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자초 추출물 극성 성분의 피부 보습 증진 및 아토피 피부염 호전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4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초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성분이 어떤 분획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초 에탄올 추출물과 이를 각각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물질들을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10주간 식이 공급한 후, 세라마이드 함량과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초 추출물들의 5주 이상의 장기간의 식이 공급은 체중 및 식이 효율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은 표피에서 세라마이드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자초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물로 추출한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라마이드 함량이 50%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세라마이드 함량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발생한 표피의 과증식도 자초의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어느 정도 억제되었으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과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IgE의 수준과 소양증은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에 비해 자초 추출물 3종을 먹인 군들에서 모두 호전되었다. 이것은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이 에틸아세테이트 층보다는 물 층에 존재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 중 물 추출물이 EA 추출물 보다 표피의 세라마이드 함량의 증가와 표피 과증식 억제를 비롯하여 혈청 IgE 감소 및 소양증 완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이로부터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극성 성분은 피부의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의 효능이 확인되어 건강 기능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자초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성분이 어떤 분획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초 에탄올 추출물과 이를 각각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물질들을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10주...

      자초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성분이 어떤 분획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초 에탄올 추출물과 이를 각각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물질들을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10주간 식이 공급한 후, 세라마이드 함량과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초 추출물들의 5주 이상의 장기간의 식이 공급은 체중 및 식이 효율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은 표피에서 세라마이드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자초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물로 추출한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라마이드 함량이 50%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세라마이드 함량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발생한 표피의 과증식도 자초의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어느 정도 억제되었으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과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IgE의 수준과 소양증은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에 비해 자초 추출물 3종을 먹인 군들에서 모두 호전되었다. 이것은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이 에틸아세테이트 층보다는 물 층에 존재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 중 물 추출물이 EA 추출물 보다 표피의 세라마이드 함량의 증가와 표피 과증식 억제를 비롯하여 혈청 IgE 감소 및 소양증 완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이로부터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극성 성분은 피부의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의 효능이 확인되어 건강 기능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omwell (LE, Lithospermum erythrorhizon), a perennial herbal plant,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of the skin, such as water los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severe inflammation. Previously, it was shown that oral supplementation with a 70% ethanol extract of gromwell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fraction that mediates gromwell’s efficacy, the dietary effects of water and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of gromwell were assessed in the development of dermatitis using NC/Nga mice.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hot water fraction significantly reduced scores for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in parallel with a marked increase of ceramides. Supplementation of the gromwell hot water fraction also decreased scratching behavior, which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plasma levels of Ig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ot water fraction of the gromwell ethanolic extract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by increasing ceramides in NC/Nga mice.
      번역하기

      Gromwell (LE, Lithospermum erythrorhizon), a perennial herbal plant,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of the skin, such as water los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severe inflammation. Previous...

      Gromwell (LE, Lithospermum erythrorhizon), a perennial herbal plant,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of the skin, such as water los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and severe inflammation. Previously, it was shown that oral supplementation with a 70% ethanol extract of gromwell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fraction that mediates gromwell’s efficacy, the dietary effects of water and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of gromwell were assessed in the development of dermatitis using NC/Nga mice.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hot water fraction significantly reduced scores for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in parallel with a marked increase of ceramides. Supplementation of the gromwell hot water fraction also decreased scratching behavior, which wa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plasma levels of Ig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ot water fraction of the gromwell ethanolic extract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by increasing ceramides in NC/Nga m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arnes PJ, "Therapeutic strategies for allergic diseases" 402 : B31-B38, 1999

      2 Kyu Yeon Han, "Suppressive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lipopolysaccharide-induced activation of AP-1 and NF-κB via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in mousemacrophage cells"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41 (41): 328-333, 2008

      3 Park EJ, "Suppression of spontaneous dermatitis in NC/Nga murine model by PG102 isolated from Actinidia arguta" 127 : 1154-1160, 2007

      4 Van Reijsen FC, "Skin-derived aeroallergen- specific T-cell clones of Th2 phenotype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90 : 184-193, 1992

      5 Staniforth V, "Shikonins, phytocompound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inhibit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 α promoter in vivo" 279 : 5877-5885, 2004

      6 Saurat H, "Retinoids and psoriasis: Novel issue in retinoid pharmacology and implications for psoriasis treatment" 41 : S2-S6, 1999

      7 Holleran AV, "Regulation of epidermal sphingolipid synthesis by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32 : 1151-1158, 1991

      8 Ziboh A, "Psoriasis: Hyperproliferative/inflammatory skin disorder" 13 : 137-146, 1988

      9 Kim JM, "Oral supplementa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with reducing ceramide degradation in the epidermis of Nc/Nga mice" 23 : 1250-1256, 2009

      10 Leung DY,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113 : 651-657, 2004

      1 Barnes PJ, "Therapeutic strategies for allergic diseases" 402 : B31-B38, 1999

      2 Kyu Yeon Han, "Suppressive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lipopolysaccharide-induced activation of AP-1 and NF-κB via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in mousemacrophage cells"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41 (41): 328-333, 2008

      3 Park EJ, "Suppression of spontaneous dermatitis in NC/Nga murine model by PG102 isolated from Actinidia arguta" 127 : 1154-1160, 2007

      4 Van Reijsen FC, "Skin-derived aeroallergen- specific T-cell clones of Th2 phenotype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90 : 184-193, 1992

      5 Staniforth V, "Shikonins, phytocompound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inhibit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 α promoter in vivo" 279 : 5877-5885, 2004

      6 Saurat H, "Retinoids and psoriasis: Novel issue in retinoid pharmacology and implications for psoriasis treatment" 41 : S2-S6, 1999

      7 Holleran AV, "Regulation of epidermal sphingolipid synthesis by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32 : 1151-1158, 1991

      8 Ziboh A, "Psoriasis: Hyperproliferative/inflammatory skin disorder" 13 : 137-146, 1988

      9 Kim JM, "Oral supplementa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with reducing ceramide degradation in the epidermis of Nc/Nga mice" 23 : 1250-1256, 2009

      10 Leung DY,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113 : 651-657, 2004

      11 Kim EK, "Lithospermi radix extract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in mast cells" 71 : 2886-2892, 2007

      12 Mao-Qiang M, "Fatty acids are required for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 92 : 791-798, 1993

      13 Uchida Y, "Epidermal sphingomyelins are precursors for selected stratum corneum ceramides" 41 : 2071-2082, 2000

      14 Bown D, "Encyclopedia of Herbs and Their Uses" Dorling Kindersley 149-155, 1995

      15 Winsor T, "Differential roles of layers of human epigastric skin on diffusion of water" 74 : 428-444, 1994

      16 Matsumoto M, "Difference in ceramide composition between “dry” and “normal” skin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79 : 246-247, 1999

      17 Imokawa G, "Decreased levels of ceramides in stratum corneum of atopic dermatitis: An etiological factor in atopic dry skin" 96 : 523-526, 1991

      18 Chang MJ,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show moisturizing effects on human skin" 300 : 317-323, 2008

      19 Feingold KR, "Cholesterol synthesis is required for cutaneous barrier function in mice" 86 : 1738-1745, 1990

      20 Huang HC, "Ceramide 1 and ceramide 3 act synergistically on skin hydration and the transepidermal loss of sodium lauryl sulfate-irritated skin" 47 : 812-819, 2008

      21 Lee JH, "Anti-inflammatory and barrier protecting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in chronic oxazoloneinduced murine atopic dermatitis" 56 : 64-6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