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 A comparis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819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6.6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 A comparis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 형태사항

        vi, 6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49-52

      • 소장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시도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일반 고교생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부차적인 목적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체계별 욕구와 각 체계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석 결과를 각급학교에 상응하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맞춤식 개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자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 180명과 비교 대상자인 일반 고교로는 서울시 S구 소재 S고교 학생들 282명이다. pilot study를 실시하여 문항의 내용, 소요시간, 편집 형식, 설문지 길이에 관한 미비점을 보완 한 다음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설문지 180부와 S고교생 설문지 28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일반 고교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 중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매우 높게(평균 4.24), 일반 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보통(평균 2.88)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22개의 독립 변인 중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간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변인은 교사와의 관계, 부모 교사 관계, 자기 유능감으로 모두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일반고교에 비해 교우관계, 학교의 복지시설, 부모-친구 관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에서 평균 차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경우,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기 전인 모델 Ⅵ의 설명력(R²=.501)이 가장 높았으며, 일반고교생의 경우는 모든 변인을 투입한 모델 Ⅶ의 설명력(R²=.54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 관계, 정서인식, 자기 유능감, 생활수준 순으로 5개의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의 경우, 교사 관계, 교우 관계, 외에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 자기 유능감, 수업과 학습, 부모-교사 관계 순으로 14개 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모두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개입 내용을 본 연구에서 발췌된 변수를 중심으로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 5개의 의의 있는 변인을 중심으로 유기체에서는 정서인식의 능력과 자기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학교 미시체계에서는 교사 관계, 교우 관계가 가장 중요하게 대두된 점을 볼 때 이 두 변인의 관계를 깊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생들이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휴일을 제외한 평일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이 두 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학교생활 만족도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 고교의 경우 14개의 변인을 중심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즉 고학년 일수록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해 고학년에 대한 개입이 저학년에 비해 강화 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학교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부모-교사 관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교육 문제에 대한 진단과 학벌지상주의 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감안해 학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사회적인 차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의 교육제도와 학벌요인의 영향력은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우리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서비스에 적용되는 생태학적 접근은 학생 본인과 주변 환경의 능력 및 기능이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접점을 알려준다. 또 역기능이 순기능으로 전환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발췌함으로써 생태하적 접근의 의의가 크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시도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일반 고교생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학...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시도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일반 고교생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부차적인 목적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체계별 욕구와 각 체계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석 결과를 각급학교에 상응하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맞춤식 개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자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 180명과 비교 대상자인 일반 고교로는 서울시 S구 소재 S고교 학생들 282명이다. pilot study를 실시하여 문항의 내용, 소요시간, 편집 형식, 설문지 길이에 관한 미비점을 보완 한 다음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설문지 180부와 S고교생 설문지 28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일반 고교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 중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매우 높게(평균 4.24), 일반 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보통(평균 2.88)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22개의 독립 변인 중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간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변인은 교사와의 관계, 부모 교사 관계, 자기 유능감으로 모두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일반고교에 비해 교우관계, 학교의 복지시설, 부모-친구 관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에서 평균 차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경우,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기 전인 모델 Ⅵ의 설명력(R²=.501)이 가장 높았으며, 일반고교생의 경우는 모든 변인을 투입한 모델 Ⅶ의 설명력(R²=.54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 관계, 정서인식, 자기 유능감, 생활수준 순으로 5개의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의 경우, 교사 관계, 교우 관계, 외에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 자기 유능감, 수업과 학습, 부모-교사 관계 순으로 14개 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모두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개입 내용을 본 연구에서 발췌된 변수를 중심으로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 5개의 의의 있는 변인을 중심으로 유기체에서는 정서인식의 능력과 자기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학교 미시체계에서는 교사 관계, 교우 관계가 가장 중요하게 대두된 점을 볼 때 이 두 변인의 관계를 깊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생들이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휴일을 제외한 평일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이 두 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학교생활 만족도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 고교의 경우 14개의 변인을 중심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즉 고학년 일수록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해 고학년에 대한 개입이 저학년에 비해 강화 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학교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부모-교사 관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교육 문제에 대한 진단과 학벌지상주의 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감안해 학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사회적인 차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의 교육제도와 학벌요인의 영향력은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우리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서비스에 적용되는 생태학적 접근은 학생 본인과 주변 환경의 능력 및 기능이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접점을 알려준다. 또 역기능이 순기능으로 전환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발췌함으로써 생태하적 접근의 의의가 크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compar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and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The study employed ecological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282 students of a general high school in Secho-Ku,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M=4.24, SD=0.574) was much higher than a general high school (M=2.88, SD=0.830).
      2.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Model Ⅵ as the most powerful model for Korea Science Academy, explaining 50.1%(Adjusted R²=.501) of the variance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while that of the general high school was Model Ⅶ, explaining 54.6%(Adjusted R²=.546) of the variance.
      3.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und in Model VI for Korea Science Academy wer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elf-efficacy,' in that order, while those in Model Ⅶ for the general high school wer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Korean educational system,' 'agreement with Korean's belief system,'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of parent-teachers,' 'age of the student,' 'self-efficicacy,' 'convenience facilities of school,' 'academic atmosphere of the classroom,' and 'SES of the family,' in that order.
      번역하기

      The primary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compar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and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The study employed ecological model. Data were collect...

      The primary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compar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and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The study employed ecological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282 students of a general high school in Secho-Ku,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M=4.24, SD=0.574) was much higher than a general high school (M=2.88, SD=0.830).
      2.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Model Ⅵ as the most powerful model for Korea Science Academy, explaining 50.1%(Adjusted R²=.501) of the variance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while that of the general high school was Model Ⅶ, explaining 54.6%(Adjusted R²=.546) of the variance.
      3.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und in Model VI for Korea Science Academy wer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elf-efficacy,' in that order, while those in Model Ⅶ for the general high school wer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Korean educational system,' 'agreement with Korean's belief system,'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of parent-teachers,' 'age of the student,' 'self-efficicacy,' 'convenience facilities of school,' 'academic atmosphere of the classroom,' and 'SES of the family,' in that or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 제기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의 고찰 = 6
      • Ⅰ. 서론 = 1
      • 1. 문제 제기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의 고찰 = 6
      • 1. 이론적 배경 : 생태학적 접근과 생태체계 변인 분류 = 6
      • 2.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선행 연구의 고찰 = 8
      • 1) 학교생활 만족도의 개념 = 8
      • 2)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선행 연구의 고찰 = 9
      • 3.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 12
      • 1) 유기체 변인 = 12
      • 2) 미시체계 = 16
      • 3) 중간체계 = 20
      • 4) 외체계 = 21
      • 5) 거세체계 = 22
      • 4. 연구 모형 = 23
      • Ⅲ. 연구 방법 및 조사 방법 = 25
      • 1. 연구 대상 = 25
      • 2. 연구 절차 = 25
      • 3. 측정 도구 = 25
      • 1) 종속 변인 = 26
      • 2) 독립 변인 = 26
      • 4. 자료 분석 방법 = 29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32
      • 1. 조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 32
      • 2.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 고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변인들의 차이 = 33
      • 3. 학교생활 만족도 설명 요인 분석 = 37
      • Ⅴ. 결론 및 논의 = 44
      • 참고 문헌 = 49
      • ABSTRACT = 53
      • 부록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