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라 수신(824~849 MHz)대역에서 삽입손실, 리플, 반사손실은 각각 -1.7093dB, 0.9162dB, -24.762dB를 보여준 반면, 송신(869~894 MHz)대역에서는 각각 -1.8021dB, 0.9615dB, -22.258dB를 나타내었다. 한편, DCS 수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26703
최우성 (원광대학교) ; 양성현 (광운대학교) ; Choi, U-Sung ; Yang, Sung-Hyun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33-1237(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셀룰라 수신(824~849 MHz)대역에서 삽입손실, 리플, 반사손실은 각각 -1.7093dB, 0.9162dB, -24.762dB를 보여준 반면, 송신(869~894 MHz)대역에서는 각각 -1.8021dB, 0.9615dB, -22.258dB를 나타내었다. 한편, DCS 수신(...
셀룰라 수신(824~849 MHz)대역에서 삽입손실, 리플, 반사손실은 각각 -1.7093dB, 0.9162dB, -24.762dB를 보여준 반면, 송신(869~894 MHz)대역에서는 각각 -1.8021dB, 0.9615dB, -22.258dB를 나타내었다. 한편, DCS 수신(1710~1785 MHz)대역에서 삽입손실, 리플, 반사손실은 각각 -2.0149dB, 1.5163dB, -34.046dB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송신(1805~1880 MHz)대역에서는 -1.5894dB, 2.3742dB, -33.058dB값을 각각 보여주었다. 특히, 밴드대역 엣지로부터 5MHz 떨어진 주파수에서의 감쇠는 셀룰라 수신 대역에서 -9.1399dB와 -14.336dB, 송신대역에서 -7.0343dB와 -5.2943dB를 각각 보였다. 상대 송신단으로부터 DCS 수신대역에서의 감쇠는 각각 -58.298dB와 -65.644dB를 나타낸 반면에, 상대 수신단으로부터 DCS 송신대역에서는 각각 -70.659dB와 -50.488dB를 각각 나타내었다. 위 결과로부터 아이솔레이터를 장착한 Cellular와 DCS 밴드용 유전체 필터는 좋은 스커트 특성과 평탄도를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sertion loss, ripple, and return loss were -1.7093dB, 0.9162dB, and -24.762dB with Cellular Rx(824~849 MHz), -1.8021dB, 0.9615dB, and -22.258 with Tx(869~894 MHz), re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sertion loss, ripple, and return loss were -2.0149d...
Insertion loss, ripple, and return loss were -1.7093dB, 0.9162dB, and -24.762dB with Cellular Rx(824~849 MHz), -1.8021dB, 0.9615dB, and -22.258 with Tx(869~894 MHz), re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sertion loss, ripple, and return loss were -2.0149dB, 1.5163dB, and -34.046 dB with DCS Rx(1710~1785 MHz), -1.5894dB, 2.3742dB, and -33.058dB with Tx(1805~1880 MHz), respectively. In the particular, the attenuations in 5MHz edge of band width were -9.1399dB and -14.336dB with Cellular Rx, -7.0343dB and -5.2943dB with Cellualr Tx, respectively. The attenuations of DCS Rx from the relative Tx were -58.298dB and -65.644dB,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ose of DCS Tx from the relative Rx were -70.659dB and -50.488dB, respectively. From the aboved results, the dielectric filters for Celluar and DCS band with Isolator showed the good skirt and ripple characteric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우성, "다양한 시간지연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통과 필터의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4 (14): 2397-2402, 2010
2 S. Butterworth, "On the Theory of Fiters Applications" 7 : 536-541, 1930
3 G. L. Matthaei, "Microwave Filters, Impedance-Matching Networks, and Coupling Structures" McGraw-Hill 1964
4 D. M. Pozar, "Microwave Engneering, Third Edtion" Wiley, N.Y. 2005
5 S. B. Cohn, "Microwave Bandpass Filters Containing High-Q Dielectric Resonatros" 16 : 218-227, 1968
6 R. E. Collin, "Foundations for Microwave Engineering, Second Edition" McGraw-Hill 1992
7 S. Kovayashi, "Aminiaturized ceramic bandpass filter for cordless phone" ibid 391-394, 1995
8 H. Matsumoto, "A miniatured dielectric monoblock bandpass filter for 800 MHz band cordless telephone system" 249-252, 1994
1 최우성, "다양한 시간지연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통과 필터의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4 (14): 2397-2402, 2010
2 S. Butterworth, "On the Theory of Fiters Applications" 7 : 536-541, 1930
3 G. L. Matthaei, "Microwave Filters, Impedance-Matching Networks, and Coupling Structures" McGraw-Hill 1964
4 D. M. Pozar, "Microwave Engneering, Third Edtion" Wiley, N.Y. 2005
5 S. B. Cohn, "Microwave Bandpass Filters Containing High-Q Dielectric Resonatros" 16 : 218-227, 1968
6 R. E. Collin, "Foundations for Microwave Engineering, Second Edition" McGraw-Hill 1992
7 S. Kovayashi, "Aminiaturized ceramic bandpass filter for cordless phone" ibid 391-394, 1995
8 H. Matsumoto, "A miniatured dielectric monoblock bandpass filter for 800 MHz band cordless telephone system" 249-252, 1994
TLM법을 이용한 Soret 타입 프레넬 존 플레이트 렌즈 안테나 해석
너치와 아이솔레이션을 활용한 CDMA와 W-CDMA 듀얼밴드용 유전체 듀플렉셔와 밴드패스 필터의 설계 및 제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11-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2011-11-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2011-11-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 한국정보통신학회영문명 : 미등록 ->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JICE)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2 | 0.42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