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 The Interaction Effects on Job Turnover and Occupational Turnover of Child Care Teachers by Child Care Efficacy and Burn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8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이직의도보다는 전직의도를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이직의도와 전직의도는 보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소진될수록 높았다. 셋째, 다른 보육시설로의 이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에 의해 소진될수록 높아졌다.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로 소진될수록 높아졌으나,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이 높을 때 보육효능감이 높으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이직 및 전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활동에서 경험하는 소진을 줄이고, 보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괄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이직의도보다는 전직의도를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이직의도와 전직의도는 보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소진될수록 높았다. 셋째, 다른 보육시설로의 이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에 의해 소진될수록 높아졌다.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로 소진될수록 높아졌으나,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이 높을 때 보육효능감이 높으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이직 및 전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활동에서 경험하는 소진을 줄이고, 보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괄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철, "직업 유사성에 의한 직업 군집화와 직업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339-366, 2008

      2 표갑수, "중 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6) : 1-23, 2011

      3 노혜미,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529-550, 2007

      4 황혜신,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8 (48): 23-32, 2010

      5 이유재,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주효과의 검증에 대한 연구" 23 (23): 183-210, 1994

      6 현정환,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4 (24): 117-131, 2003

      7 김현지,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5 (15): 45-54, 2006

      8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아동학회 26 (26): 55-70, 2005

      9 권혜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97-609, 2008

      10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1 박상철, "직업 유사성에 의한 직업 군집화와 직업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339-366, 2008

      2 표갑수, "중 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6) : 1-23, 2011

      3 노혜미,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529-550, 2007

      4 황혜신,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8 (48): 23-32, 2010

      5 이유재,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주효과의 검증에 대한 연구" 23 (23): 183-210, 1994

      6 현정환,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4 (24): 117-131, 2003

      7 김현지,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5 (15): 45-54, 2006

      8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아동학회 26 (26): 55-70, 2005

      9 권혜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97-609, 2008

      10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11 전미선,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8

      12 이재경,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6

      13 박은숙,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30 (30): 43-61, 2009

      14 이진화,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조직적심리적 요인, 직무만족도,이직의도 간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29-250, 2006

      15 조복희, "보육교사 양성교육체제에 관한 연구"

      16 손아랑,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81-101, 2009

      17 Whitebook, M., "Turnover begets turnover: an examination of job and occupational instability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18 : 273-293, 2003

      18 Allinder, R. M.,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17 : 86-95, 1994

      19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Burnout" 2 : 99-113, 1981

      20 Hoy, W. 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93 (93): 355-372, 1993

      21 Ashton, P. T.,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 28-32, 1984

      22 Torquati, J. C., "Teacher education, motivation, compensation, workplace support, and links to quality of center based child care and teachers' intention to say in the early childhood profession" 22 (22): 261-275, 2007

      23 Heckman, J., "Schools, skills, and synapses" 36 (36): 289-324, 2008

      24 나정, "OECD검토보고서: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정책에 대한 총괄적 진단과 대정부권고" 한국교육개발원 2004

      25 Whitebook, M.,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Child Care Employee Project 1989

      26 Melhuish, E., "Early years research and policy issues" 42-65, 2011

      27 Scottish Office,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plans 2001-2004" Edinburgh 2001

      28 Curbow, B., "Development of the child care worker job stress inventory" 15 (15): 515-536, 2000

      29 Stremmel, AJ,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Directors, teachers, and assistant teachers" 8 : 221-223, 1993

      30 Friedman. I. A.,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erformance" 56 (56): 595-606, 2000

      31 유희정,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