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계적 주체와 ‘함께-말하기’의 조건 = Relational Subjects and Conditions of ‘Speaking Toget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new subjectification that can embrace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a modern society overflowing with conflict and hate. The author remeans Haraway (Donna J. Haraway, 1944- )'s concept of 'companions species' as a 'relational subject',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tant practice to reflect and embody the occasion of significant otherness on a daily basis. In other words, relational subjects are formed by alternately explaining and translating differences in new and accidental ways in the material, emotional, and dynamic practice of eating, playing, and responding with others, rather than acknowledging the other's otherness in an abstract and ideological dimension. Speaking together is impossible only with the will or effort of individuals, and can continue on condition of a common chapter that redeploys the existing consolidated capital-power-interested territory to move alive.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new subjectification that can embrace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a modern society overflowing with conflict and hate. The author remeans Haraway (Donna J. Haraway, 1944- )'s concept of 'compan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new subjectification that can embrace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a modern society overflowing with conflict and hate. The author remeans Haraway (Donna J. Haraway, 1944- )'s concept of 'companions species' as a 'relational subject',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tant practice to reflect and embody the occasion of significant otherness on a daily basis. In other words, relational subjects are formed by alternately explaining and translating differences in new and accidental ways in the material, emotional, and dynamic practice of eating, playing, and responding with others, rather than acknowledging the other's otherness in an abstract and ideological dimension. Speaking together is impossible only with the will or effort of individuals, and can continue on condition of a common chapter that redeploys the existing consolidated capital-power-interested territory to move al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갈등과 혐오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화의 조건을 탐문하려는 시도다. 필자는 해러웨이(Donna J. Haraway, 1944~ )의 ‘반려종’(companions species) 개념을 이종적, 이질적 개체들이 공구성된 ‘관계적 주체’로 재의미화하고, 내 삶의 일부인 ‘소중한 타자성’(significant otherness)의 계기를 일상적 차원에서 반성하고 체화하는 부단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다시 말해 관계적 주체는 타자의 타자성을 추상적, 관념적 차원에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먹고, 놀고, 응답하는 물질적·감성적·정동적 실천에서 서로의 차이를 새롭고 우발적인 방식으로 번갈아 설명하고 번역하는 함께 말하기를 통해 형성된다. 이런 함께 말하기는 개개인의 의지나 노력으로만 불가능하며, 기존의 공고화된 자본-권력-이해관계의 영토를 살아 움직이도록 재배치하는 공통장을 조건으로 지속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갈등과 혐오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화의 조건을 탐문하려는 시도다. 필자는 해러웨이(Donna J. Haraway, 1944~ )의 ‘반려종’(companions sp...

      이 논문은 갈등과 혐오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화의 조건을 탐문하려는 시도다. 필자는 해러웨이(Donna J. Haraway, 1944~ )의 ‘반려종’(companions species) 개념을 이종적, 이질적 개체들이 공구성된 ‘관계적 주체’로 재의미화하고, 내 삶의 일부인 ‘소중한 타자성’(significant otherness)의 계기를 일상적 차원에서 반성하고 체화하는 부단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다시 말해 관계적 주체는 타자의 타자성을 추상적, 관념적 차원에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먹고, 놀고, 응답하는 물질적·감성적·정동적 실천에서 서로의 차이를 새롭고 우발적인 방식으로 번갈아 설명하고 번역하는 함께 말하기를 통해 형성된다. 이런 함께 말하기는 개개인의 의지나 노력으로만 불가능하며, 기존의 공고화된 자본-권력-이해관계의 영토를 살아 움직이도록 재배치하는 공통장을 조건으로 지속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 : 위상적 세계에서 펼쳐지는 미적 모험" 그린비 2012

      2 최유미,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도서출판 b 2020

      3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책세상 2019

      4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5 이윤종, "페미니즘의 확장성을 지향하며" 문화과학사 (104) : 23-48, 2020

      6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하기-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마농지 2021

      7 도나 해러웨이,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8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윤리학 정치학 잇기" 문학동네 2021

      9 산드로 메자드라, "방법으로서 경계" 갈무리 2021

      10 군터 게바우어, "미메시스: 사회적 행동, 의례와 놀이, 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1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 : 위상적 세계에서 펼쳐지는 미적 모험" 그린비 2012

      2 최유미,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도서출판 b 2020

      3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책세상 2019

      4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5 이윤종, "페미니즘의 확장성을 지향하며" 문화과학사 (104) : 23-48, 2020

      6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하기-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마농지 2021

      7 도나 해러웨이,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8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윤리학 정치학 잇기" 문학동네 2021

      9 산드로 메자드라, "방법으로서 경계" 갈무리 2021

      10 군터 게바우어, "미메시스: 사회적 행동, 의례와 놀이, 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11 김상옹방쿵, "문화과학 102" 문화과학사 299-326, 2020

      12 김애령, "듣기의 윤리: 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봄날의 박씨 2020

      13 이현재, "도시민을 위한 인정윤리의 모색: 헤겔, 호네트,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3 : 5-32, 2015

      14 안토니오 네그리, "공통체-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사월의 책 2014

      15 조주영, "‘취약성’ 개념을 통한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의 재구성 : 인정에 대한 버틀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0 : 35-62, 2018

      16 "https://blog.naver.com/mkresearch/222829642558"

      17 Naoki Sakai, "Trasnlation and Subjectivity : On “Japan” and Cultural Nationalism" Unic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18 현남숙, "D.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 ‘함께-되기’와 ‘응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5 : 79-106, 2021

      19 김해원 ; 박동숙 ; 이재원 ; 정사강 ; 강혜원 ; 백지연,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85-139, 2018

      20 김민정, "2015년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새로운 동향" 한국정치정보학회 23 (23): 59-8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