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초부터 라캉은 소위 등록소 이론이라 불리우는 그만의 독특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주창하며 본격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갔다. 라캉의 상상계와 상징계는 비교적 이해하기가 쉽고 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7006720
2002
-
Poe ; 포우 ; Lacan ; 라캉 ; Psychoanalysis ; 정신분석 ; Short Story ; 단편소설 ; The Man of the Crowd ; 『군중인』 ; The Mask of the Red Death ; 『적사병의 가면』 ; The Black Cat ; 『검은 고양이』
800
KCI등재
학술저널
239-258(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대 초부터 라캉은 소위 등록소 이론이라 불리우는 그만의 독특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주창하며 본격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갔다. 라캉의 상상계와 상징계는 비교적 이해하기가 쉽고 또...
1950년대 초부터 라캉은 소위 등록소 이론이라 불리우는 그만의 독특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주창하며 본격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갔다. 라캉의 상상계와 상징계는 비교적 이해하기가 쉽고 또 그동안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실재계는 아직까지도 이 세 개의 등록소 중 가장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남아있으며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여전히 실재계에 대한 설명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있다. 상상계와 상징계만을 선호하며 어럽고 난해한 실재계는 간과해버리는 다소 위험한 비평적 경향은 라캉을 다룬 초기의 유명한 글들의 제목만 보더라도 잘 나타나 있다. 심지어 최근의 라캉 학자들도 라캉 정신분석 이론의 가장 기본이 되는 중심 카테고리로서의 실재계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라캉 자신도 상상계나 상징계에 지해 실재계에 대한 언급은 비교적 적게 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실재계에 대한 비평가들의 이론적 배제는 어느 정도 이해할만한 현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무리 실재계가 정의 내리기 어렵다할지라도 일단 이것이 상상계, 상징계와 함께 세 가지로 이루어진 라캉의 정신분석의 중심 영역과 경험을 구성하는 이상, 실재계를 등한시하는 것은 라캉의 등록소 이론 전체를 왜곡시키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라캉의 실재계를 포우의 대표적 단편소설들, 즉 『군중인』, 『적사병의 가면』, 그리고 『검은 고양이』 등을 통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포우의 텍스트는 실재계의 가장 대표적인 몇몇 특성들을 설명하고 예증할 수 있는 유용한 문학적 실례들을 제공할 것이며, 동시에 라캉의 실재계 이론은 포우의 작품 안에 등장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수수께끼 같은 요소들을 분석하는데 상호 도움을 줄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 부분에서는 라캉의 실재계와 포우 작품이 지니는 독특한 텍스트성 사이의 상호관계를 폴 드만의 수사학적 해체주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계급과 계급 사이: 『제첩공장에서의 삶』에 나타난 노동과 종교와 예술
선정소설에 나타난 전복적 요소들: 『흰옷을 입은 여인』과 『오들리 부인의 비밀』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6-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To 1900 ->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 ![]() |
2008-05-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British and American Novel ->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to 1900 -> The British and American Novel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7 | 0.758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