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울의 공간의 윤리학 ―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을 중심으로 = Paul’s Space: Ethics at the Lord’s Supper (1 Cor 11:17-34)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주의 만찬을 둘러싼 고린도교회의 문제들과,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바울의 노력을 ‘밀실’과 ‘광장’의 공간윤리 담론으로 읽어낸다. “‘밀실"은개인의 사적 행위와 개인의 유익(τὸ ἴδιον) 추구가 ‘허용되는’(ἔξεστιν) ‘idiotopia’( 사적 공간)이며, ‘광장’은 공익(τὸ συμφέρον)이 추구되는 ‘koinotopia’ (공적 공간)이다.” 필자는 다음의 네 가지를 근거로 주의 만찬을 둘러싼 분쟁을 밀실과 광장의 공간윤리 문제로 풀어간다. 첫째로 바울이 ‘자기 만찬’ 과 ‘주의만찬’을 대비시킴으로 각 행위의 공간을 구별하고 있고, 둘째로 가정집에서의 모임을 οἰκία 공간(이디오토피아)과 ἐκκλησία 공간(코이노토피아)으로 구별하여, 기능과 윤리에서 각각 차이를 두고 있으며, 셋째로 몸(광장)의 윤리를 사용하고 있고, 마지막 네 번째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야기를 이디온 문제의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논증해 갈 것이다. 이 네 가지는 만찬에서의 분열이 공간의 전이(transition of space)와 그에 따른 윤리 전이(transition of ethics)의 실패와 관련이 있으며, 바울은 유사한 그레코-로마의 공간윤리 담론으로 문제를 풀어가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주의 만찬을 둘러싼 고린도교회의 문제들과,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바울의 노력을 ‘밀실’과 ‘광장’의 공간윤리 담론으로 읽어낸다. “‘밀실"은개인의 사적 행위와 개인의...

      본 논문은 주의 만찬을 둘러싼 고린도교회의 문제들과,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바울의 노력을 ‘밀실’과 ‘광장’의 공간윤리 담론으로 읽어낸다. “‘밀실"은개인의 사적 행위와 개인의 유익(τὸ ἴδιον) 추구가 ‘허용되는’(ἔξεστιν) ‘idiotopia’( 사적 공간)이며, ‘광장’은 공익(τὸ συμφέρον)이 추구되는 ‘koinotopia’ (공적 공간)이다.” 필자는 다음의 네 가지를 근거로 주의 만찬을 둘러싼 분쟁을 밀실과 광장의 공간윤리 문제로 풀어간다. 첫째로 바울이 ‘자기 만찬’ 과 ‘주의만찬’을 대비시킴으로 각 행위의 공간을 구별하고 있고, 둘째로 가정집에서의 모임을 οἰκία 공간(이디오토피아)과 ἐκκλησία 공간(코이노토피아)으로 구별하여, 기능과 윤리에서 각각 차이를 두고 있으며, 셋째로 몸(광장)의 윤리를 사용하고 있고, 마지막 네 번째로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야기를 이디온 문제의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논증해 갈 것이다. 이 네 가지는 만찬에서의 분열이 공간의 전이(transition of space)와 그에 따른 윤리 전이(transition of ethics)의 실패와 관련이 있으며, 바울은 유사한 그레코-로마의 공간윤리 담론으로 문제를 풀어가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read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Lord’s Supper and Paul's efforts to resolve them by Greco-Roman ethical discourses of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Private space’ is an ‘idiotopia’ where personal acts and personal interests (τὸ ἴδιο ν) are allowed, and ‘public space’ is a ‘koinotopia’ where the common good (τὸ συμφέρον) is pursued.” The author attempts to unravel the controversi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interpretive grounds and arguments. First, Paul works on the dichotomy of different ‘spaces’ of action by comparing τὸ ἴδιον δεῖπνον (personal meal) and τὸ κυριακὸν δεῖπνον (the Lord’s Supper). Secondly, Paul contrasts the οἰκία (idiotopia) space and the ἐκ-κλησία (koinotopia), drawing a clear line between the two in terms of the function and the ethics of each. Thirdly, Paul utilizes the body (the public space) metaphor to advance his argument. Finally, Paul presents the story of Jesus’ Cross as the solution to the ‘idion’ problem in Corinth. The author will demonstrate that the divisive controversies over the issue of the Lord’s Supper is related to the failure of ‘transition of space’ and the resulting failure of ‘transtion of ethics,’ In short, the author attempts to resolve these controversies in the context of the Greco-Roman space-ethics.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read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Lord’s Supper and Paul's efforts to resolve them by Greco-Roman ethical discourses of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Private space’ is an ‘idiotop...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read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Lord’s Supper and Paul's efforts to resolve them by Greco-Roman ethical discourses of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Private space’ is an ‘idiotopia’ where personal acts and personal interests (τὸ ἴδιο ν) are allowed, and ‘public space’ is a ‘koinotopia’ where the common good (τὸ συμφέρον) is pursued.” The author attempts to unravel the controversi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interpretive grounds and arguments. First, Paul works on the dichotomy of different ‘spaces’ of action by comparing τὸ ἴδιον δεῖπνον (personal meal) and τὸ κυριακὸν δεῖπνον (the Lord’s Supper). Secondly, Paul contrasts the οἰκία (idiotopia) space and the ἐκ-κλησία (koinotopia), drawing a clear line between the two in terms of the function and the ethics of each. Thirdly, Paul utilizes the body (the public space) metaphor to advance his argument. Finally, Paul presents the story of Jesus’ Cross as the solution to the ‘idion’ problem in Corinth. The author will demonstrate that the divisive controversies over the issue of the Lord’s Supper is related to the failure of ‘transition of space’ and the resulting failure of ‘transtion of ethics,’ In short, the author attempts to resolve these controversies in the context of the Greco-Roman space-eth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연경, "주의 만찬과 자기를 살핌(고전 11:17-34)" 16 : 177-206, 2004

      2 Casey, Edward S., "장소의 운명" 에코리브르 2016

      3 Relph, Edward,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4 이상목, "바울의 성령 이해와 그리스도의 몸이 지닌 공동체적 의미 - 대안 사회로서의 고린도교회" 한국신약학회 23 (23): 441-476, 2016

      5 Banks, Robert, "바울의 공동체: 문화적 배경에서 본 초기 교회들" IVP 2004

      6 문병구, "바울의 sma 이해와 윤리-고린도전서 6:12-20의 해석학적 이해" 한국신약학회 15 (15): 105-133, 2008

      7 CHANG KEI EUN CHRISTOPHER, "밀실에서 광장으로 -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의 교회론"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6 (16): 176-212, 2017

      8 문병구, "나를 기억하라! - 고전 11:17-34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2 (12): 84-107, 2013

      9 최인훈, "광장" 문학과지성사 1961

      10 한현미, "공간의 인문학: 어떻게 더 행복한 공간에서 살 수 있을까?" 맘에드림 2018

      1 권연경, "주의 만찬과 자기를 살핌(고전 11:17-34)" 16 : 177-206, 2004

      2 Casey, Edward S., "장소의 운명" 에코리브르 2016

      3 Relph, Edward,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4 이상목, "바울의 성령 이해와 그리스도의 몸이 지닌 공동체적 의미 - 대안 사회로서의 고린도교회" 한국신약학회 23 (23): 441-476, 2016

      5 Banks, Robert, "바울의 공동체: 문화적 배경에서 본 초기 교회들" IVP 2004

      6 문병구, "바울의 sma 이해와 윤리-고린도전서 6:12-20의 해석학적 이해" 한국신약학회 15 (15): 105-133, 2008

      7 CHANG KEI EUN CHRISTOPHER, "밀실에서 광장으로 -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의 교회론"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6 (16): 176-212, 2017

      8 문병구, "나를 기억하라! - 고전 11:17-34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2 (12): 84-107, 2013

      9 최인훈, "광장" 문학과지성사 1961

      10 한현미, "공간의 인문학: 어떻게 더 행복한 공간에서 살 수 있을까?" 맘에드림 2018

      11 박영호, "가정교회는 교회인가? – 예배 공간과 공동체의 정체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학회 (94) : 5-32, 2014

      12 van Kooten. G. H., "‘Ekklesia tou theou’: The ‘Church of God’ and the Civic Assemblies (ekklesiai) of the Greek Cities in the Roman Empire: A Response to Paul Trebilco and Richard A. Horseley" 58 : 522-548, 2012

      13 Schmidt, K. L., "ἐκκλησία" 3 : 501-536,

      14 Økland, Jorunn, "Women in Their Place : Paul and the Corinthian Discourse of Gender and Sanctuary Space" T&T Clark International 2004

      15 Trebilco, Paul, "Why Did the Early Christians Call Themselves he ekklesia?" 57 : 440-460, 2011

      16 박영호, "Why Did Paul Use the Term ἐκκλησία, in His Letters?" 한국신약학회 23 (23): 401-440, 2016

      17 McCready, Wayne O., "Voluntary Associations in the Graeco-Roman World" Routledge 59-73, 1996

      18 Smith, Zonathan Z., "To Take Place : Toward Theory in Ritu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19 Theissen, Gerd, "The Social Setting of Pauline Christianity : Essays on Corinth" Fortress 1982

      20 Blumenfeld, Bruno, "The Political Paul : Justice, Democracy and Kingship in a Hellenistic Framework" Sheffield Academic 2001

      21 Last, Richard, "The Neighborhood (vicus) of the Corinthian ekklesia: Beyond Family-Based Descriptions of the First Urban Christ-Believers" 38 (38): 399-425, 2016

      22 McVay, John K., "The Human Body as Social and Political Metaphor in Stoic Literature and Early Christian Writers" 37 : 135-147, 2000

      23 Thiselton, A. C.,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Eerdmans/Carlisle 2000

      24 Gordon, D. Fee,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Eerdmans 1987

      25 Lampe, P., "The Eucharist: Identifying with Christ on the Cross" 48 : 36-49, 1994

      26 Adams, Edward, "The Earliest Christian Meeting Places: Almost Exculsively Houses?" Bloomsbury T&T Clark 2013

      27 Philip, George, "The Corinthian Lord’s Supper: Paul’s Critique of the Greco-Roman Meal Tradition" 2 (2): 67-86, 2019

      28 Chang, Kei Eun, "The Community, the Individual and the Common Good: To Idion and To Sympheron in the Greco-Roman World and Paul" Bloomsberry T&T Clark 2013

      29 Beale, G. K., "The Background of ekklesia Revisted" 38 : 151-168, 2015

      30 Murphy-O’Connor, J., "St. Paul’s Corinth. Texts and Archeology" Litergical 2002

      31 Horrell, David G., "Solidarity and Difference : A Contemporary Reading of Paul’s Ethics" T&T Clark 2005

      32 Coutsoumpos, P., "SBL 84" Peter Lang 2005

      33 Foucault, Michel, "Rethinking Architecture: A Reader in Cultural Theory" Routledge 330-336, 1997

      34 Kloppenborg, John S., "Precedence at the Communal Meal in Corinth" 58 : 167-203, 2016

      35 Barton, Steven C., "Paul’s Sense of Place: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Community Formation in Corinth" 32 : 225-246, 1986

      36 Park, Young-ho, "Paul’s Ekklesia as a Civic Assembly : Understanding the People of God in Their Politico-Social World" Mohr Siebeck 2015

      37 Alappatt, Vincent, "Pauline Perspective on the Lord’s Supper" 26 (26): 62-81, 2000

      38 Carter, Timothy L., "Paul, Jews, Greek, and Roman" Brill 93-115, 2008

      39 Mitchell, Margart M., "Paul and the Rhetoric of Reconciliation : An Exegetical Investigation of the Language and Composition of 1 Corinthians"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1

      40 Brookins, Timothy A., "Paul and the Ancient Body Metaphor: Reassessing Parallels" 6 : 75-98, 2016

      41 Finney, Mark T., "Honor and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 1 Corinthians in Its Greco-Roman Social Setting" Bloomsbury T&T Clark 2012

      42 Wallace, Daneil B.,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Zondervan 1996

      43 Seifrid, Mark A., "Gift of Remembrance: Paul and the Lord’s Supper in Corinth" (Spring) : 119-129, 2016

      44 Hays, Richard B., "First Corinthians" John Knox Press 1999

      45 Geernaert, Donna, "Faith and Order at the Crossroads" WCC 397-405, 2005

      46 Horrell, David G., "Ethische Normen des frühen Christentumus:Gut-Leben-Leib-Tugend" Mohr Siebeck 351-363, 2013

      47 Horrell, David G., "Domestic Space and Christian Meetings at Corinth: Imagining New Contexts and the Buildings East of the Theatre" 50 : 349-369, 2004

      48 Weiss, K., "Der erste Korintherbrief" Vandenhoeck & Ruprecht 1910

      49 Lampe, P., "Das korinthische Herrenmahl im Schnittpunkt hellenistishc-romischer Mahlpraxis und paulinishcher Theologia Crucis (1 Kor 11,17-34)" 82 : 183-213, 1991

      50 Weissenrieder, Annette, "Contested Spaces:Houses and Temples in Roman Antiquity and the New Testamen" Mohr Siebeck 2012

      51 Murphy-O’Connor, J., "Christianity at Corinth: The Quest for the Pauline Church" Westminster John Knox 129-138, 2004

      52 Adams, Edward, "Christianity at Corinth: The Quest for the Pauline Churc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53 박노훈, "Between and Beyond Reciprocity and Communion: A Critical Review and Search for Reconstruction in light of the Lord’s Supper" 한국기독교학회 (101) : 157-173, 2016

      54 Winter, Bruce, "After Paul Left Corinth : The Influence of Secular Ethics and Social Change" Eerdmans 2001

      55 Metzger, Bruce,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American Bible Society 1994

      56 Blass F.,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57 Gardner, Paul, "1 Corinthians : Zondervan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Zondervan 2018

      58 Das, A. Andrew., "1 Corinthians 11:27-34 Revisited" 62 : 187-208, 1998

      59 Garland, David, "1 Corinthians" Baker Academic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0.64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