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 전후기노인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3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유형화한 후,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연령과 성별이 갖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함의를 고려하여 노인을 4개 하위인구집단(전기남성/전기여성/후기남성/후기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집단 별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자료는 2006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 기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65세 이상의 노인 4,1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후기 남녀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그 각각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전후기 남녀노인 모두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자녀에 대한 밀착, 의존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관계망의 핵심요소로 사회적 관계에서의 활동성,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독립성, 가족관계 만족도라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기술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유형화한 후,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연령과 성별이 갖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함의를 고려하여 노인을 4개 하위인구집단(전기남성/전기여성/후기남성/후기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집단 별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자료는 2006년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 기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65세 이상의 노인 4,1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후기 남녀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 및 기능적 특징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그 각각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전후기 남녀노인 모두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자녀에 대한 밀착, 의존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관계망의 핵심요소로 사회적 관계에서의 활동성, 자녀와의 관계에서의 독립성, 가족관계 만족도라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among old people and to analyze how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affect on the elderly's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populatio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among sub-population groups. Research utilized the first-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was carried out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Analyses were conducted toward 4.155 seniors over 65 year-old. The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were different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regard to the QOL,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male and female on the whole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However, frequency of contact with and dependency on their children had not positive effect on the QOL. The key psychosocial factors that are essential in social network in old age for improving the QOL were drawn; activ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among old people and to analyze how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affect on the elderly's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subjects wer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among old people and to analyze how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affect on the elderly's subjective quality of life(QO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populatio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among sub-population groups. Research utilized the first-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was carried out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Analyses were conducted toward 4.155 seniors over 65 year-old. The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were different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regard to the QOL,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social net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male and female on the whole i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However, frequency of contact with and dependency on their children had not positive effect on the QOL. The key psychosocial factors that are essential in social network in old age for improving the QOL were drawn; activ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2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 621-647, 2000

      3 이인정,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59-382, 2009

      4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5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사회적 지원망 특성 : 연결고리의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7-29, 2004

      6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19 (19): 173-192, 1999

      7 탁영란,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9 (9): 449-456, 2003

      8 윤경아, "사회적 지원과정에 관한 연구: 강화노인의 사적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9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0 김정석, "노후생활에서의 성별차이 - 경제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6 (26): 59-77, 2003

      1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2 박경숙,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 621-647, 2000

      3 이인정,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59-382, 2009

      4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5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사회적 지원망 특성 : 연결고리의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7-29, 2004

      6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19 (19): 173-192, 1999

      7 탁영란,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9 (9): 449-456, 2003

      8 윤경아, "사회적 지원과정에 관한 연구: 강화노인의 사적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9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0 김정석, "노후생활에서의 성별차이 - 경제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6 (26): 59-77, 2003

      11 이정인,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대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231-242, 2009

      12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95-1008, 2009

      13 정경희,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15 (15): 52-68, 1995

      14 박경숙, "노인 부모와 자녀 사이의 지리적 근접성에 대한 연구: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20 (20): 67-98, 1997

      15 이인정,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19 (19): 35-50, 1999

      16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17 김윤정, "가족부양이 장기요양보호노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1 (21): 99-112, 2001

      18 House, H. 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ision Wesley 1981

      19 Jopp, D., "Valuation of life in old and very old age: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social, and health resources for positive adaptation" 48 (48): 646-658, 2008

      20 Cohen, 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10-357, 1985

      21 Thoits, P. A.,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oretical possibilitie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artinus Nijoff 51-72, 1985

      22 Blazer, D. G., "Social support and mortality in 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115 : 684-694, 1982

      23 Due, P., "Social relations: network, support and relational strain" 48 : 661-673, 1999

      24 Antonucci, T. C., "Social relations: An examination of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ntrol. in :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Academic Press 427-453, 2001

      25 Tolsdorf, C., "Social networks, support, and coping" 15 : 407-417, 1976

      26 Carstensen, L., "Social and emotional patterns in adulthood: Support for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7 : 331-338, 1992

      27 Hirsch, B., "Psychological dimensions of social networks: A multi-method analysis" 7 : 263-277, 1979

      28 Antonucci, T. C.,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ocial behavior. in :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Van Nostrand Reinhold 94-129, 1985

      29 Litwak, E., "Organizational theory, social support, and mortality rates: A theoretical convergence" 54 : 49-66, 1989

      30 Hirsch, B., "Natural support systems and coping with major life changes" 8 : 159-172, 1980

      31 O'Reilly, P., "Methodological issues in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research" 26 : 863-873, 1988

      32 Cumming, E., "Growing Old" Basic Books 1961

      33 Wellman, B., "Different strokes from different folks: Community ties and social support" 96 (96): 558-588, 1990

      34 Newman, B. M.,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social approach. (5th Ed.)"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1

      35 Antonucci, T. C., "An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men and women" 17 : 737-749, 1987

      36 Neugarten, B. L.,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the young-old" 187-198, 1974

      37 Atchley, R. C.,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29 : 183-190, 1989

      38 Kessler, R. C.,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community samples." Social support and health" Academic Press 219-240, 1985

      39 Neugarten, B. L., ""Middle age and aging."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3-177, 1968

      40 Kahn, R. L.,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Academic Press 253-2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