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 : 위상적 세계에서 펼쳐지는 미적 모험" 그린비 2012
2 최유미,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도서출판 b 2020
3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책세상 2019
4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5 이윤종, "페미니즘의 확장성을 지향하며" 문화과학사 (104) : 23-48, 2020
6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하기-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마농지 2021
7 도나 해러웨이,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8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윤리학 정치학 잇기" 문학동네 2021
9 산드로 메자드라, "방법으로서 경계" 갈무리 2021
10 군터 게바우어, "미메시스: 사회적 행동, 의례와 놀이, 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1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 : 위상적 세계에서 펼쳐지는 미적 모험" 그린비 2012
2 최유미,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도서출판 b 2020
3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책세상 2019
4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5 이윤종, "페미니즘의 확장성을 지향하며" 문화과학사 (104) : 23-48, 2020
6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하기-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마농지 2021
7 도나 해러웨이,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8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윤리학 정치학 잇기" 문학동네 2021
9 산드로 메자드라, "방법으로서 경계" 갈무리 2021
10 군터 게바우어, "미메시스: 사회적 행동, 의례와 놀이, 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11 김상옹방쿵, "문화과학 102" 문화과학사 299-326, 2020
12 김애령, "듣기의 윤리: 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봄날의 박씨 2020
13 이현재, "도시민을 위한 인정윤리의 모색: 헤겔, 호네트,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3 : 5-32, 2015
14 안토니오 네그리, "공통체-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사월의 책 2014
15 조주영, "‘취약성’ 개념을 통한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의 재구성 : 인정에 대한 버틀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0 : 35-62, 2018
16 "https://blog.naver.com/mkresearch/222829642558"
17 Naoki Sakai, "Trasnlation and Subjectivity : On “Japan” and Cultural Nationalism" Unic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18 현남숙, "D.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 ‘함께-되기’와 ‘응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5 : 79-106, 2021
19 김해원 ; 박동숙 ; 이재원 ; 정사강 ; 강혜원 ; 백지연,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의 의제화와 조직화 과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6 (26): 85-139, 2018
20 김민정, "2015년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새로운 동향" 한국정치정보학회 23 (23): 59-88,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