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D 프린팅용 모르타르의 초기재령 수축거동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for Evaluating Early Age Shrinkage of Mortar for 3D Pr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7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3D printing mortar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printing, moisture is large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yer. The evaporation of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layer greatly causes drying shrinkage and increases the risk of cracking and damage to the structure due to drying shrinkage. This study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shrinkage behavior of the initial age using the mortar used for 3D printing. The change in shrinkag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hrinkage of the specimen cured by the sealing method and the atmospheric exposure metho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ype 1 cement was used 100%, the shrinkage amount was evaluated when 20% of fly ash was replaced and 10% of silica fume was use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ree chemical admixtures applied using 3D printing on shrinkage was evaluated experimentally. When fly ash and silica fume were used, the shrinkage amount increased by 60 – 110% compared to the case when type 1 cement was used. The application of viscosity modifiers and shrinkage reducers reduced the shrinkage by at least 18% and at most 70% depending on the curing conditions. The temperature of the specimen temporarily decreased to 15 ℃ at the beginning of cur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ecimen and the shrinkage behavior was observed.
      번역하기

      Since the 3D printing mortar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printing, moisture is large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yer. The evaporation of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layer greatly causes drying shrinkage and increases t...

      Since the 3D printing mortar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immediately after printing, moisture is large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yer. The evaporation of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layer greatly causes drying shrinkage and increases the risk of cracking and damage to the structure due to drying shrinkage. This study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shrinkage behavior of the initial age using the mortar used for 3D printing. The change in shrinkag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hrinkage of the specimen cured by the sealing method and the atmospheric exposure metho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ype 1 cement was used 100%, the shrinkage amount was evaluated when 20% of fly ash was replaced and 10% of silica fume was use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ree chemical admixtures applied using 3D printing on shrinkage was evaluated experimentally. When fly ash and silica fume were used, the shrinkage amount increased by 60 – 110% compared to the case when type 1 cement was used. The application of viscosity modifiers and shrinkage reducers reduced the shrinkage by at least 18% and at most 70% depending on the curing conditions. The temperature of the specimen temporarily decreased to 15 ℃ at the beginning of cur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ecimen and the shrinkage behavior was obser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적층 시공 시 타설 초기부터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조건을 모사하여 밀봉조건과 노출조건에 따른 수축거동을 100일 이상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합재 치환에 따른 수축거동 분석을 위해 1종 시멘트, 플라이애시,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길이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혼화제 사용이 수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적층 시공 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점도조절제와 유지계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였다. 표면노출양생 시 초기 수축 발생시점이 단축됐으며, 플라이애시와 실리카흄을 사용 시 수축량은 양생조건에 따라 OPC100 배합 대비 60 – 110% 증가했다. 점도조절제와 수축저감제 적용은 양생조건에 따라 최소 18%에서 최대 70% 수축량을 저감시켰다. 시험체의 온도는 양생초기 15 ℃까지 일시적으로 저하됐으며, 수축거동과 상관성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적층 시공 시 타설 초기부터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조건을 모사하여 밀봉조건과 노출조건에 따른 수축거동을 100일 이상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합재 치환에 따른 수축거동 분...

      이 연구는 적층 시공 시 타설 초기부터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조건을 모사하여 밀봉조건과 노출조건에 따른 수축거동을 100일 이상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합재 치환에 따른 수축거동 분석을 위해 1종 시멘트, 플라이애시, 실리카흄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길이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혼화제 사용이 수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적층 시공 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점도조절제와 유지계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였다. 표면노출양생 시 초기 수축 발생시점이 단축됐으며, 플라이애시와 실리카흄을 사용 시 수축량은 양생조건에 따라 OPC100 배합 대비 60 – 110% 증가했다. 점도조절제와 수축저감제 적용은 양생조건에 따라 최소 18%에서 최대 70% 수축량을 저감시켰다. 시험체의 온도는 양생초기 15 ℃까지 일시적으로 저하됐으며, 수축거동과 상관성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형 ; 박병선 ; 정상화 ; 최영철, "플라이애시 종류에 따른 플라이애시 모르타르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4 (4): 439-445, 2016

      2 박종필 ; 정용욱, "콘크리트용 고성능 수축저감제 개발에 대한 기초적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298-4307, 2015

      3 이호재 ; 김기훈 ; 유병현 ; 김원우 ; 문재흠, "적층공법을 적용한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수축특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3 (23): 99-104, 2019

      4 이호재 ; 김원우 ; 서은아 ; 문재흠, "건설용 3D 프린팅 압출 및 적층공정에 따른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수축 특성 영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113-118, 2020

      5 Kwon, S. H., "Understanding of Drying Shrinkage and Autogeneous Shrinkage in Concrete" 28 (28): 22-26, 2016

      6 Buswell, R. A., "Inspection Methods for 3D Concrete Printing, RILEM Bookseries" 790-803, 2020

      7 Lee, H., "Experimental Study on Time-Depend_ent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and Flow Rate of 3D Concrete Printing Materials" 14 (14): 6278-, 2021

      8 Chen, H., "Effects of silica fume and Fly ash on properties of mortar reinforced with recycled-polypropylene" 316 : 125887-, 2022

      9 Langan, B. W., "Effect of silica fume and flyahs on heat of hydration of Portland cement" 32 (32): 1045-1051, 2002

      10 Federowicz, K., "Effect of Curing Methods on Shrinkage Development in 3D-Printed Concrete" 13 (13): 2590-, 2020

      1 김주형 ; 박병선 ; 정상화 ; 최영철, "플라이애시 종류에 따른 플라이애시 모르타르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4 (4): 439-445, 2016

      2 박종필 ; 정용욱, "콘크리트용 고성능 수축저감제 개발에 대한 기초적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298-4307, 2015

      3 이호재 ; 김기훈 ; 유병현 ; 김원우 ; 문재흠, "적층공법을 적용한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수축특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3 (23): 99-104, 2019

      4 이호재 ; 김원우 ; 서은아 ; 문재흠, "건설용 3D 프린팅 압출 및 적층공정에 따른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수축 특성 영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113-118, 2020

      5 Kwon, S. H., "Understanding of Drying Shrinkage and Autogeneous Shrinkage in Concrete" 28 (28): 22-26, 2016

      6 Buswell, R. A., "Inspection Methods for 3D Concrete Printing, RILEM Bookseries" 790-803, 2020

      7 Lee, H., "Experimental Study on Time-Depend_ent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and Flow Rate of 3D Concrete Printing Materials" 14 (14): 6278-, 2021

      8 Chen, H., "Effects of silica fume and Fly ash on properties of mortar reinforced with recycled-polypropylene" 316 : 125887-, 2022

      9 Langan, B. W., "Effect of silica fume and flyahs on heat of hydration of Portland cement" 32 (32): 1045-1051, 2002

      10 Federowicz, K., "Effect of Curing Methods on Shrinkage Development in 3D-Printed Concrete" 13 (13): 2590-, 2020

      11 조준호 ; 조병완 ; Woohyun Cho ; Jung‑Hoon Kim, "Development of a 3D Printer for Concrete Structures: Laboratory Testing of Cementitious Materials" 한국콘크리트학회 14 (14): 305-315, 2020

      12 "ASTM C596-18. (2018). Standard Test Method for Drying Shrinkage of Mortar Containing Hydraulic Cement"

      13 "ASTM C490/C490M-21. Standard Practice for Use of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Length Change of Hardened Cement Paste, Mortar, and Concrete"

      14 "ASTM C39.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15 Shi, C., "A calorimetric study of early hydration of alkali-slag cements" 25 (25): 1333-1346, 1995

      16 이동규 ; 유병현 ; 손호정, "3D 프린팅 콘크리트용 수축저감제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7-43,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2-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구조물진단학회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KCI등재
      2007-04-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9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