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5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4년 1월 제정된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그리고 유아교육재정의 형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법은 유치원운영위원회 규정을 누락하고 있으며, 무상교육, 사립유치원 지원, 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교육비 지원 등에 있어서 불분명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아교육재정 규모가 영세하며, 재원확보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관련 규정에서도 유아교육이 소외되고 있음을 밝혔다.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로 유아교육법 보완방향과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법 보완방향으로는 유치원운영위원회 설치와 5세아 유치원교육 의무교육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으로 특별회계에 유아교육 지원을 규정하는 방안을 비롯하여 유치원을 사업재정수요 대상기관에 포함시키는 방안,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을 인상하는 방안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4년 1월 제정된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그리고 유아교육재정의 형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2004년 1월 제정된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그리고 유아교육재정의 형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법은 유치원운영위원회 규정을 누락하고 있으며, 무상교육, 사립유치원 지원, 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교육비 지원 등에 있어서 불분명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아교육재정 규모가 영세하며, 재원확보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관련 규정에서도 유아교육이 소외되고 있음을 밝혔다.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로 유아교육법 보완방향과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법 보완방향으로는 유치원운영위원회 설치와 5세아 유치원교육 의무교육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유아교육재정 확충방안으로 특별회계에 유아교육 지원을 규정하는 방안을 비롯하여 유치원을 사업재정수요 대상기관에 포함시키는 방안,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을 인상하는 방안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analyzing the financial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Act') that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4, 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eschool education finance, is to suggest the financial tasks and issues to enforce the Act,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e Act omits regulations of kindergarten steering committee, and have ambiguous regulations about free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of private kindergarten and infant's protector. Also, this study made clear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stranged in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distribution as well as the scale of the finance is paltry, and financial resources security policy of preschool education is not readied.
      This study presented five alternatives to sec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that is, to increase the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rate, to support preschool education by special account for local education transfer, and so 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analyzing the financial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Act') that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4, 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eschool education finance, is to suggest the fina...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analyzing the financial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Act') that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4, 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preschool education finance, is to suggest the financial tasks and issues to enforce the Act,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e Act omits regulations of kindergarten steering committee, and have ambiguous regulations about free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of private kindergarten and infant's protector. Also, this study made clear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stranged in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distribution as well as the scale of the finance is paltry, and financial resources security policy of preschool education is not readied.
      This study presented five alternatives to sec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that is, to increase the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 rate, to support preschool education by special account for local education transfer,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 Ⅲ. 유아교육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 Ⅳ.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
      • Ⅴ. 결론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유아교육법의 교육재정적 의의와 문제점
      • Ⅲ. 유아교육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 Ⅳ.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정일,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2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의 변화추이와 과제," 8 (8): 1999

      3 천세영,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방식 개선안 탐색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0

      4 나정, "유치원교육 공교육화를 위한 단계적 발전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5 "유아교육법안(이재정의원 안) 심사보고서" 국회 교육위원회 2003

      6 "유아교육법안(김정숙의원 안) 심사보고서." 국회 교육위원회 2003

      7 "유아교육법 홍보자료."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지원과 2004

      8 나정, "영유아교육과 보육발전방안" 1 : 2003

      9 송기창, "사학의 재정구조와 정부 지원 방안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학의 역할 세미나 발표논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10 천세영, "사립유치원을 위한 국가재정지원 방안 탐색" 2002

      1 윤정일,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2 송기창,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의 변화추이와 과제," 8 (8): 1999

      3 천세영,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배분방식 개선안 탐색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0

      4 나정, "유치원교육 공교육화를 위한 단계적 발전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5 "유아교육법안(이재정의원 안) 심사보고서" 국회 교육위원회 2003

      6 "유아교육법안(김정숙의원 안) 심사보고서." 국회 교육위원회 2003

      7 "유아교육법 홍보자료."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지원과 2004

      8 나정, "영유아교육과 보육발전방안" 1 : 2003

      9 송기창, "사학의 재정구조와 정부 지원 방안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학의 역할 세미나 발표논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10 천세영, "사립유치원을 위한 국가재정지원 방안 탐색" 2002

      11 천세영, "만5세 무상유아교육을 위한 재정제도 모색" 한국유치원총연합회 2004

      12 "만 5세아 무상교육 확대실시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1

      13 김경희, "농어촌 영유아 보육정책 개발연구" 농림부 2000

      14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도서출판 하우 2001

      15 Garms, Walter I, "School Finance,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78

      16 King, R. A, "School Finance(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3

      17 King, R. A, "School Finance(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3

      18 Jones, "Introduction to School Finance"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5

      19 Burrup, P. E, "Financing Education in a Climate of Change(7th ed.)." Allyn and Bacon. 1999

      20 "2004년도 교육인적자원부소관 예산개요" 교육인적자원부 2003

      21 "2003년도 지방교육재정운용편람" 교육인적자원부 2003

      22 "2003년 유치원 현황"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지원과 2003

      23 강경석, ".지방교육재정 지출 규모의 차이 및 결정요인 분석" 7 (7):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