subject Restriction ; First Person Effect ; Intention
0
KCI등재
학술저널
187-220(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esent dere as an ‘inference’ evidential marker by verifying that the realization conditions of the particle dere representing conjecture in Manchu coincide with the properties of the ‘inference’ evidential marker in lingui...
This paper aims to present dere as an ‘inference’ evidential marker by verifying that the realization conditions of the particle dere representing conjecture in Manchu coincide with the properties of the ‘inference’ evidential marker in linguistic typology. The fact that dere mainly appears in sentences with second and third person subjects is same as the first person subject restriction in languages with indirect evidential markers. Particle dere also shows the ‘first person effect’ which is one of the properties of indirect evidential. In Korean, Chinese, Thai, and Turkish, when a conjecture marker is used with a first person subject, it can show the meaning of intention. When dere is used with the first person subject, it can also show the meaning of intention. In conclusion, I argue that dere should be classified as an inference evidential marker because dere has the universal properties of indirect evidential markers, including inference evidential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송재목, "한국어의 어휘적 증거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2) : 105-131, 2018
3 백대열, "한국어와 터키어의 양태 표현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2017
4 타시프나르 휼리아, "한국어와 터키어의 시간 관련 문법범주 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5 박주연, "한국어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 : 증거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Chuengprempree Arjaree, "한·태 미래 표지에 대한 대조 연구 : '-겠-', '-(으)ㄹ 것이-', จะ 'ca'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송재목,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형태론 9 (9): 1-23, 2007
9 송아명,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추측표현 대조 연구 : '-겠-, -(으)ㄹ 것이다, -ㄴ가/나 보다, -ㄴ/는/ㄹ 것 같다'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10 나진석,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과학사 1971
1 장경희,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탑출판사 1985
2 송재목, "한국어의 어휘적 증거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2) : 105-131, 2018
3 백대열, "한국어와 터키어의 양태 표현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2017
4 타시프나르 휼리아, "한국어와 터키어의 시간 관련 문법범주 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5 박주연, "한국어 추측 표현에 관한 연구 : 증거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Chuengprempree Arjaree, "한·태 미래 표지에 대한 대조 연구 : '-겠-', '-(으)ㄹ 것이-', จะ 'ca'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송재목,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형태론 9 (9): 1-23, 2007
9 송아명,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추측표현 대조 연구 : '-겠-, -(으)ㄹ 것이다, -ㄴ가/나 보다, -ㄴ/는/ㄹ 것 같다'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10 나진석,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과학사 1971
11 송경안, "언어유형론 3" 도서출판 월인 2008
12 박상철, "만주어 문어의 시제와 양상 연구 —"滿文老檔"의 용례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13 성광수, "국어의 추정적 표현" 184 : 1984
14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15 박은용, "滿洲語文語硏究(一)" 螢雪出版社 1969
16 河內良弘, "滿洲語文語入門" 京都大學校學術出版會 2002
17 津曲敏郞, "滿洲語入門20講" 大學書林 2002
18 김주원, "『滿文原檔』에서 『滿文老檔』으로의 내용 변개에 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74 (74): 11-47, 2017
19 최계영, "≪滿文老檔≫ 한·일 번역본의 표기와 번역 차이 : 저본으로 인한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알타이학회 (29) : 115-138, 2019
20 서정수, "‘겠’에 관하여" 2 : 1977
21 임동훈, "‘-겠-’의 용법과 역사적 해석" 37 : 2001
22 Plungian, Vladimir A., "The Place of Evidentiality within the Universal Grammatical Space" 33 : 2001
23 Sun, Jackson T. -S., "The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LXIII Part IV" Academia Sinica 1993
24 Dixon, Robert M. W., "Studies in Evidentialit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3
25 Maslova, Elena S., "Studies in Evidentialit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3
26 Lowe, Ivan, "On the Relation of Formal to Sememic Matrices with Illustrations from Nambiquara" 8 : 1972
27 Gorelova, Liliya M., "Manchu Grammar" Brill 2002
28 Li, Gertraude Roth, "Manchu :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29 Plungian, Vladimir A., "Linguistic Realization of Evidentiality in European Languages" de Gruyter 2010
30 Barnes, Janet, "Evidentials in the Tuyuca Verb" 50 : 1984
31 Aikhenvald, Alexandra Y.,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2 Willett, Thomas, "A Cross-linguistic Survey of the Grammaticization of Evidentiality" 12 (12): 1988
데이터 기반의 고전 읽기 교육 ― 『논어』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 ― 위키 플랫폼과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 편찬
손와(損窩) 최석항(崔錫恒)의 연구시(聯句詩) 연구(硏究) ― 시회(詩會)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심익운(沈翼雲)의 「열성어찰언서발」(列聖御札諺書跋)과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5-01-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 2015-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71 | 0.71 | 0.68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68 | 0.62 | 1.317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