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verifies an aspect of the ‘pilgi’ (journal, 筆記) record pattern, which appeared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was continuously and actively author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until the early modern age. The ‘pilgi’ has the 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85491
신상필 (부산대학교)
2015
Korean
pilgi(journal ; 筆記) ; yadam(historical story ; 野談) ; gisaeng(妓生) ; independent ; chaste reputation. ; 필기 ; 야담 ; 기생 ; 여성 ; 주체 ; 烈節.
KCI등재
학술저널
29-52(2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verifies an aspect of the ‘pilgi’ (journal, 筆記) record pattern, which appeared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was continuously and actively author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until the early modern age. The ‘pilgi’ has the c...
This study verifies an aspect of the ‘pilgi’ (journal, 筆記) record pattern, which appeared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was continuously and actively author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until the early modern age. The ‘pilgi’ has the characteristic of recording the story of high class living; because mainly the nobility literary people were the authors. However, as the time changes, the ‘pilgi’ authors gradually began to have interest in the lower class people and recorde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e narrative character of a story. This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the ‘yadam’ (historical story, 野談) in the late Joseon period. During the process, the existence of the ‘gisaeng’ began to be noted in relation to the leisure and entertainment of the nobility.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presentation pattern of the ‘gisaeng’ in the ‘pilgi’ gradually changed.
The early period ‘pilgi’ acknowledged the outlook and the talent of the ‘gisaeng’. However, since the ‘pilgi’ focused on the impressive stori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poems by the nobility literary people, the ‘gisaeng’ existence mostly took the role as a medium in the record. However, in the early and middle of Joseon period, the artistic skill and the independent identity of the ‘gisaeng’ began to be noted. The representative cases are the ‘gisaeng’ Hwang Jin-i and the ‘gisaeng’ Iltahong. They were recorded in the ‘pilgi’ and were on everyone’s lips as the ‘gisaengs’ who decided their lives independently and acted on their own will.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awareness and view on the ‘gisaeng’ changed; because the ‘pilgi’ and ‘yadam’ at the time assessed and acknowledged the ‘gisaeng’ as an independent entity, more than an entertainer with artistic skill. However, this ended up merely as a trend limited to some special case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females were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ste reputation (烈節) and the identity of the ‘gisaeng’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disappeared. While the ‘pilgi’ and ‘yadam’ identified the ‘gisaeng’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the ideology of the chaste reputation led the trend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ecording cases on the ‘gisaeng’ in the ‘pilgi’ and ‘yadam’ during the Joseon period changed from the view and judgment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to an identity in a kind of translation dimension.
본고는 고려후기에 모습을 드러내어 조선전기부터 근대초기까지 꾸준하고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筆記의 기록 양상의 한 가지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필기는 주로 상층의 사대부 문인들...
본고는 고려후기에 모습을 드러내어 조선전기부터 근대초기까지 꾸준하고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던 筆記의 기록 양상의 한 가지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필기는 주로 상층의 사대부 문인들이 창작 주체였다는 점에서 상층 생활 위주의 이야기를 기록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점차 하층의 인물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이야기의 서사적 성격이 짙은 見聞을 기록하였고, 이로부터 조선후기 野談의 출현을 이룰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사대부들의 여가와 유흥에 관련하여 기생들의 존재가 필기에 점차 포착되기 시작하였고, 조선조의 기간을 지나면서 기생에 대한 필기의 형상화 양상은 점차적인 변모를 보여주었다.
초기의 필기들은 기생들의 외모와 재능을 인지하였지만 이들 기록은 사대부 문인들의 漢詩 창작에 관계된 美談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생들의 존재는 기록의 매개적 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조선전기를 거치고 중기로 접어들면서 기생들의 技藝와 한 개인으로서의 주체적인 면모에 주목할 수 있게 되었다. 기생 황진이와 一朶紅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기생의 신분이면서도 자신들의 삶을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한 인물에 관심을 갖고 기록함으로써 세간에 회자된 인물들이다. 여기서 필기․야담이 기생에 대해, 단순히 기예를 갖춘 예능인으로서의 기생이 아닌 하나의 주체적 개인으로 평가하고 인정한다는 점에서, 인식과 시야를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특수한 사례에 해당하는 경향성에 그치고 말며, 조선후기의 경우 烈節의 측면에서 여성을 재단함으로써 주체화된 개인으로서의 기생의 면모는 더 이상 확인하기 힘든 상황의 역전을 보여준다. 이는 필기와 야담이 한 개인을 주체적 면모로 파악하려던 경향성이 열절이라는 이념적 측면에 견인되는 조선후기적 상황을 말해준다. 이로부터 조선조 필기․야담의 기생에 대한 기록 사례는 하나의 주체적 개인에 대한 시각과 판단에 일종의 번역적 차원에서의 변모상이 발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동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헌설화전집 1" 태학사 1991
2 "한국고전번역원"
3 전규태, "한국고전문학전집 10" 수문서관 1983
4 강명관, "조선후기 기녀제도의 변화와 京妓"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18): 5-28, 2009
5 정우봉, "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18): 421-454, 2009
6 정우봉,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8 (38): 433-463, 2010
7 임형택,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비평사 1985
8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2007
9 安惠珍, "朝鮮前期 妓女制度 硏究" 誠信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10 신익철, "於于野談" 돌베개 2006
1 동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헌설화전집 1" 태학사 1991
2 "한국고전번역원"
3 전규태, "한국고전문학전집 10" 수문서관 1983
4 강명관, "조선후기 기녀제도의 변화와 京妓"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18): 5-28, 2009
5 정우봉, "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18): 421-454, 2009
6 정우봉,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8 (38): 433-463, 2010
7 임형택,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비평사 1985
8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2007
9 安惠珍, "朝鮮前期 妓女制度 硏究" 誠信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10 신익철, "於于野談" 돌베개 2006
11 조혜란, "<협창기문(俠娼奇聞)>에 나타난 죽음의 성격" 한국고전연구학회 20 (20): 73-107, 2009
12 이신성, "<일타홍 이야기>의 전개양상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회 14 : 1991
사대부와 기녀의 시조 수창에 대한 고찰-玉所 權燮과 可憐의 경우를 중심으로-
朝鮮朝 妓女劒舞의 文學的 形象化에 대한 考察 -劒舞詩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36 | 0.36 | 0.35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37 | 0.36 | 0.74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