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림과 둠밈: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스 2:63)에 관한 소고 = Urim and Thummim: A Study on Ezra 2:6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Ezra 2:63,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Ezra 2:63 forbids the priesthood from three families by using the expression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Considering that the last occurrence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in the Old Testament was at the time of King Saul, the meaning of Ezra 2:63 is unclear as to whether the restriction of the families is intended for a temporary period or for a long time in the absence of Urim and Thummim.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Ezra 2:63 in two parts. First,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through the study of the Hakkoz family, which was banned from the priesthood in Ezra 2:63 and reappeared as priests in Ezra, Nehemiah, and Chronicles. Second, it explores the Bible translations and extra-biblical literatures related to Urim and Thummim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Urim and Thummim in the days of Ezra and Nehemiah.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Ezra 2:63,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Ezra 2:63 forbids the priesthood from three families by using the expression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Ezra 2:63,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Ezra 2:63 forbids the priesthood from three families by using the expression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Considering that the last occurrence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in the Old Testament was at the time of King Saul, the meaning of Ezra 2:63 is unclear as to whether the restriction of the families is intended for a temporary period or for a long time in the absence of Urim and Thummim.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Ezra 2:63 in two parts. First,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through the study of the Hakkoz family, which was banned from the priesthood in Ezra 2:63 and reappeared as priests in Ezra, Nehemiah, and Chronicles. Second, it explores the Bible translations and extra-biblical literatures related to Urim and Thummim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Urim and Thummim in the days of Ezra and Nehemia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이라는 문장이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이다. 에스라 2:63은“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이란 표현을 사용하여 포로 귀환 후 족보에서 자신의 이름을 찾지 못한 제사장 가문들에게 제사장 직분과 지성물 먹는 것을 금지하였다. 구약성경에서 우림과 둠밈의 사용이 마지막으로 언급된 것이 사울 왕 시기인 것을 고려하면, 에스라 2:63의 의미가 우림과 둠밈을 통해 제사장 가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시적인 제한 조치였는지 혹은 우림과 둠밈이 없는 상황에서 불명확한 제사장 가문들을 제사장 직분으로부터 오랜 시간 배제하기 위한 조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의미와 에스라 느헤미야 시대의 우림과 둠밈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두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에스라 2:61-63에서 제사장직이 금지되었던 가문 가운데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기에서 제사장으로 다시 등장하는 학고즈 가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제2성전 시대의 우림과 둠밈과 관련한 성경역본과 성경 외 문서들을 연구함으로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에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 후 에스라 2:63의 의미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이라는 문장이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이다. 에스라 2:63은“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이라는 문장이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이다. 에스라 2:63은“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이란 표현을 사용하여 포로 귀환 후 족보에서 자신의 이름을 찾지 못한 제사장 가문들에게 제사장 직분과 지성물 먹는 것을 금지하였다. 구약성경에서 우림과 둠밈의 사용이 마지막으로 언급된 것이 사울 왕 시기인 것을 고려하면, 에스라 2:63의 의미가 우림과 둠밈을 통해 제사장 가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시적인 제한 조치였는지 혹은 우림과 둠밈이 없는 상황에서 불명확한 제사장 가문들을 제사장 직분으로부터 오랜 시간 배제하기 위한 조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의미와 에스라 느헤미야 시대의 우림과 둠밈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두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에스라 2:61-63에서 제사장직이 금지되었던 가문 가운데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기에서 제사장으로 다시 등장하는 학고즈 가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제2성전 시대의 우림과 둠밈과 관련한 성경역본과 성경 외 문서들을 연구함으로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에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 후 에스라 2:63의 의미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일, "우림과 둠밈, 에봇, 그리고 언약궤 - 제사장의 점술 도구들" 한국구약학회 18 (18): 112-135, 2012

      2 장춘식, "에스라/느헤미야" 대한기독교서회 2007

      3 윌리암슨, H. G. M., "에스라 ‧ 느헤미야" 솔로몬 2008

      4 Robertson, E., "The Urim and Thummim: What Are They?" 14 : 67-74, 1964

      5 Houtman, C., "The Urim and Thummim: A New Suggestion" 40 : 229-232, 1990

      6 Van Dam, Cornelis, "The Urim and Thummim : A Means of Revelation in Ancient Israel" Eisenbrauns 1997

      7 Kitz, Anne M., "The Plural Form of ’Ûrîm and Tummîm" 116 : 401-410, 1997

      8 Klein, Ralph W., "The New Interpreter’s Bible vol. 3" Abingdon Press 665-671, 1994

      9 Bakon, Shimon, "The Mystery of the Urim Ve-Tummim" 43 : 241-245, 2015

      10 Japhet, Sara, "Temple Community in the Persian Period, JSOTSup 175" Sheffield Academic 1994

      1 강승일, "우림과 둠밈, 에봇, 그리고 언약궤 - 제사장의 점술 도구들" 한국구약학회 18 (18): 112-135, 2012

      2 장춘식, "에스라/느헤미야" 대한기독교서회 2007

      3 윌리암슨, H. G. M., "에스라 ‧ 느헤미야" 솔로몬 2008

      4 Robertson, E., "The Urim and Thummim: What Are They?" 14 : 67-74, 1964

      5 Houtman, C., "The Urim and Thummim: A New Suggestion" 40 : 229-232, 1990

      6 Van Dam, Cornelis, "The Urim and Thummim : A Means of Revelation in Ancient Israel" Eisenbrauns 1997

      7 Kitz, Anne M., "The Plural Form of ’Ûrîm and Tummîm" 116 : 401-410, 1997

      8 Klein, Ralph W., "The New Interpreter’s Bible vol. 3" Abingdon Press 665-671, 1994

      9 Bakon, Shimon, "The Mystery of the Urim Ve-Tummim" 43 : 241-245, 2015

      10 Japhet, Sara, "Temple Community in the Persian Period, JSOTSup 175" Sheffield Academic 1994

      11 Redditt, Paul L., "New Perspectives on Ezra-Nehemiah: History and Historiography, Text,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Eisenbrauns 223-240, 2012

      12 Blenkinsopp, Joseph, "Ezra-Nehemiah : A Commentary" Westminster 1988

      13 Myers, Jacob M., "Ezra-Nehemiah" Doubleday 1965

      14 Koch, Klaus, "Ezra and the Origins of Judaism" 19 : 173-197, 1974

      15 Kidner, Derek, "Ezra & Nehemiah, Tyndale Old Testament Commentaries" Inter-Varsity Press 1979

      16 Kellermann, Ulrich, "Erwägungen zum Problem der Esradatierung" 80 : 68-69, 1968

      17 Fried, Lisbeth S., "Did Second Temple High Priests Possess The Urim and Thummim?" 7 : 2-25, 2007

      18 Shearer, Rodney H., "Anchor Bible Dictionary 4" Doubleday 1992

      19 W, Wright, "Anchor Bible Dictionary 3" Doubleday 24-25,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0.64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