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통일논의의 기독교 내러티브윤리적 접근 = Christian narrative ethical approach for reunifi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75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discussion of reunification of Korea, Christian community can be approached in two dimensions of the Church and the Christian intellectual communities.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Christian ethics for reunification, the narrative ethics will be ...

      In a discussion of reunification of Korea, Christian community can be approached in two dimensions of the Church and the Christian intellectual communities.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Christian ethics for reunification, the narrative ethics will be able to provide a richer reluctant to talk through the diverse ethical approaches rather than the other way. Because the narrative ethics can be called ethical approaches to put priority attention to the story. In the traditional church communities that goes beyond the doctrinal rigidity and stark ideology or system. And that shows a wide range of discourses that reflects the truth and situation of the communities rather than, etc. As we can see in the philosophy of Habermas, the conversation than ideology or system set a way for the truth. So the Christian narrative ethical concepts and approaches have a very dynamic spectrum and be able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at has laid in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theological basis for the relevant deba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통일 내러티는 교회 공동체와 기독 지성인 공동체라 는 두 차원에서 근할 수 있다. 통일 내러티에 한 기독교윤리의 평가는 다 른 방식보다는 내러티 윤리를 통해서 할 ...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통일 내러티는 교회 공동체와 기독 지성인 공동체라 는 두 차원에서 근할 수 있다. 통일 내러티에 한 기독교윤리의 평가는 다 른 방식보다는 내러티 윤리를 통해서 할 때 더 풍부한 이야기꺼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내러티 윤리는 교리 경직성을 넘어서서 교회 공동 체가 갖고 있는 이야기에 우선 심을 두는 윤리 근이라고 할 수 있고, 하버마스의 철학 등에서 볼 수 있듯 굳어진 이념이나 체계보다는 공동체의 상황 을 반하는 다양한 담론들이 진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을 갖게 되는 논의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내러티 윤리 개념과 근은 매우 역동인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한국의 통일 문제를 한 이론 토 마련에는 가장 합한 이론 배경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통일 논의를 한 이론 토로 재해 석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남북통일논의와 기독교 내러티브공동체
      • 1. 남북통일에 대한 기독교 내러티브 구성
      • 2. 내러티브윤리적 방법과 내용
      • III. 통일내러티브의 전개와 수용
      • I. 들어가는 말
      • II. 남북통일논의와 기독교 내러티브공동체
      • 1. 남북통일에 대한 기독교 내러티브 구성
      • 2. 내러티브윤리적 방법과 내용
      • III. 통일내러티브의 전개와 수용
      • 1. 통일콜로키움을 통한 내러티브 전개
      • 2. 통일 의식 관련 설문을 통한 내러티브 구성
      • IV. 나가는 말: 사회갈등 극복과 통합과 통전의 연대감 형성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oltmann, Jürgen, "희망의윤리" 대한 기독교서회 2012

      2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0

      3 김동진, "한반도 평화구축과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 한국신학연구소 2011

      4 남태욱,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현실주의" 나눔사 2012

      5 한기양,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 칼 바르트의 ‘화해론’을 바탕으로" 열린 2011

      6 윤영관, "한반도 통일" 늘품플러스 2013

      7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2" 나남출판사 1996

      8 김소영, "한국의 정치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3

      9 이삼열,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한울 2000

      10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1 Moltmann, Jürgen, "희망의윤리" 대한 기독교서회 2012

      2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0

      3 김동진, "한반도 평화구축과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 한국신학연구소 2011

      4 남태욱,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현실주의" 나눔사 2012

      5 한기양,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 칼 바르트의 ‘화해론’을 바탕으로" 열린 2011

      6 윤영관, "한반도 통일" 늘품플러스 2013

      7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2" 나남출판사 1996

      8 김소영, "한국의 정치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3

      9 이삼열,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한울 2000

      10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11 계훈제, "한국기독교는 무엇을 하려는가?" 한길사 1983

      12 통일위원회, "한국교회평화통일운동자료집"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00

      13 민경배, "한국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72

      14 정성한, "한국 기독교 통일 운동사" 그리심 2003

      15 박명림, "한국 1950 : 전쟁과 평화" 나남출판사 2003

      16 Sorel, Georges, "폭력에 대한 성찰" 도서출판 나남 2007

      17 황홍렬, "평화와 통일신학 I" 한들출판사 2002

      18 임성빈, "통합적인 통일과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예영커뮤니케이션 2003

      19 Padilla, C. Rene, "통전적 선교" 나눔사 1994

      20 한국기독교통일포럼, "통일한국포럼 : 통일을 향한 북한선교의 과제와 전망" 바울 2006

      21 Knopp, Guido, "통일을 이룬 독일총리들" 한울 2000

      22 허호익, "통일을 위한 기독교 신학의 모색 : 남남 및 남북 갈등과 통합적 통일신학" 동연 2010

      23 Klessmann, Christoph, "통일과 역사 새로 쓰기: 독일 현대사에서 배운다" 역사비평사 2004

      24 김영욱, "통일과 언론 : 독일의 경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25 주도홍, "통일, 그 이후(독일통일 15년의 교훈)"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6

      26 박명철, "통일 과정에서 남북한 교회의 활동과 윤리적 과제" 한국대학선교학회 (10) : 127-153, 2006

      27 변경원, "텍스트의 고난과 현실적 고통의 만남을 통한 비판적 프로네시스의 생성: 리쾨르의 형상화 개념을 통한 욥의 ‘내러티브’와 세월호 ‘스토리’의 만남"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5) : 193-218, 2016

      28 배기찬, "코리아 다시 생존의 기로에 서다" 위즈덤하우스 2005

      29 Stegemann, Ekkehard,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동연 2012

      30 김광식, "종교계의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1 홍병룡,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Ivp 2007

      32 Wolterstorff, Nicholas,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출 때까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7

      33 Josephus, Flavius, "유대전쟁사" 나남 2008

      34 Hengel, Martin, "유대교와 헬레니즘 1~3권" 나남 2012

      35 Weizsacker, Richard von, "우리는 이렇게 통일했다: 바이츠제커 회고록" 창비 2012

      36 Tutu, Desmond Mpilo, "용서없이 미래없다" 홍성사 2009

      37 염돈재, "올바른 통일준비를 위한 독일통일의 과정과 교훈" 평화문제연구소 2010

      38 계훈제, "역사와 민족" 한길사 1983

      39 Hays, Richard B, "신약의 윤리적 비전"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2

      40 Hengel, Martin, "신구약 중간사" 살림출판사 2004

      41 이형기, "성경의 내러티브 신학과 교회의 공적책임" 한들 2010

      42 민경진, "선구자들의 하나님" 한국성서학연구소 2005

      43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44 전태국, "사회통합과 한국 통일의 길" 한울 2013

      45 전우택,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46 이장형, "분단 고통의 기독교윤리적 의미와 극복방안으로서의 남북통일 모색" 한국개혁신학회 45 : 126-153, 2015

      47 조재길, "북핵위기와 한반도 평화의 길" 한울 2006

      48 윤영관, "북한의 체제전망과 남북경협" 한울 2003

      49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정치2" 경인문화사 2006

      50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정치1" 경인문화사 2006

      51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사회문화" 한울 2006

      52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사회" 경인문화사 2006

      53 경남대학교, "북한연구방법론" 한울 2003

      54 윤여상, "북한 종교자유"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 2008

      55 문장순, "북한 종교의 이해" 대명 2007

      56 KNCC 대구인권위원회 20년사 편집위원회, "복음과 인권 : 대구지역 기독교 사회운동 20년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대구인권위원회 2003

      57 Volf, Miroslav, "배제와 포용"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2

      58 박세혁, "배제와 포용" Ivp 2012

      59 기독교학문연구회, "민족통일과 한국기독교"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4

      60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 제일출판사 1965

      61 Scheuch, Erwin K., "독일통일의 배경" 종로서적 1992

      62 Schmidt, Helmut, "독일통일의 노정에서: 결산과 전망" 시와 진실 2007

      63 Priewe, Jan, "독일통일비용" 대륙연구소출판부 1994

      64 Weidenfeld, Werner, "독일통일백서" 한겨레신문사 1998

      65 Hickel, Rudolf, "독일통일 10년에 대한 중간 평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주한 협력 사무소 2000

      66 Kocka, Jurgen, "독일의 통일과 위기" 아르케 출판사 1999

      67 Zelikow. Philip, "독일 통일과 유럽의 변환" 모음북스 2008

      68 Muller, Uwe, "대재앙, 통일: 독일 통일로부터의 교훈" 문학세계사 2006

      69 이진우, "담론윤리의 해명" 문예출판사 1997

      70 Habermas, Juergen, "담론윤리의 해명" 문예출판사 1997

      71 Spicker, Friedemann, "논쟁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 창작과비평사 1991

      72 유경동, "남북한 통일과 기독교의 평화" 나눔사 2012

      73 김형기, "남북관계변천사"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74 임홍배, "기초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서울] 2011

      75 박정수, "기독교 신학의 뿌리 : 유대교 사상의 형성과 신약성서 배경사" 대한기독교서회 2008

      76 Hauerwas, Stanley,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77 문시영, "교회됨(Community of Character)" 북코리아 2010

      78 김영한, "개혁주의 평화통일신학" 숭실대학교출판부 2012

      79 손규태, "개신교 윤리사상사" 대한기독교서회 1998

      80 주한독일연방공화국대사관, "統一獨逸: Deutschland Wächst Wieder Zusammen: 하나이던 것이 다시 하나로" 駐韓獨逸聯邦共和國 大使館 1990

      81 Teltschik, Horst, "329일: 독일 통일의 기적을 만든 결정적 순간들" (주)한독산학협동단지 2007

      82 박세일, "21세기 한반도의 꿈 선진 통일 전략" 21세기북스 2013

      83 임현진, "21세기 통일한국을 향한 모색"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4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1

      85 Fulbrook, Mary, "(분열과 통일의) 독일사" 개마고원 2000

      86 동국대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 "(북한인권 토론회) 북한 인권실태에 대한 접근방법 모색" 국가인권위원회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