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s linguistic hybridity in Min-jin Lee’s Pachinko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s theory of sociology, with specific focus on the concepts of habitus, capital, and field. First, Lee’s habitus is specifically examined 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4979
2022
Korean
이민진 ; 『파친코』 ; 이산문학 ; 혼종성 ; 부르디외 사회학 ; Min Jin Lee ; Pachinko ; diaspora literature ; hybridity ; Bourdieu’s Sociology
KCI등재
학술저널
141-167(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linguistic hybridity in Min-jin Lee’s Pachinko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s theory of sociology, with specific focus on the concepts of habitus, capital, and field. First, Lee’s habitus is specifically examined a...
This study analyzes linguistic hybridity in Min-jin Lee’s Pachinko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s theory of sociology, with specific focus on the concepts of habitus, capital, and field. First, Lee’s habitus is specifically examined as a Korean American writer. Her awareness that representing history accurately is crucial, and her belief that literature can be one of the ways of conveying history are also examined. In addition, as a history major, Lee accumulated a wide range of historical knowledge, cultivated a capability for meticulous historical research, and strengthened her skills as a writer by participating in various workshops. Two critical changes in the social field,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diaspora writers, made it possible for Pachinko to garner global popularity. However, when Pachinko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marked linguistic hybridity in the original was transformed into an unmarked language in the translation and, consequently, the author’s intention and message that are to be conveyed through such hybridity disappeared. The feeling of otherness and unfamiliarity that is intentionally created through linguistic hybridity can be tarnish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f the linguistic markedness in the original is not preserved. In consequence, the quality of the work can be damaged by the removal of the linguistic hybridity in translation; therefore, linguistic hybridity in diaspora literary works, which is the meaningful outcome of cultural translation, should be carefully preserved in inter-lingual transl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나경, "혼종성의 번역양상에 대한 일고찰-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6) : 137-154, 2016
2 김현생, "한국·미국·베트남의 베트남전쟁 소설 연구: 부르디외의 ‘장’과 ‘아비투스’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영미어문학회 (121) : 33-57, 2016
3 이민진, "파친코" 인플루엔셜 2022
4 이재봉, "틈새 인간의 말더듬이 존재론 - 김학영과 그의 문학"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389-421, 2010
5 박미정, "탈식민주의 ‘문화번역’의 담론적 실천-유미리의 『8월の果て』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1) : 313-336, 2015
6 송화연, "중국어 인사말과 호칭의 문화적 의미 분석" 중국학연구회 (40) : 91-114, 2007
7 안정아, "서유견문(西遊見聞)의 문화(文化) 관련 어휘 연구 -‘의식주’, ‘결혼 및 장례’, ‘여가’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71 : 33-60, 2014
8 이영훈, "번역사회학 개관: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을 기반으로" 2 : 45-69, 2020
9 이상빈, "문화번역의 텍스트적 재현과 ‘번역’ 이창래의 Native Speaker와 그 번역본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8 (18): 119-140, 2014
10 손영희,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 넘기: 이민진의 『파친코』에 나타난 경계인의 실존양상" 미래영어영문학회 25 (25): 65-86, 2020
1 이나경, "혼종성의 번역양상에 대한 일고찰-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6) : 137-154, 2016
2 김현생, "한국·미국·베트남의 베트남전쟁 소설 연구: 부르디외의 ‘장’과 ‘아비투스’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영미어문학회 (121) : 33-57, 2016
3 이민진, "파친코" 인플루엔셜 2022
4 이재봉, "틈새 인간의 말더듬이 존재론 - 김학영과 그의 문학" 현대문학이론학회 (43) : 389-421, 2010
5 박미정, "탈식민주의 ‘문화번역’의 담론적 실천-유미리의 『8월の果て』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1) : 313-336, 2015
6 송화연, "중국어 인사말과 호칭의 문화적 의미 분석" 중국학연구회 (40) : 91-114, 2007
7 안정아, "서유견문(西遊見聞)의 문화(文化) 관련 어휘 연구 -‘의식주’, ‘결혼 및 장례’, ‘여가’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71 : 33-60, 2014
8 이영훈, "번역사회학 개관: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학 이론을 기반으로" 2 : 45-69, 2020
9 이상빈, "문화번역의 텍스트적 재현과 ‘번역’ 이창래의 Native Speaker와 그 번역본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8 (18): 119-140, 2014
10 손영희,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 넘기: 이민진의 『파친코』에 나타난 경계인의 실존양상" 미래영어영문학회 25 (25): 65-86, 2020
11 선영아, "다언어 글쓰기와 번역의 문제" 인문학연구원 72 (72): 293-324, 2015
12 임진, "나는 왜 번역하는가?- 한 중국어 출판번역가의 아비투스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59-679, 2021
13 박은숙 ; 박윤희, "『채식주의자』 번역을 통해 본 ‘번역가 브리프’ 기능 연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7) : 97-116, 2019
14 김용석 ; 서종석, "『자기 앞의 생』의 한국어 번역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1) : 105-147, 2020
15 Tyulenev, Sergey, "Translation and Society-An Introduction" Routledge 2014
16 Pym, Anthony, "Translation Research Terms: A Tentative Glossary for Moments of Perplexity and Dispute"
17 Maton, Karl, "Pierre Bourdieu-Key Concepts" Routledge 48-64, 2012
18 Lee, Min Jin, "Pachinko" Appollo 2017
19 Jakobson, Roman, "On Linguistic Aspects of Translation"
20 Bourdieu, Pierre, "In Other Words: Essays Toward a Reflexive Sociolog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영한 번역에서 ‘-은/는’과 ‘-이/가’의 선택 문제: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번역 양상 고찰
The Possibility of Archetypal Cogit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in East-West Mythological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