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한 관찰 = The Study on Complementary Observation El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6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investigated for the complementary elements of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link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n of languag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combines first. Aesthetic and artistic education and also to investigate global trends in art education and educational means. Based on this, I looked for a way to actually utilize the sense of Art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that combines the first two areas, while highlighting the artistic language inside the property there is a sense that it can be a more effective language training. Second, while the importance of fiction and poetry was gradually weakening the importance of narrative and reflects the increasing phenomenon of mixed reinforced the narrative and lyrical. This situation consilience Languag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s to reflect contemporary aesthetic standards change phenomenon.
      번역하기

      Korean investigated for the complementary elements of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link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n of languag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combines first. Aesthetic and artis...

      Korean investigated for the complementary elements of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link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n of languag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combines first. Aesthetic and artistic education and also to investigate global trends in art education and educational means. Based on this, I looked for a way to actually utilize the sense of Art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that combines the first two areas, while highlighting the artistic language inside the property there is a sense that it can be a more effective language training. Second, while the importance of fiction and poetry was gradually weakening the importance of narrative and reflects the increasing phenomenon of mixed reinforced the narrative and lyrical. This situation consilience Languag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s to reflect contemporary aesthetic standards change phenomen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을 서로 연결시켜 상보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이 접목되는현상의 의미를 먼저 알아보았고 예술교육의 미학적·교육적 의미와 예술교육의세계적 추세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교육의 의미를 국어교육에서실제로 활용하는 방법과 연결 지어 두 영역의 상보적 요소를 찾아보았다. 두 영역이 접목되는 현상의 의미는 첫째, 국어 속의 예술적 속성을 부각시키면서 더 효율적인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고 둘째, 시와 소설의 중요성이 점차 약화되면서 서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서사와 서정의 혼합 강화되는 현상을반영하고 있으며 국어교육이 예술교육의 통섭은 동시대의 미적 기준변화 현상을반영하는 의미를 지닌다.
      대상이해의 과정을 통해 예술작품 및 서사작품을 이해하였으면 이후에는 관련작품을 창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술교육과 국어교육이 융합되면 학생들이 아이디어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돕게 되고, 예술의 언어와 서사문법을 융합하여 사고를 종합하여 전체를 통찰하는 능력을 소유하는 것을 돕게 되고 학생들에게 특수성과 보편성이 공유되는 소통의 장에 동참하는 일을 돕게 된다.
      번역하기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을 서로 연결시켜 상보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이 접목되는현상의 의미를 먼저 알아보았...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을 서로 연결시켜 상보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이 접목되는현상의 의미를 먼저 알아보았고 예술교육의 미학적·교육적 의미와 예술교육의세계적 추세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교육의 의미를 국어교육에서실제로 활용하는 방법과 연결 지어 두 영역의 상보적 요소를 찾아보았다. 두 영역이 접목되는 현상의 의미는 첫째, 국어 속의 예술적 속성을 부각시키면서 더 효율적인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고 둘째, 시와 소설의 중요성이 점차 약화되면서 서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서사와 서정의 혼합 강화되는 현상을반영하고 있으며 국어교육이 예술교육의 통섭은 동시대의 미적 기준변화 현상을반영하는 의미를 지닌다.
      대상이해의 과정을 통해 예술작품 및 서사작품을 이해하였으면 이후에는 관련작품을 창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술교육과 국어교육이 융합되면 학생들이 아이디어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돕게 되고, 예술의 언어와 서사문법을 융합하여 사고를 종합하여 전체를 통찰하는 능력을 소유하는 것을 돕게 되고 학생들에게 특수성과 보편성이 공유되는 소통의 장에 동참하는 일을 돕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젤트너, "존 듀이 미학입문" 예전사 35-, 1996

      2 수잔 랭거, "예술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45-, 1984

      3 콜링 우드, "예술의 원리" 형설출판사 60-, 1980

      4 쉴러, "쉴러의 미학 예술론" 인하대학교출판부 56-, 1994

      5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3-, 2003

      1 젤트너, "존 듀이 미학입문" 예전사 35-, 1996

      2 수잔 랭거, "예술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45-, 1984

      3 콜링 우드, "예술의 원리" 형설출판사 60-, 1980

      4 쉴러, "쉴러의 미학 예술론" 인하대학교출판부 56-, 1994

      5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