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적-과업 모형에 따른 운전자 경험 분석 - 행위 모듈 기반의 운전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Driving Experience According to Task-goal Model - Focused on the driving interaction based on the behavior modul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9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일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운전자의 경험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서는 운전행위와 이러한 행위를 유발한 목적...

      최근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일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운전자의 경험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서는 운전행위와 이러한 행위를 유발한 목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자동차 운전이라는 연구 대상의 특수성 때문에, 운전 상황에 관란 실증적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운전자 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과업-목적 기반의 모형을 중심으로 운전 행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운전자 경험을 ``주행``, ``방향 전환``, ``정차``의 운전 행위 모듈로 분류하여 상호 작용측면에서 운전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상황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질적 분석방법인 계층적 과업 분석과 근거이론분석을 바탕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각각의 모듈에서 사용자는 ``주행의 목적``, ``유희적 목적``, ``본능적 기본 욕구 충족 목적``,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적 목적``에 해당하는 행위를 보였다. ``주행`` 모듈에서는``눈으로 외부 상황 인지를 위한 행위``가, ``정차``와 ``방향 전환`` 모듈에서는 ``자동차를 조작하는 행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상적인 운전자 경험에 효과적인 인터렉션 및 인터페이스 요인과 관련한 연구의 바탕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car has provided the space for daily experience as well as movement. To research driving experience, drivers`` behaviors and these goals need to be analyzed. Nevertheless, empirical research are not enough due to the characters of the re...

      Recently, the car has provided the space for daily experience as well as movement. To research driving experience, drivers`` behaviors and these goals need to be analyzed. Nevertheless, empirical research are not enough due to the characters of the research subject, which is the dr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iver``s experiences based on the goal-task model. Concretely, driver``s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ction modules: driving, turning, stop. Next, micro task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ree modules. We conducted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 for skilful drivers. These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task analysis(HTA) and Grounded theor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e purposes of drivers: pure purposes of driving, playful purposes, and visceral primary satisfy purpose. The detailed actions for each goal were varied for each module. The result would be based on later researches about driving experience and intera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