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IE SCOPUS

      수술 후 남겨둔 일측 난소에서 발생한 악성 Brenner 종양 1예 =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an ovary after contralateral oophorect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5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renner tumors of the ovary are uncommon and constitute 1.5~2.5% of all ovarian neoplasms.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re rare. Although the first malignant Brenner tumor was described by Von Numers in 1945,1 only a few malignant Brenner tumors have been reported. The definition and its biologic behavior, and the optimal treat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We present a patient who ha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due to adenomyosis . The resected ovary had only follicular cysts and the remained ovary was grossly normal .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15 years after operation. Opera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was applied and patient is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after contralateral oophor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번역하기

      The Brenner tumors of the ovary are uncommon and constitute 1.5~2.5% of all ovarian neoplasms.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re rare. Although the first malignant Brenner tumor was described by Von Numers in 1945,1 only a few malignant Brenner tum...

      The Brenner tumors of the ovary are uncommon and constitute 1.5~2.5% of all ovarian neoplasms.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re rare. Although the first malignant Brenner tumor was described by Von Numers in 1945,1 only a few malignant Brenner tumors have been reported. The definition and its biologic behavior, and the optimal treat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We present a patient who ha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due to adenomyosis . The resected ovary had only follicular cysts and the remained ovary was grossly normal .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15 years after operation. Opera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was applied and patient is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after contralateral oophor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Brenner 종양은 드물게 나타나는 상피성 난소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1898년 Mcnaughton-Jones 에 의해 처
      음 기술되었고 1907년 Fritz Brenner에 의해 Brenner 종양이라고 명명되었으며, 발견된 초기에는 양성종양으로
      생각되었으나 1945년 Von Number 의 보고 이후 악성 Brenner 종양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경계성 및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특히 수술 후 남겨진 일측 난소에서 생긴 악성 Brenner 종양은 매우 희귀하
      다. 양성 Brenner 종양은 수술적 제거 후 보조적 치료가 필요 없으나 악성의 경우 수술 후 방사선요법 및 화학
      요법 등의 보조적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에는 외과적 적출 및 종양 분화도 정도 등이 중요하다. 질환의 희귀성으
      로 인해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정의와 특성,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술 후 남겨둔 일측 난소에서 발생한 악성 Brenner 종양을 수술적 절제와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
      여 현재까지
      번역하기

      Brenner 종양은 드물게 나타나는 상피성 난소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1898년 Mcnaughton-Jones 에 의해 처 음 기술되었고 1907년 Fritz Brenner에 의해 Brenner 종양이라고 명명되었으며, 발견된 초기에...

      Brenner 종양은 드물게 나타나는 상피성 난소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1898년 Mcnaughton-Jones 에 의해 처
      음 기술되었고 1907년 Fritz Brenner에 의해 Brenner 종양이라고 명명되었으며, 발견된 초기에는 양성종양으로
      생각되었으나 1945년 Von Number 의 보고 이후 악성 Brenner 종양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경계성 및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특히 수술 후 남겨진 일측 난소에서 생긴 악성 Brenner 종양은 매우 희귀하
      다. 양성 Brenner 종양은 수술적 제거 후 보조적 치료가 필요 없으나 악성의 경우 수술 후 방사선요법 및 화학
      요법 등의 보조적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에는 외과적 적출 및 종양 분화도 정도 등이 중요하다. 질환의 희귀성으
      로 인해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정의와 특성,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술 후 남겨둔 일측 난소에서 발생한 악성 Brenner 종양을 수술적 절제와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
      여 현재까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nd of low malignant potential" 582-91,

      2 "Review of 47 cases" 90-6, amjobstetgynecol1981;54

      3 "Malignant Brenner tumor asociated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obstetgynecol1963;22

      4 "Malignancy in Brenner tumors of the ovary" 246-67, obstetgynecolsurvey1963;18

      5 "Mali-gnant" 592-601 ovarianbrennertumorsi

      6 "International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umors Histological typing of ovarian tumors"

      7 "Hormonal activity of Brenner tumors in postmenopausal women" 666-70, amjobstetgynecol1962;83

      8 "Contribution to the case knowledge and histology of the Brenner tumor Do malignant forms of the Brenner tumor also occur? Acta Obstet Gynecol Scand 1945; 25" 114-27,

      9 "Clinicopathologic study of 58 cases of Brenner tumors of the ovary" 122-7, amjobstetgynecol1970;108

      10 "Brenner tumors of the ovary" 90-6, obstetgynecol1979;54

      1 "and of low malignant potential" 582-91,

      2 "Review of 47 cases" 90-6, amjobstetgynecol1981;54

      3 "Malignant Brenner tumor asociated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obstetgynecol1963;22

      4 "Malignancy in Brenner tumors of the ovary" 246-67, obstetgynecolsurvey1963;18

      5 "Mali-gnant" 592-601 ovarianbrennertumorsi

      6 "International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umors Histological typing of ovarian tumors"

      7 "Hormonal activity of Brenner tumors in postmenopausal women" 666-70, amjobstetgynecol1962;83

      8 "Contribution to the case knowledge and histology of the Brenner tumor Do malignant forms of the Brenner tumor also occur? Acta Obstet Gynecol Scand 1945; 25" 114-27,

      9 "Clinicopathologic study of 58 cases of Brenner tumors of the ovary" 122-7, amjobstetgynecol1970;108

      10 "Brenner tumors of the ovary" 90-6, obstetgynecol1979;54

      11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41 : 2018-2021, 1998

      12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41 : 2640-2642, 1998

      13 "A case of Brenner tumor of ovary" 43-4, koreanjobstetgynecol1963;6

      14 "A case of Brenner tumor" 1550-5, koreanjobstetgynecol1983;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7-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 -> 대한부인종양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부인종양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 -> 부인종양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8 0.12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9 0.73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