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소련이 해체되기 이전 15공화국에서의 러시아어는 매우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된 이후 러시아어의 위상은 매우 약화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사실은 이들 독립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46422
2006
-
929.005
KCI등재
학술저널
51-71(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구소련이 해체되기 이전 15공화국에서의 러시아어는 매우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된 이후 러시아어의 위상은 매우 약화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사실은 이들 독립 ...
구소련이 해체되기 이전 15공화국에서의 러시아어는 매우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된 이후 러시아어의 위상은 매우 약화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사실은 이들 독립 국가들의 법률에 의해 명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가 법률적 구속에 의하여 하루아침에 그 유용성이 상실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이들 국가들에서의 러시아어 위상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따라서 구소련 해체 후 독립 국가 연합(СНГ)으로 거듭난 11개 국가에서의 러시아어 위상과, СНГ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발트 3국에서의 그것을 살펴본다. 그 결과 이들 국가들에서 법률이 정하는 러시아어의 위상은 제2 국어, 법에 의한 권리 보장, 공식어, 민족 간 의사소통 어 및 소수민족어 등으로 각기 달랐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의 러시아어 위상은 여전히 건재하며 이는 러시아와 이들 국가들 간의 관계 발전 여하에 따라서 예전과 같은 정도의 위상을 회복한다고 보기는 쉽지 않겠으나 국가의 중요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연방 정부 역시해외의 자국 동포의 권익을 보호하고 러시아어의 위상을 높이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들 국가들에서의 러시아어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n language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languages in the world, specially in the previous Republics of USSR. But now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n foreign countries, specially CIS and Baltic 3 states(Estonia, Latvia, Lithuania) in last 10 y...
Russian language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languages in the world, specially in the previous Republics of USSR. But now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n foreign countries, specially CIS and Baltic 3 states(Estonia, Latvia, Lithuania) in last 10 years undertook serious changes, though Russian language is a still, in fact,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in that area. Russian language in Belarus is recognized as the second national language. In Moldavia the status and rights of Russian language is guaranted by the constitution and a law about languages in Moldavia. In Kirghiz it is used by the constitution as a official language and in Kazakhstan its use is officially guaranted by the law. In Turkmenistan and Tajikistan Russian is legally recognized as a language of communication between nations. Russian in Armenia, Georgia and Uzbekistan is a language of a minority race. In Ukraine the right of Russian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is lost and after that for it they don't make special law. As in Ukraine in Azerbaijan there is not a law for Russian language. In 3 Baltic countries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s lower than it CIS. In these countries Russian language is a foreign language, i.e. a language of a minority race. But many people of these countries still actively use the Russian language in life. The weakening of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s much caused by the weake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these countries: CIS and 3 Baltic countries. So the prospect of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will be dependent on their new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now Russian government try to protect their language for enlargement of use of it in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previous Republics of USSR and the rights of their people who live abroad. Eventually Russian language has a good prospec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Языковая политика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06.
2 "Стат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НГ остаётся злободневной проблемой" 2001
3 "Русский язык может получить статус официального во всех странах СНГ" 2003
4 "Правовой статус и реальная потребность в использован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транах СНГ и Прибалтики" 2004
5 "О рол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мире" 2005
6 "О рол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мире" 2005
7 "Вопрос о статусе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транах СНГ и Балтии не является политическим, считают в МИД РФ" 2003
1 "Языковая политика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06.
2 "Стат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НГ остаётся злободневной проблемой" 2001
3 "Русский язык может получить статус официального во всех странах СНГ" 2003
4 "Правовой статус и реальная потребность в использован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транах СНГ и Прибалтики" 2004
5 "О рол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мире" 2005
6 "О рол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мире" 2005
7 "Вопрос о статусе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транах СНГ и Балтии не является политическим, считают в МИД РФ" 2003
Discourse of Caucasian Captives Focusing on V.Makanin
Auf nach Ungarn! – Der Puszta wege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 |
2013-01-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동유럽발칸학회 ->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br> | |
2013-01-01 | 평가 |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등재유지) | ![]() |
2008-06-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6-01-1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 ![]() |
2006-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 ![]() |
2005-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