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진로상담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내담자의 진로 결정을 효과적으로 돕는 것이며 진로결정을 돕기 위하여 상담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Holland 이론에 근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915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진로상담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내담자의 진로 결정을 효과적으로 돕는 것이며 진로결정을 돕기 위하여 상담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Holland 이론에 근거...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진로상담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내담자의 진로 결정을 효과적으로 돕는 것이며 진로결정을 돕기 위하여 상담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Holland 이론에 근거한 매칭방식이다.
○ Holland(1997)는 개인의 특성을 흥미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실재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 관습형)으로 구분하고, 환경도 개인의 유형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흥미 유형에 일치하는 환경에서 일할 때 더 만족하고, 더 안정적으로 오래 일하며 성취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치성(congruence) 가정을 토대로 실제로 많은 상담자와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진로선택을 돕고 있는 상황이다.
○ 그런데 Holland의 일치성 가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 결과는 모호하다. 어떤 연구들은 일치성이 현재 직업에서의 만족도와 관련된다고 보고하는 반면, 어떤 연구들에서는 그 결과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Young, Tokar, & Subich, 1998, 공윤정, 2005에서 재인용). 특별히, Holland이론이 한국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들(탁진국, 1995; 황매향, 2004, 공윤정, 2005; 김현재, 2006)은 Holland 이론이 한국문화권에도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지만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이 이론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흥미-전공 일치도에 따른 전공 적응수준의 차이를 검토해보려고 한다. 또한 이러한 흥미요인 외에 자아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 전공선택과정(전공선택 동기, 선택시기, 선택 시 전공에 대한 지식정도, 선택에서의 본인의지)에 따라 전공 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 것도 검증해 보려고 한다.
○ 이러한 양적인 분석방법 외에 개인흥미-학과일치도가 낮지만 학과적응을 잘하는 학생들, 반대로 개인흥미-학과 일치도가 높지만 학과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하여 이들의 전공 선택 동기, 적응과정의 경험 등에 대한 자료를 얻음으로써 전공 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2. 연구문제
1) Holland의 개인-전공 일치정도에 따라 전공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2) 자아효능감 수준에 따라 전공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3) 전공선택 관련 요인(전공선택 동기, 선택시기, 선택 시 전공에 대한 지식정도, 선택에서의 본인의지)에 따라 전공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4) Holland의 개인-전공 일치정도가 높지만 전공적응 수준이 낮은 학생들(A)과 개인-전공 일치정도가 낮지만 전공적응 수준이 높은 학생들(B)의 특성(자아효능감, 전공선택 관련 요인, 기타요인)은 어떠한가?
3. 연구방법
1) 연구대상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1학년을 제외한 2,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1,2학년을 제외한 이유는 전공을 선택하지 않았거나 선택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전공 적응을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2) 측정도구
(1) 학생개인의 흥미유형 측정
학생 개인의 흥미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Holland(1977)의 SDS(Self-Directed Search)를 번안 및 수정하여 제작한 안창규․안현의(2000)의 자기탐색검사를 사용하고자 한다.
(2) 학과(전공)적응의 측정
본 연구에서는 (박성미, 2001)를 기초로 학과만족에 대한 것과 진로목표안정성에 대한 것의 일부를 선택하여 세 가지 요인 - 학과선택의 만족, 학업수행의 만족, 진로목표의 안정성- 으로 학과(전공)적응을 측정하고자 한다.
(3) 자아효능감 측정
Shere등(1982)이 Bandura의 자아효능감이론에 근거하여 제작한 자아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역한 질문지를 사용하고자 한다.
(4) 전공선택과정 측정
학생들이 현재 재학 중인 전공을 선택한 것과 관련된 질문은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신입생 및 재학생 실태조사 문항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만들어 사용할 계획이다. 크게 전공을 선택하게 된 동기, 전공을 선택한 시기, 선택당시 전공에 대한 지식의 정도, 선택당시 개인의 결정의지에 대한 것을 질문할 예정이다.
(5) 면담질문지
개인별 사례분석은 양적인 측정방식을 통해 얻기 힘든 다양한 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반구조화된 면담질문지를 만들어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