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정임, "함수개념의 이해 촉진을 위한 수업 설계-상황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3 (3): 373-399, 2001
2 박성은, "상황화된 학습과 학습양식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17 (17): 71-93, 2004
3 백성희, "상황학습이론을 활용한 수업 사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11 : 119-130, 2008
4 신수범,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7-56, 2006
5 신수범,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7-56, 2006
6 유숙영, "상황학습의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가능성 탐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1 (21): 211-235, 2006
7 유숙영, "상황학습의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가능성 탐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1 (21): 211-235, 2006
8 이승희, "상황학습 중심의 e-러닝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중국어 학습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53-73, 2006
9 이승희, "상황학습 중심의 e-러닝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중국어 학습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53-73, 2006
10 강희자, "상황학습 이론에 근거한 실과 교수 학습 방안 탐색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1-109, 2004
1 최정임, "함수개념의 이해 촉진을 위한 수업 설계-상황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3 (3): 373-399, 2001
2 박성은, "상황화된 학습과 학습양식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17 (17): 71-93, 2004
3 백성희, "상황학습이론을 활용한 수업 사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11 : 119-130, 2008
4 신수범,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7-56, 2006
5 신수범,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 (9): 47-56, 2006
6 유숙영, "상황학습의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가능성 탐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1 (21): 211-235, 2006
7 유숙영, "상황학습의 실천적 방법으로서의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가능성 탐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1 (21): 211-235, 2006
8 이승희, "상황학습 중심의 e-러닝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중국어 학습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53-73, 2006
9 이승희, "상황학습 중심의 e-러닝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중국어 학습에의 적용가능성"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9 (9): 53-73, 2006
10 강희자, "상황학습 이론에 근거한 실과 교수 학습 방안 탐색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1-109, 2004
11 강희자, "상황학습 이론에 근거한 실과 교수 학습 방안 탐색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1-109, 2004
12 최정임, "상황 학습 이론에 따른 학습 내용의 구성, 교사의 역할, 평가 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회 35 (35): 213-239, 1997
13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07
14 Larkin, J.H., "What Kind of Knowledge Transfers?. in: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Erlbaum 283-305, 1989
15 Aiken, L.R., "Two Scales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44 (44): 67-71, 1974
16 Vygotsky, L.S., "Thinking and Speech" Plenum 1987
17 Park, S.E.,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and Situated Learning on Learning Effects" Yonsei University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17 (17): 71-93, 2004
18 Choi, J.I., "Study on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Role of Teacher and Assesment Principle According to Situated Learning Theory" The Society of Educational Research 35 (35): 213-239, 1997
19 Lave, J., "Situated Learning in Communities of Practice. in: Perspectives on Socially Shared Cognition" American Psychoogical Association 3-82, 1991
20 Brown, J.S.,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18 (18): 32-42, 1989
21 Suchman, L., "Plan and Situated Actions: The Problems of Human Machine Communi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2 Young, M.F., "Instructional Design for Situated Learning" 41 (41): 43-58, 1993
23 Mclellan, H., "Evaluation in a Situated Learning Environment" 33 (33): 39-45, 1993
24 Martin, J.,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25 Park, S.I., "Education Technologic Understanding of Education System" Education Science Book 2007
26 Choi, J.I., "Designing Instructio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Concept: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 (3): 373-399, 2001
27 Lave, J., "Cognition in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8 Baek, S.H., "Cases of Teaching Applied Situated Learning Theory"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11 : 119-130, 2008
29 Perkins, D.N., "Are Cognitive Skills Context-Bound?" 18 (18): 16-25,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