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아스포라 경계 넘기와 독일 광부 되기: 1960년대~1970년대 파독 광부를 중심으로 = Diaspora Cross-Boarding of Korean Youngers Dispatched to Germany and becoming as Germany miners in the 1960s and 197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2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ey subject of this article is about to ‘diaspora cross-boarding of Korean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and ‘becoming as Germany miners’. Explain more full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that Kor...

      The key subject of this article is about to ‘diaspora cross-boarding of Korean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and ‘becoming as Germany miners’. Explain more full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that Korean youngers had gone to Germany(West Germany) for money and been becoming as Germany miners in the 1960s and 1970s. For this, I analysed not only the concerning books, articles, and reports but also interviewed Korean miners dispatched to Germany. Also I regarded that it was necessary the integrative view to considerate by all accounts the structure of world system, the inner conditions of pull-push between Korean and Germany, and the contexts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on a miner individual. America paid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 anti-communism and free-trade system for a friendly nation through a loan grant and an economic supports. In response to this, Germany attracted Korean miners and nurses also. Germany needed the inducement of many miners and nurses for social welfare and applyment of lack mine laborers. Those days, Korea required of the foreign capital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a solution of a chronic unemployment also. Therefore many Korean miners of 7,936 and nurses of 11,057 had gone to Germany from 1963 to 1977 year and year. An economic achie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becoming as Germany miners and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a going abroad for study, an emigration to a third nation, and an aspiration for an advanced culture etc.. By the <An employment plan for Germany mines of Korean miners>, they had been studied a discipline for a grounding and a practical affairs concerning to mine labor in Korea and Germany. In arriving Germany, they had taken lessons of the ground(a German, terms and usages of mine tools, mine structure, safety rule, the skill for a coal mine and the setting up of stempel etc.) and the underground(a study by inspection of labor process in the inside of a mining pit). After these lessons, they alloted duties for a coal mine and a digging etc., and had been becoming finally as a Germany min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한국의 젊은이들이 어떤 배경과 과정을 통해 ‘독일 광부’가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문헌 연구와 파독 광부들에 대한 심층면...

      본고의 목적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한국의 젊은이들이 어떤 배경과 과정을 통해 ‘독일 광부’가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문헌 연구와 파독 광부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논지 전개를 위해서는 세계체제의 구조적 수준과 한・독 양국 간의 인력 송출과 수용의 조건뿐만 아니라 이주 주체인 광부 개개인의 생활사적 맥락을 교차시키는 통합적 시각을 취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체제 속에서 미국은 우방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통해 반공 전선과 자유무역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진력하였다. 독일은 미국의 의견에 따라 한국의 광부와 간호 인력의 유치를 적극 추진하였다. 독일 내부적으로는 경제적 호황으로 부족해진 노동인력과 늘어나는 사회복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한국의 광부, 간호사가 필요했다. 산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당시 한국으로서도 높은 실업률을 완화시키고 외화를 확보하는 일이 경제발전을 위해 필요했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독일 광부가 되고자 했던 동기는 경제적 유인이 가장 컸으며, 이 외에도 돈을 벌어 유학의 꿈을 펼치거나 제3국으로의 이주 및 선진문물에 대한 동경 의식 등도 작용했다. 파독 광부들은 한국과 독일에서 독일어를 비롯한 소양교육과 탄광 실무교육을 이수하였다. 파독 후 광부들은 독일 광산의 적응을 위해 지상교육과 지하교육을 각 4주씩 받았다. 광부들은 교육을 수료하고 굴진과 채탄 등의 업무를 배정받아 1개월가량 현장 지도를 거친 후 마침내 ‘독일 광부’가 되어 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윤종, "해외 취업인의 실태-재독 한국간호원을 중심으로-" 2 (2): 1825-1836, 1975

      2 이장섭, "한국인류학의 성과와 전망" 집문당 471-493, 1998

      3 박래영, "한국의 해외취업" 아산사회복지재단 1988

      4 노동청, "한국노동통계연감(1971-1976)"

      5 나혜심, "파독 한인여성 이주노동자의 역사-1960-1970년대 한인간호인력 독일행의 원인-" 한국서양사학회 (100) : 255-285, 2009

      6 박경용, "파독 광부의 디아스포라 노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탄광의 막장 안과 밖에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3) : 139-182, 2018

      7 유진영, "파독 광부·간호 인력의 국내 및 독일에서의 교육 비교(1963~1977)"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351-376, 2014

      8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파독 광부, 간호사의 한국경제발전에 대한 기여의 건"

      9 박재영, "파독 간호사・광부의 독일정착과 삼각이민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 : 335-364, 2013

      10 權五中, "초기 관계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독일연방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외교적 갈등과 그 해결과정(1956~1961) - 독일연방공화국의 외무부 미공개 사료에 근거하여 -" 역사교육연구회 (99) : 293-322, 2006

      1 심윤종, "해외 취업인의 실태-재독 한국간호원을 중심으로-" 2 (2): 1825-1836, 1975

      2 이장섭, "한국인류학의 성과와 전망" 집문당 471-493, 1998

      3 박래영, "한국의 해외취업" 아산사회복지재단 1988

      4 노동청, "한국노동통계연감(1971-1976)"

      5 나혜심, "파독 한인여성 이주노동자의 역사-1960-1970년대 한인간호인력 독일행의 원인-" 한국서양사학회 (100) : 255-285, 2009

      6 박경용, "파독 광부의 디아스포라 노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탄광의 막장 안과 밖에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3) : 139-182, 2018

      7 유진영, "파독 광부·간호 인력의 국내 및 독일에서의 교육 비교(1963~1977)"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351-376, 2014

      8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파독 광부, 간호사의 한국경제발전에 대한 기여의 건"

      9 박재영, "파독 간호사・광부의 독일정착과 삼각이민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 : 335-364, 2013

      10 權五中, "초기 관계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독일연방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외교적 갈등과 그 해결과정(1956~1961) - 독일연방공화국의 외무부 미공개 사료에 근거하여 -" 역사교육연구회 (99) : 293-322, 2006

      11 이영석, "재독일 교민의 역이주와 귀향 의식에 대한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6 (36): 443-480, 2006

      12 전형권, "이주이론의 관점에서 본 노동디아스포라의 성격, In 세계디아스포라 네트워크:한상・화상・인도인・유태인" 95-130, 2007

      13 최화성, "유랑, 이후-떠나야 했던 사람들, 그 내밀한 삶의 기록들-" 실천문학사 2013

      14 한국파독광부총연합회, "외화벌이의 첫 삽을 뜬 파독광부백서" 2009

      15 김조자, "서독주재 한국간호요원의 발전을 위한 취업실태 조사연구" 14 (14): 24-35, 1975

      16 홍성유, "발전이론과 농공병진정책" 한국정경연구소 1966

      17 나혜심, "박정희시대와 파독 한인들" 선인 13-26, 2013

      18 정성화, "박정희 시대와 파독 한인들" 선인 2013

      19 이영조, "박정희 시대와 파독 한인들" 선인 27-50, 2013

      20 이용균, "모빌리티 패러다임과 이주연구: 교육이주를 중심으로" SSK 다문화와디아스포라・트랜스이주연구단 57-66, 2015

      21 나혜심, "독일로 간 한국간호여성" 산과글 2012

      22 대한석탄공사, "대한석탄공사 50년사(1950-2000)"

      23 MBC, "다큐멘터리, 2004.6.11. 독일로 간 광부・간호사들 3부작"

      24 이영숙, "누구나 가슴 속엔 꿈이 있다 : 의사가 된 파독 간호사 이야기" 북스코프 2009

      25 원병호, "나는 독일의 파독 광부였다" 한솜미디어 2004

      26 김유배, "국제협력과 해외인력 수출" 한국해외개발공사 1989

      27 권이종, "교수가 된 광부" 이채 2004

      28 이영남, "Heimat und Identität der koreanischen Diaspora in Deutschland" 한국독어독문학회 54 (54): 293-307, 2013

      29 Bundesarchiv-Koblenz, "Bestand 85, Band 1404. Beschaftigung Koreanische Bergarheiter im Westdeutschen Steinkohlenbergbau (1963.11.16. - 1964.11.27.)"

      30 Bundesarchiv-Koblenz, "Bestand 85, Band 1404, Forts, Band 1405. Koreanische Bergarheiter in der BRD von 1961-19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연구소 -> 다문화평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North Koreanology ->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5 1.415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