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공찬전>의 서사적 성격과 소설의 대중화 경향 = A study on narrative character of Sulgongchanje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pic nature of Sulgongchanjeon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is work was confirmed, and then the narrative character was examined focusing on popularity.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work was contemplated.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environment of creation and transmission. The political and literary environment played a role in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is work. First of all, politically, the Neo-Confucian ideology is strengthened after the Jungjong Rebellion, and the anti-government vassals of merit abuses power. Chaesoo, who was inexorable, seems to have created a critical novel because he cannot overlook such injustice. In terms of literature and art, by the time this work was created, paegwan literature was popular, and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was also enjoyed. In addition to this literary soil, the desire for literary expression of Chaesoo was added to build Sulgongchanjeon.
      Second, the character of popular narrative was pointed out. This work was distribu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oral tradition.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 axiom, diversity of ideas, and equality of status inherent in this work played a major role. The universal axiom revealed that the axiom of real society was wrong by Seol Gongchan returning to reality and informing the true picture of the underworld. The diversity of ideas revealed the injustice of Confucian ideology through Buddhism and shamanism. The equality of status can be confirmed through Seol Gongchan's words, that is, judging according to the law of causality in the underworld. Both are of the interests of the upper and lower people, and as a result, this work has a populist characteristic.
      Third, the significance of novel history was reviewed. The novel emerged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intellectual problem. Novels at this time were distributed like the exclusive property of a certain few. Sulgongchanjeon dealt with contents that would be of interes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ritical content that could not be dealt with directly in reality was revealed through the underworld. The critical problem of reality corresponds to the upper class establishments. This is why the public interest in this work has increased. The popular narrative personality could affect the following novels, especially Honggildongjeon, which has strong popularity.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demand class for novels can be sai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of Sulgongchanjeo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epic nature of Sulgongchanjeon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is work was confirmed, and then the narrative character was examined focusing on ...

      This paper examines the epic nature of Sulgongchanjeon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is work was confirmed, and then the narrative character was examined focusing on popularity.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work was contemplated.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environment of creation and transmission. The political and literary environment played a role in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is work. First of all, politically, the Neo-Confucian ideology is strengthened after the Jungjong Rebellion, and the anti-government vassals of merit abuses power. Chaesoo, who was inexorable, seems to have created a critical novel because he cannot overlook such injustice. In terms of literature and art, by the time this work was created, paegwan literature was popular, and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was also enjoyed. In addition to this literary soil, the desire for literary expression of Chaesoo was added to build Sulgongchanjeon.
      Second, the character of popular narrative was pointed out. This work was distribu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oral tradition.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 axiom, diversity of ideas, and equality of status inherent in this work played a major role. The universal axiom revealed that the axiom of real society was wrong by Seol Gongchan returning to reality and informing the true picture of the underworld. The diversity of ideas revealed the injustice of Confucian ideology through Buddhism and shamanism. The equality of status can be confirmed through Seol Gongchan's words, that is, judging according to the law of causality in the underworld. Both are of the interests of the upper and lower people, and as a result, this work has a populist characteristic.
      Third, the significance of novel history was reviewed. The novel emerged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intellectual problem. Novels at this time were distributed like the exclusive property of a certain few. Sulgongchanjeon dealt with contents that would be of interes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ritical content that could not be dealt with directly in reality was revealed through the underworld. The critical problem of reality corresponds to the upper class establishments. This is why the public interest in this work has increased. The popular narrative personality could affect the following novels, especially Honggildongjeon, which has strong popularity.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demand class for novels can be said to be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of Sulgongchanje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설공찬전>의 대중서사적인 성격을 살피고, 그것이 한국소설사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검토한 것이다. 먼저 이 작품의 창작 배경을 확인하고, 이어서 서사적 성격을 대중성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갖는 소설사적인 의의를 조망해 보았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과 전승의 환경을 살폈다. 이 작품의 창작과 전승에는 정치와 문예적인 환경이 작용했다. 먼저 정치적으로 보면 이 작품은 중종반정이 일어난 이후에 지어졌다. 중종반정 이후 성리학적인 이념이 강화되고, 반정공신이 권력을 남용하기에 이른다. 성격이 거칠 것이 없었던 채수는 그러한 부당한 일을 묵과할 수 없어서 비판적인 소설을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문예적 측면에서는 이 작품이 창작될 즈음에 패관이나 필기문학이 성행하였고, 중국의 이야기문학이 수입·번역되어 읽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예적인 토양에다 채수의 문학적인 표현 욕구가 더해져 <설공찬전>을 지을 수 있었다.
      둘째, 대중 서사적 성격을 짚어보았다. 이 작품은 초기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국문과 한문의 문헌유통은 물론, 강담 중심의 구비유통도 이루어졌다. 그렇게 된 데에는 이 작품에 내재된 보편적인 공리성, 사상의 다양성, 신분의 평등성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다. 보편적인 공리성은 인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죽은 설공찬이 현실로 돌아와 저승의 실상을 알림으로써 현실 사회의 공리(公理)가 잘못되었음을 드러냈다. 사상의 다양성은 작품의 형상화와 관련된 종교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불교와 무속을 통하여 유교적인 이념의 부당함이 드러나도록 했기 때문이다. 신분의 평등성은 설공찬의 언술, 즉 저승에서 인과법칙에 따라 심판하는 것을 통해 확인하도록 했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상하민중의 관심사가 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이 작품이 대중 영합적인 특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소설사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소설은 갈등하는 지식인 개인의 문제를 형상화하면서 등장했다. 이때의 소설은 특정 소수의 전유물처럼 유통될 수 있었다. 그런데 <설공찬전>은 불특정 다수가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현실에서 직설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비판적 내용을 저승의 타계(他界)를 통해 드러나도록 했다. 현실의 비판적 문제를 촉발한 것이 상층기득권이기에 결국은 그들을 고발하는 것이 주종을 이룬다.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진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대중서사적인 성격은 후행하는 소설, 특히 대중 영합성이 강화된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설공찬전>은 소설의 대중화와 향유층을 확장한 것에서 소설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설공찬전>의 대중서사적인 성격을 살피고, 그것이 한국소설사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검토한 것이다. 먼저 이 작품의 창작 배경을 확인하고, 이어서 서사적 성격을 대중...

      이 논문은 <설공찬전>의 대중서사적인 성격을 살피고, 그것이 한국소설사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검토한 것이다. 먼저 이 작품의 창작 배경을 확인하고, 이어서 서사적 성격을 대중성에 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갖는 소설사적인 의의를 조망해 보았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과 전승의 환경을 살폈다. 이 작품의 창작과 전승에는 정치와 문예적인 환경이 작용했다. 먼저 정치적으로 보면 이 작품은 중종반정이 일어난 이후에 지어졌다. 중종반정 이후 성리학적인 이념이 강화되고, 반정공신이 권력을 남용하기에 이른다. 성격이 거칠 것이 없었던 채수는 그러한 부당한 일을 묵과할 수 없어서 비판적인 소설을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문예적 측면에서는 이 작품이 창작될 즈음에 패관이나 필기문학이 성행하였고, 중국의 이야기문학이 수입·번역되어 읽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예적인 토양에다 채수의 문학적인 표현 욕구가 더해져 <설공찬전>을 지을 수 있었다.
      둘째, 대중 서사적 성격을 짚어보았다. 이 작품은 초기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국문과 한문의 문헌유통은 물론, 강담 중심의 구비유통도 이루어졌다. 그렇게 된 데에는 이 작품에 내재된 보편적인 공리성, 사상의 다양성, 신분의 평등성이 크게 작용한 때문이다. 보편적인 공리성은 인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죽은 설공찬이 현실로 돌아와 저승의 실상을 알림으로써 현실 사회의 공리(公理)가 잘못되었음을 드러냈다. 사상의 다양성은 작품의 형상화와 관련된 종교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불교와 무속을 통하여 유교적인 이념의 부당함이 드러나도록 했기 때문이다. 신분의 평등성은 설공찬의 언술, 즉 저승에서 인과법칙에 따라 심판하는 것을 통해 확인하도록 했다. 이러한 내용은 모두 상하민중의 관심사가 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이 작품이 대중 영합적인 특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소설사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소설은 갈등하는 지식인 개인의 문제를 형상화하면서 등장했다. 이때의 소설은 특정 소수의 전유물처럼 유통될 수 있었다. 그런데 <설공찬전>은 불특정 다수가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현실에서 직설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비판적 내용을 저승의 타계(他界)를 통해 드러나도록 했다. 현실의 비판적 문제를 촉발한 것이 상층기득권이기에 결국은 그들을 고발하는 것이 주종을 이룬다.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진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대중서사적인 성격은 후행하는 소설, 특히 대중 영합성이 강화된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설공찬전>은 소설의 대중화와 향유층을 확장한 것에서 소설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복규, "채수의 사상과 <설공찬전> ― <설공찬전>의 가치를 곁들여 ―" 온지학회 (52) : 39-57, 2017

      2 엄기영,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 한국고소설학회 (40) : 5-39, 2015

      3 엄기영,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한국한문학회 (65) : 155-186, 2017

      4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 -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7) : 103-130, 2009

      5 정환국, "나말여초 傳奇의 ‘욕망의 형식화’에 대하여-초기소설의 성립과정에 주목하여-" 우리한문학회 11 (11): 3-29, 2004

      6 최수현,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학회 (46) : 155-178, 2018

      7 최진아, "傳奇로 읽은 唐代 남성의 욕망" 한국중국소설학회 14 : 17-36, 2001

      8 신상필, "傳奇小說의 일상성과 내면응시를 통한 조선후기적 변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5) : 71-97, 2011

      9 강창규,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학회 1 (1): 165-190, 2017

      10 김진영, "<하생기우전>의 결말구조 양상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소 19 (19): 181-206, 2018

      1 이복규, "채수의 사상과 <설공찬전> ― <설공찬전>의 가치를 곁들여 ―" 온지학회 (52) : 39-57, 2017

      2 엄기영,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 한국고소설학회 (40) : 5-39, 2015

      3 엄기영,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한국한문학회 (65) : 155-186, 2017

      4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 -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7) : 103-130, 2009

      5 정환국, "나말여초 傳奇의 ‘욕망의 형식화’에 대하여-초기소설의 성립과정에 주목하여-" 우리한문학회 11 (11): 3-29, 2004

      6 최수현, "고전소설의 콘텐츠화의 한 사례 고찰-웹소설 <설공찬환혼전>의 고소설 <설공찬전> 변개를 중심으로" 이화어문학회 (46) : 155-178, 2018

      7 최진아, "傳奇로 읽은 唐代 남성의 욕망" 한국중국소설학회 14 : 17-36, 2001

      8 신상필, "傳奇小說의 일상성과 내면응시를 통한 조선후기적 변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5) : 71-97, 2011

      9 강창규,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학회 1 (1): 165-190, 2017

      10 김진영, "<하생기우전>의 결말구조 양상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소 19 (19): 181-206, 2018

      11 이진아, "<지리다도파도파 설공찬전> 연구- 전통서사문학의 현대극적 수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189-222, 2005

      12 윤정안, "<설공찬전>의 장르 규정과 문학사적 의의" 동아시아고대학회 (53) : 63-88, 2019

      13 이복규, "<설공찬전>·<주생전> 국문본 등 새로 발굴한 5종의 국문표기소설연구-필사연대 추정과 소설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6 : 41-62, 1998

      14 조도현, "<薛公瓚傳>을 통해 본 초기소설의 유통양상" 어문연구학회 51 : 441-465, 2006

      15 史在東, "< 公瓚傳>의 몇 가지 問題" 어문연구학회 25 : 267-294,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