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복규, "채수의 사상과 <설공찬전> ― <설공찬전>의 가치를 곁들여 ―" 온지학회 (52) : 39-57, 2017
2 엄기영,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 한국고소설학회 (40) : 5-39, 2015
3 엄기영,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한국한문학회 (65) : 155-186, 2017
4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 -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7) : 103-130, 2009
5 정환국, "나말여초 傳奇의 ‘욕망의 형식화’에 대하여-초기소설의 성립과정에 주목하여-" 우리한문학회 11 (11): 3-29, 2004
6 최수현,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학회 (46) : 155-178, 2018
7 최진아, "傳奇로 읽은 唐代 남성의 욕망" 한국중국소설학회 14 : 17-36, 2001
8 신상필, "傳奇小說의 일상성과 내면응시를 통한 조선후기적 변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5) : 71-97, 2011
9 강창규,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학회 1 (1): 165-190, 2017
10 김진영, "<하생기우전>의 결말구조 양상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소 19 (19): 181-206, 2018
1 이복규, "채수의 사상과 <설공찬전> ― <설공찬전>의 가치를 곁들여 ―" 온지학회 (52) : 39-57, 2017
2 엄기영,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 한국고소설학회 (40) : 5-39, 2015
3 엄기영,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한국한문학회 (65) : 155-186, 2017
4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 -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7) : 103-130, 2009
5 정환국, "나말여초 傳奇의 ‘욕망의 형식화’에 대하여-초기소설의 성립과정에 주목하여-" 우리한문학회 11 (11): 3-29, 2004
6 최수현,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학회 (46) : 155-178, 2018
7 최진아, "傳奇로 읽은 唐代 남성의 욕망" 한국중국소설학회 14 : 17-36, 2001
8 신상필, "傳奇小說의 일상성과 내면응시를 통한 조선후기적 변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5) : 71-97, 2011
9 강창규,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학회 1 (1): 165-190, 2017
10 김진영, "<하생기우전>의 결말구조 양상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소 19 (19): 181-206, 2018
11 이진아, "<지리다도파도파 설공찬전> 연구- 전통서사문학의 현대극적 수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189-222, 2005
12 윤정안, "<설공찬전>의 장르 규정과 문학사적 의의" 동아시아고대학회 (53) : 63-88, 2019
13 이복규, "<설공찬전>·<주생전> 국문본 등 새로 발굴한 5종의 국문표기소설연구-필사연대 추정과 소설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6 : 41-62, 1998
14 조도현, "<薛公瓚傳>을 통해 본 초기소설의 유통양상" 어문연구학회 51 : 441-465, 2006
15 史在東, "< 公瓚傳>의 몇 가지 問題" 어문연구학회 25 : 267-294,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