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이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을 지원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강화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탐구한다. 정부 발표, 국제기구 자료, 언론 등의 문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74548
권혜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Korean
Public Diplomacy ; Refugee ; Türkiye (Turkey) ; Syria ; Refugee Protection ; 공공외교 ; 난민 ; 튀르키예(터키) ; 시리아 ; 난민 지
KCI등재
학술저널
201-236(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이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을 지원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강화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탐구한다. 정부 발표, 국제기구 자료, 언론 등의 문헌 ...
본 논문은 한국이 공공외교의 일환으로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을 지원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강화하고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탐구한다. 정부 발표, 국제기구 자료, 언론 등의 문헌 분석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0년대부터 시행된 한국의공공외교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한국의 난민 지원 사업이 현지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홍보되었는지 조사하였다. 한국 정부는 국제적 위상을 고려하여 인간 안보의 중요한부분인 글로벌 난민 위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튀르키예 내 시리아 난민 지원사업은 한국 정부의 공공외교의 전략적 접근으로, 한국의 국가적 명성을 높이고 국제적지지를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난민 지원 정책은 한국의 인간 안보에대한 국제적 책임 분담으로 보여지며, 한국의 낮은 난민 인정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보완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튀르키예의 우호적 동맹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시리아 난민 지원 사업은 양국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에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전략은 긍정적 국가 이미지구축과 우호적 대외 환경 조성이 한반도의 평화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난민 지원 정책은 중견 국가인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선도적인공공외교를 구현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이다. 이에, 제3국 내 난민 지원은 한국 공공외교의 핵심 전략으로 활용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제3국 내 난민지원을 통한 공공외교 전략의 다양화와 사례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예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the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initiatives in supporting Syrian refugees in Türkiye. The study organizes and reviews Syrian refugee support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 late...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the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initiatives in supporting Syrian refugees in Türkiye. The
study organizes and reviews Syrian refugee support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since the late 2010s, in line
with South Korea’s public diplomacy master plan. Recognizing its
international posi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addressing the global refugee crisis, a vital aspect of human security.
This involvement in Syrian refugee support in Türkiye represents a
strategic approach to public diplomacy, aimed at augmenting Korea’s
national reputatio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support initiatives
under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for Syrian refugees in Türkiye,
rooted in amicable relations, enhance Korea’s international image and
broaden support for its polic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offer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diversification of public diplomacy strategies
via refugee assistance in third countries, providing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future empiric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외교부, "핵심 중견국간 협력 메커니즘 MIKTA 출범 - 국제사회의 책임있는일원으로서 역할 증대와 위상 강화를 위한 중견국 외교 본격화"
2 김원건 ; 오종진, "한국과 터키의 난민수용 비교연구: 중견국 외교를 중심으로" EU연구소 (63) : 339-374, 2022
3 김진선,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탐라문화연구원 (65) : 7-37, 2020
4 백우열, "한국 공공외교 전략 및 정책 연구: 기초적 유형의 개념화" 세종연구소 23 (23): 5-32, 2017
5 대한민국 대통령실, "튀르키예는 형제국...구조인력 급파 등 신속한 피해 지원"
6 UNICEF, "튀르키예, 시리아 지진 피해 및 구호 활동 현황"
7 외교부, "터키 개황"
8 외교부, "제2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 외교부 2022
9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 외교부 2017
10 외교부, "정부, EU-스웨덴 주최 튀르키예 및 시리아 지진 관련 국제 공여국회의 참석"
1 외교부, "핵심 중견국간 협력 메커니즘 MIKTA 출범 - 국제사회의 책임있는일원으로서 역할 증대와 위상 강화를 위한 중견국 외교 본격화"
2 김원건 ; 오종진, "한국과 터키의 난민수용 비교연구: 중견국 외교를 중심으로" EU연구소 (63) : 339-374, 2022
3 김진선,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탐라문화연구원 (65) : 7-37, 2020
4 백우열, "한국 공공외교 전략 및 정책 연구: 기초적 유형의 개념화" 세종연구소 23 (23): 5-32, 2017
5 대한민국 대통령실, "튀르키예는 형제국...구조인력 급파 등 신속한 피해 지원"
6 UNICEF, "튀르키예, 시리아 지진 피해 및 구호 활동 현황"
7 외교부, "터키 개황"
8 외교부, "제2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 외교부 2022
9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 외교부 2017
10 외교부, "정부, EU-스웨덴 주최 튀르키예 및 시리아 지진 관련 국제 공여국회의 참석"
11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이원익 대사. 튀르키예 이재민 임시거주촌 개소식참석(8.10)"
12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이원익 대사, 샨르우르파 방문(3.25)"
13 외교부, "우리나라의 인도적 지원 전략" 외교부 2015
14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오스마니예주 ‘한-터키 우정의 숲’ 조성 행사"
15 주미영, "신뢰한국을 위한 공공외교에서의 국가평판 제고 전략"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109-134, 2016
16 외교부, "시리아 사태 관련 60만 불 규모 인도적 지원 추가 제공"
17 외교부, "시리아 사태 관련 40만 불 규모 인도적 지원 추가 제공"
18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시리아 난민 인도지원을 위한 UNDP ‘신재생에너지직업훈련소’ 개소"
19 김우상, "대한민국의 중견국 공공외교" 한국정치정보학회 16 (16): 331-350, 2013
20 주미영, "글로벌 신뢰국가 이미지 형성을 위한 한국의 공공외교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8 (18): 31-58, 2015
21 권혜원, "국제 난민보호법체계하에서의 튀르키예 난민법" 법학연구소 24 (24): 235-266, 2023
22 외교부, "공공외교안내서"
23 한국법제연구원, "공공외교 제도개선 및 하위법령 제정 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24 TRT Haber, "Ülkesine dönen Güney Koreli arama kurtarma ekibine duygulandıranteşekkür"
25 Melissen, Jan, "[Smart Q&A: Jan Melissen] 변화하는 세계질서 속 공공외교와한국의 과제"
26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Türkiye (튀르키예 대통령실)., "We will never forget the solidarity display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ur friends during these difficult days"
27 UN Türkiye, "WFP`s Kitchen of Hope helps get refugees into the world of work"
28 UNDP Turkiye, "UNDP Turkey Supports Employability and Social Cohesion in five provinces through Vocational and Technical Trainings in the area of Renewable Energy Sector"
29 Melissen, Jan., "The New Public Diplomacy : Between Theory and Practice" Palgrave Macmillan UK 2005
30 Song, Lili., "Strengthening Responsibility Sharing with South-South Cooperation : China’s Role in the Global Compact on Refugees" 30 (30): 687-690, 2018
31 Nye, Joseph. S., "Soft Power :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Public Affairs 2004
32 Medium, "September 22. 2020"
33 Çiçek, Ali, "Public diplomacy, migration and refugee politics:the case of Türkiye" 6 (6): 584-613, 2023
34 Cull, Nicholas J., "Public Diplomacy before Gullion: The Evolution of a Phrase" Taylor and Francis 2020
35 Cull, Nicholas J., "Public Diplomacy : Taxonomies and Histories" 616 : 31-54, 2008
36 Cull, Nicholas J, "Public Diplomacy : Lessons from the Past" Figueroa Press 2009
37 Milliyet, "November 15. 2018"
38 Niu, Zhongqi, "Merkel Government’s Refugee Policy: Under Bounded Rationality" 12 (12): 187-, 2023
39 Sabah, "March 26. 2022"
40 IHA, "March 26. 2022"
41 Cumhuriyet, "March 15. 2023"
42 Ayasreh, Emad, A., "Humanitarian Diplomacy Strategy for Syrian Refugees and Its Effect on Jordan’s Foreign Policy" 9 (9): 175-188, 2023
43 UNHCR, "Global Trends 2022" UNHCR 2023
44 Mayer, Matthias, M., "Germany’s Response to the Refugee Situation: Remarkable Leadership or Fait Accompli?" 9-19, 2016
45 TRT Haber, "February 7. 2023a"
46 Milliyet, "February 19. 2023"
47 NTV, "February 13. 2023"
48 Kaya, Oya, "Economic Impact of Syrian Refugees on Turkish Economy" 23 (23): 1151-1171, 2021
49 Koca, Burcu Togral, "Deconstructing Turkey’s “Open Door” Policy towards Refugees from Syria" 12 (12): 209-225, 2015
50 AIDA (Asylum Information Database), "Country Report: Türkiye" AIDA 2023
51 Anadolu Ajansi, "August 2. 2021"
52 Hurriyet Daily News, "August 2. 2021"
53 UNOCHA, "Appeals/plans"
54 주튀르키예대한민국대사관, "6・25전쟁 생존 터키참전용사 마스크 전달"
55 법무부, "2023년도 7월호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56 한겨레, "2023년 7월 1일"
57 연합뉴스, "2022년 3월 28일"
58 한국국제교류재단, "2022 지구촌 한류현황" 한국국제교류재단 2023
59 대한뉴스, "2021년 8월 19일"
60 연합뉴스, "2017년 7월 7일"
재일코리안과 국적 ― 그 존재방식과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자원’을 통한 공간 구성과 재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2동을 중심으로
결혼이주남성의 이주 전・후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