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작문교육 질적 연구 방법의 경향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 Analysis of the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 in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ative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3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한 질적 교육 연구가 확산되고 국내 작문교육 연구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작문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논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작문교육 연구의 질 제고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문식성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알려진 네 개의 학술지 최근호에서 각각 작문교육 관련 논문을 한편씩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고 이를 논문에 기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을 크게 다섯 가지 항목으로 요약해 보았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그동안『작문연구』에 게재된 총 135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 중 질적 연구 방법을 취한 2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작문교육 연구와 이를 논문에 게재하는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항목들을 점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 문제를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연구 방법 장을 독립적으로 기술하며,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삼각검증을 실시하고, 연구자의 역할에 대해 명시적으로 기술하는 것등을 우선적인 개선안으로 제시해 보았다. 더불어 질적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해 대학원 과정에서 방법론 관련 과목을 확대하고 학계의 논문 심사 과정에서 방법론의 평가 항목을 보다 상세화하는 등 여건 개선을 위한 방안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한 질적 교육 연구가 확산되고 국내 작문교육 연구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작문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논문에 대한 ...

      최근 들어 구성주의적 인식론에 기초한 질적 교육 연구가 확산되고 국내 작문교육 연구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작문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논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작문교육 연구의 질 제고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문식성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알려진 네 개의 학술지 최근호에서 각각 작문교육 관련 논문을 한편씩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고 이를 논문에 기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을 크게 다섯 가지 항목으로 요약해 보았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그동안『작문연구』에 게재된 총 135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 중 질적 연구 방법을 취한 2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작문교육 연구와 이를 논문에 게재하는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항목들을 점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 문제를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연구 방법 장을 독립적으로 기술하며,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삼각검증을 실시하고, 연구자의 역할에 대해 명시적으로 기술하는 것등을 우선적인 개선안으로 제시해 보았다. 더불어 질적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해 대학원 과정에서 방법론 관련 과목을 확대하고 학계의 논문 심사 과정에서 방법론의 평가 항목을 보다 상세화하는 등 여건 개선을 위한 방안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qualitative writing research based on constructionist epistemology has increased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a suggestion to improve the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done in writing education area in Korea. By analyzing 4 articles from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s and 22 Korean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n writing education published in the Research on Writing of Korean Writing Association. This study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that Korean research articles need to describe research questions more clearly, describe method chapter separately, collect multiple data sources for triangulation, and clarify researcher`s role during the research period. Also suggested were th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ethod classes in graduate schools and more strict evaluation procedure and more detailed criteria on the validity of the paper.
      번역하기

      As qualitative writing research based on constructionist epistemology has increased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a suggestion to improve the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done in writing education area in Korea. By analyzing 4 arti...

      As qualitative writing research based on constructionist epistemology has increased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a suggestion to improve the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done in writing education area in Korea. By analyzing 4 articles from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s and 22 Korean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n writing education published in the Research on Writing of Korean Writing Association. This study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that Korean research articles need to describe research questions more clearly, describe method chapter separately, collect multiple data sources for triangulation, and clarify researcher`s role during the research period. Also suggested were th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ethod classes in graduate schools and more strict evaluation procedure and more detailed criteria on the validity of the pap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2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작문학회 1 (1): 39-64, 2005

      3 이도영, "읽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한국독서학회 17 (17): 183-207, 2007

      4 임미성, "읽기 발달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의 의미 -필자가 진행 중인 ‘아동독자의 읽기 발달 연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0 (40): 537-568, 2011

      5 옥현진, "국어교육 질적 연구 동향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2 (132): 249-268, 2010

      6 한철우, "국어교육 연구 방법론" 박이정 2012

      7 정혜승,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26 : 2006

      8 서현석, "국어 수업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의 동향" 한국어교육학회 125 (125): 229-250, 2008

      9 Leijten, M., "Writing with speech recognition" 17 : 736-772, 2005

      10 Denzin, N, "The research act" Prentice-Hall 1989

      1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2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작문학회 1 (1): 39-64, 2005

      3 이도영, "읽기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한국독서학회 17 (17): 183-207, 2007

      4 임미성, "읽기 발달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의 의미 -필자가 진행 중인 ‘아동독자의 읽기 발달 연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0 (40): 537-568, 2011

      5 옥현진, "국어교육 질적 연구 동향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2 (132): 249-268, 2010

      6 한철우, "국어교육 연구 방법론" 박이정 2012

      7 정혜승,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26 : 2006

      8 서현석, "국어 수업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의 동향" 한국어교육학회 125 (125): 229-250, 2008

      9 Leijten, M., "Writing with speech recognition" 17 : 736-772, 2005

      10 Denzin, N, "The research act" Prentice-Hall 1989

      11 Crotty, M.,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Meaning and perspective in the research process" Sage 2003

      12 Scriven, M., "The evaluation taboo, In Philosophy of evaluation" Jossey-Bass 75-82, 1983

      13 Glaser, B.,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14 Emig, J, "The composing processes of twelfth graders" NCTE 1971

      15 Erickson, F., "Taught cognitive learning in its immediate environments" 13 (13): 149-180, 1982

      16 Howe, K., "Standards for qualitative(and quantative) research" 19 (19): 2-9, 1990

      17 Smagorinsky, P., "Speaking about writing: Reflections on research methodology" Sage 1994

      18 Mertens, D. M, "Research and evaluation in education and psychology: Integrating diversity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Sage 2005

      19 Schultz, K., "Qualitative research on writing, In Handbook of writing research" Guilford Press 357-373, 2006

      20 Erickson, F., "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on teaching,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Macmillan 119-161, 1986

      21 Flower, L.,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the writing process" 39 : 449-461, 1977

      22 Guzzetti, B., "Online journaling: The informal writings of two adolescent girls" 40 : 168-206, 2005

      23 Black, R. W., "Online fan fiction, global identities, and imagination" 43 : 2009

      24 Hillocks, G., "Interpreting and counting objectivity in discourse analysis, In Speaking about writing: Reflections on research methodology" Sage 185-204, 1994

      25 Rowe, D. W., "Interest and agency in 2- and 3-year olds' participation in emergent writing" 45 : 169-195, 2010

      26 Bissex, G., "Gnys at wrk : A child learns to write and read"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27 Moll, L. C., "Funds of knowledge for teaching: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o connect homes and classrooms" 31 : 132-141, 1992

      28 Perry, K. H., "From storytelling to writing: Transforming literacy practices among Sudanese refugees" 40 : 317-358, 2008

      29 Alamargot, D., "Eye and pen: A new device for studying reading during writing" 38 (38): 2006

      30 Troia, G. A., "A year in the writing workshop" 112 (112): 155-18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