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코리안과 국적 ― 그 존재방식과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nationality ― Focusing on changes in their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74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10 20년대 이후 생계나 강제동원 등으로 일본에 건너간 자들을 재일코리안의원류로 본다면 그 역사는 100년이 넘고 있다. 이들은 과거 식민종주국이었던 일본에 거주하던 자들이었다는 점에서 다른 일반적인 재외동포와는 다른 특수한 존재로여겨져 왔으며, 그 특수성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국적에 관한 인식이나 태도라 할수 있다. 즉, 국적은 일본사회가 재일코리안을 차별하는 주된 근거가 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저항으로 재일코리안 역시 국적에 집착해 왔던 것이다. 즉, 일반적인 이민의 경우 세대를 거듭하면서 거주국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재일코리안은 한국국적을 유지하는 비율이 다른 재외동포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초기 이주 이후 100년이 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재일코리안은 그 구성이나정체성에 있어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연동하여 ‘국적’의 존재방식과의미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적의 존재방식과 의미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와쟁점들에 주목하면, 국적’과 ‘민족성’의 관계를 포함하여 역사적 존재로서의 재일코리안이 가진 특수성과 그 변화 양상을 읽어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이글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시기별로 국적의 존재방식과 의미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거기에 영향을 미친 내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재일코리안 사회의 세대변화, 구성의 다원화, 시대적 상황과 인식 변화 등이 중심이 되며, 외부적 요인으로는 일본사회의 한국 및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 변화, 일본정부의 외국인정책 및일본사회의 가치지향 변화 등이 포함될 것이다.
      번역하기

      1910 20년대 이후 생계나 강제동원 등으로 일본에 건너간 자들을 재일코리안의원류로 본다면 그 역사는 100년이 넘고 있다. 이들은 과거 식민종주국이었던 일본에 거주하던 자들이었다는 점에...

      1910 20년대 이후 생계나 강제동원 등으로 일본에 건너간 자들을 재일코리안의원류로 본다면 그 역사는 100년이 넘고 있다. 이들은 과거 식민종주국이었던 일본에 거주하던 자들이었다는 점에서 다른 일반적인 재외동포와는 다른 특수한 존재로여겨져 왔으며, 그 특수성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국적에 관한 인식이나 태도라 할수 있다. 즉, 국적은 일본사회가 재일코리안을 차별하는 주된 근거가 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저항으로 재일코리안 역시 국적에 집착해 왔던 것이다. 즉, 일반적인 이민의 경우 세대를 거듭하면서 거주국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재일코리안은 한국국적을 유지하는 비율이 다른 재외동포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하지만, 초기 이주 이후 100년이 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재일코리안은 그 구성이나정체성에 있어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연동하여 ‘국적’의 존재방식과의미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적의 존재방식과 의미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와쟁점들에 주목하면, 국적’과 ‘민족성’의 관계를 포함하여 역사적 존재로서의 재일코리안이 가진 특수성과 그 변화 양상을 읽어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이글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시기별로 국적의 존재방식과 의미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거기에 영향을 미친 내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재일코리안 사회의 세대변화, 구성의 다원화, 시대적 상황과 인식 변화 등이 중심이 되며, 외부적 요인으로는 일본사회의 한국 및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 변화, 일본정부의 외국인정책 및일본사회의 가치지향 변화 등이 포함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we consider those who went to Japan for livelihood or forced mobilization after the 1910s and 1920s as the origin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ir history spans over 100 years. They have been regarded as special beings different from other ordinary overseas Koreans in that they lived in Japan, a former colonial suzerain country,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is uniqueness can be said to be their perception of nationality. In other words, nationality has been the main basis for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Japanese society, and in resistance to this,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also been obsessed with their nationality. However, as more than 1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rt of immigration,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composition and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are also changing. Therefore, by paying attention to time-series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uniqueness and chang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historical entity,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ty’ and ‘ethnicit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have changed in each major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focus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it. Internal factors focus on generational changes in Korean Residents in Japan, diversification of composition, and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ile external factors include changes in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changes in value orientation in Japanese society,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ward foreigners, etc. will be included.
      번역하기

      If we consider those who went to Japan for livelihood or forced mobilization after the 1910s and 1920s as the origin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ir history spans over 100 years. They have been regarded as special beings different from other ordi...

      If we consider those who went to Japan for livelihood or forced mobilization after the 1910s and 1920s as the origin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ir history spans over 100 years. They have been regarded as special beings different from other ordinary overseas Koreans in that they lived in Japan, a former colonial suzerain country, an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is uniqueness can be said to be their perception of nationality. In other words, nationality has been the main basis for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Residents in Japan by Japanese society, and in resistance to this,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also been obsessed with their nationality. However, as more than 1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rt of immigration,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composition and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are also changing. Therefore, by paying attention to time-series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uniqueness and chang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historical entity,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ty’ and ‘ethnicit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way of existence and meaning of nationality have changed in each major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focus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it. Internal factors focus on generational changes in Korean Residents in Japan, diversification of composition, and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ile external factors include changes in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changes in value orientation in Japanese society,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ward foreigners, etc. will be inclu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진오, "전후 일본의 재일동포 국적처리문제고찰" 한일관계사학회 (24) : 177-210, 2006

      2 정진성, "재일동포의 국적과 정체성" 일본학연구소 (21) : 56-102, 2017

      3 재외동포청, "재외동포현황 2023"

      4 권숙인,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의 정치" 서울대출판문화원 2010

      5 윤건차,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창비 2009

      6 杉原達, "越境する民ー近代大阪の朝鮮人史硏究" 新幹社 1998

      7 柏崎千佳子, "象徵的エスニシティの難しさ" 12 : 33-43, 2012

      8 姜在彦, "講座 差別と人權 (4) 民族" 雄山閣 1985

      9 井出弘毅, "統計に見る在日コリアンと日韓・日朝ダブル(1)の現状" 東洋大學 41 : 46-54, 2006

      10 井出弘毅, "統計から見た在日コリアンとミックス" 東洋大學 54 : 64-73, 2020

      1 곽진오, "전후 일본의 재일동포 국적처리문제고찰" 한일관계사학회 (24) : 177-210, 2006

      2 정진성, "재일동포의 국적과 정체성" 일본학연구소 (21) : 56-102, 2017

      3 재외동포청, "재외동포현황 2023"

      4 권숙인,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의 정치" 서울대출판문화원 2010

      5 윤건차,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창비 2009

      6 杉原達, "越境する民ー近代大阪の朝鮮人史硏究" 新幹社 1998

      7 柏崎千佳子, "象徵的エスニシティの難しさ" 12 : 33-43, 2012

      8 姜在彦, "講座 差別と人權 (4) 民族" 雄山閣 1985

      9 井出弘毅, "統計に見る在日コリアンと日韓・日朝ダブル(1)の現状" 東洋大學 41 : 46-54, 2006

      10 井出弘毅, "統計から見た在日コリアンとミックス" 東洋大學 54 : 64-73, 2020

      11 河炳旭, "第四の選擇韓國系日本人: 世界六百万韓民族の生きざまと國籍" 文藝社 2001

      12 鄭暎惠, "現代社會學 15: 差別と共生の社會學" 岩波書店 1996

      13 The Asahi Shimbun Globe, "特集 <気が付けば移民大国>"

      14 民族名とりもどす会, "民族名とりもどした日本籍朝鮮人: ウリ・イルム(私たちの名前)" 明石書店 1990

      15 鄭榮桓, "植民地の獨立と人權ー在日朝鮮人の國籍選擇權をめぐって" 明治学院大学 国際平和研究所 36 : 49-65, 2013

      16 李洪章, "朝鮮籍在日朝鮮人靑年の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と連帶戰略" 61 (61): 168-185, 2010

      17 佐々木てる, "日本人と外國人の間-コリア系日本人という試み" 9 : 9-19, 2010

      18 載エイカ, "批判的ディアスポラとマイノリティ" 明石書店 2009

      19 日本法務省, "帰化許可者数等の推移"

      20 李洙任, "変わりつつある在日韓国朝鮮人のエスニック・アイデンティティ" (29) : 43-58, 1999

      21 日本法務省, "在留外國人通計"

      22 趙誠敏, "在日韓國・朝鮮人政策論の展開の一考察" 大阪経済法科大学 アジア研究所 (3) : 91-103, 2001

      23 大沼保昭, "在日韓國・朝鮮人の國籍と人權" 東信社 2004

      24 "在日韓國靑年同盟"

      25 李誠, "在日韓國人の法的地位協定と在留資格の分裂" 大阪経済法科大学アジア研究所 (64) : 7-36, 2016

      26 金根五, "在日韓国・朝鮮人における差別と国籍" (3) : 63-79, 2002

      27 "在日本大韓民國靑年會"

      28 湖北社, "在日朝鮮人管理重要文書集" 湖北社 1978

      29 鄭榮桓, "在日朝鮮人の國籍と朝鮮戰爭 (1947-1952年)" 明治学院大学 国際平和研究所 40 : 36-62, 2017

      30 田中宏, "在日朝鮮人" 岩波書店 1995

      31 姜在彦, "在日同胞の未來像"

      32 佐々木てる, "在日コリアンに権利としての日本国籍を" 明石書店 2006

      33 佐々木てる, "在日コリアンとシティズンシップ-権利と国籍を中心に" 6 : 44-57, 2014

      34 松岡瑛理, "ヘイトスピーチに対抗する境界的マイノリティ" 60 (60): 59-76, 2016

      35 川端浩平, "ジモトを歩く身近な世界のエスノグラフィ" お茶の水書房 2014

      36 飯笹佐代子, "シティズンシップと多文化国家" 日本経済評論社 2007

      37 朴沙羅, "お前は誰だ:占領期における「朝鮮人」と「不法入國」の定義をめぐって" 64 (64): 275-293, 2013

      38 朴慶植, "『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 <戰後編> 第1卷" 不二出版 2000

      39 이상봉, "‘해방의 언설’로서의 디아스포라와 재일코리안의 실천 : 재일코리안청년연합(KEY)의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12 (12): 7-46, 2018

      40 "K-magazine 11號"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