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법 및 수어와 한국어에 관한 인식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Communication Methods and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mong Hearing Impaired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by hearing impaired people and explore their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spoken and written language), both of which represent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primarily used among them. To that end, the‘2020 Korean Sign Language Utilization Survey’was u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hearing impaired people’s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varied with their experience of attending the schools for the deaf. Second,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hearing impaired people used with hearing people differed from those that they actually wanted to use. Third, the group primarily using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whereas the group primarily using other communication methods than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underpin the present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hearing impaired people’s positive recognition of diverse languages and there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by hearing impaired people and explore their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spoken and written language), both of which represent the commun...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currently used by hearing impaired people and explore their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spoken and written language), both of which represent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primarily used among them. To that end, the‘2020 Korean Sign Language Utilization Survey’was u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hearing impaired people’s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varied with their experience of attending the schools for the deaf. Second, the communication methods that hearing impaired people used with hearing people differed from those that they actually wanted to use. Third, the group primarily using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sign language, whereas the group primarily using other communication methods than sign language showed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underpin the present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hearing impaired people’s positive recognition of diverse languages and there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의사소통 방법인 수어와 한국어(음성언어, 문자언어)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2020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은 농학교 재학 경험에 따라 수어와 한국어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청인과 대화할 때 의사소통하는 방법과 실제 원하는 의사소통 방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수어를, 수어가 아닌 의사소통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한국어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언어에 관한 긍정적 인식과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의사소통 방법인 수어와 한국어(음성언어, 문자언어)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과 현황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의사소통 방법인 수어와 한국어(음성언어, 문자언어)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2020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은 농학교 재학 경험에 따라 수어와 한국어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청각장애인이 청인과 대화할 때 의사소통하는 방법과 실제 원하는 의사소통 방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어를 주된 언어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수어를, 수어가 아닌 의사소통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한국어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언어에 관한 긍정적 인식과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효은 ; 윤병천, "한·중·일 수어통역 교육과정 비교·분석" 통번역연구소 20 (20): 137-160, 2016

      2 이율리 ; 황수미 ; 이현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 청각장애, 농정체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4 (14): 41-61, 2023

      3 박찬영, "청각장애학생을 위한국어과 보조교과서 개발 정책의 방향 탐색" 대한정치학회 23 (23): 145-162, 2015

      4 원성옥 ; 김경진 ; 허일, "청각장애학생 교육에서의 수화 적용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13-132, 2013

      5 김정규, "청각장애인의 평생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9-34, 2018

      6 이효영,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인식 연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7 윤미선,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연구- 드라마 「파친코」 한국어 및 영어 자막의 관련성, 중복성, 적절성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6 (26): 61-87, 2022

      8 공선희, "청각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국립특수교육원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기초문해교육 영역-" 국립특수교육원(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2019

      10 이정우 ; 최성규,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26, 2015

      1 최효은 ; 윤병천, "한·중·일 수어통역 교육과정 비교·분석" 통번역연구소 20 (20): 137-160, 2016

      2 이율리 ; 황수미 ; 이현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어, 청각장애, 농정체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4 (14): 41-61, 2023

      3 박찬영, "청각장애학생을 위한국어과 보조교과서 개발 정책의 방향 탐색" 대한정치학회 23 (23): 145-162, 2015

      4 원성옥 ; 김경진 ; 허일, "청각장애학생 교육에서의 수화 적용 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13-132, 2013

      5 김정규, "청각장애인의 평생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9-34, 2018

      6 이효영,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인식 연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7 윤미선,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연구- 드라마 「파친코」 한국어 및 영어 자막의 관련성, 중복성, 적절성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6 (26): 61-87, 2022

      8 공선희, "청각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국립특수교육원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기초문해교육 영역-" 국립특수교육원(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2019

      10 이정우 ; 최성규, "청각장애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양식 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26, 2015

      11 전혜성, "정신장애인 배우자 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부부신념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조창빈 ; 김두영 ; 장철승, "장애성인의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5 (25): 105-129, 2021

      13 신환희 ; 윤병천, "인공와우 착용 성인의 농문화 경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57-181, 2019

      14 김영익 ; 권순우, "이중언어 환경에 놓인 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과 사용 수단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153-180, 2021

      15 "손말이음센터 홈페이지"

      16 고길곤 ; 탁현우 ; 이보라, "설문조사 연구에서 결측치의 영향과 대체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49-75, 2014

      17 강석주,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8

      18 "복지통계"

      19 이태영 ; 권보민 ; 권순우, "농인의 직업 선택 요인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4 (24): 1-31, 2023

      20 국립국어원, "농인의 문해 교육 실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14

      21 박동진 ; 남기현, "농인의 농정체성이 농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수어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3 (23): 177-184, 2022

      22 최성규, "난청학생의 수어, 구어, 문어에 대한 구조 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19-40, 2022

      23 최성규, "난청학생의 교육환경 경험 및 자아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2 (12): 27-46, 2021

      24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22-34호 특수교육 교육과정"

      25 국립국어원,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재] 농문화와 농사회" 국립국어원 2019

      26 Hall, W. C., "What you don’t know can hurt you : The risk of language deprivation by impairing sign language development in deaf children" 21 (21): 961-965, 2017

      27 Mekonnen, M., "The self-concept of deaf/hard-of-hearing and hearing students" 21 (21): 345-351, 2016

      28 Gutierrez-Clellen, V. F., "Language choice in intervention with bilingual children" 8 (8): 291-302, 1999

      29 Schifter, D. E., "Intention, perceived control, and weight loss :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49 (49): 843-, 1985

      30 Schleif, S. L., "Exploring emotion development of hearing children with Deaf parents: A qualitative study"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06

      31 Salehomoum, M., "Cochlear implant nonuse : Insight from deaf adults" 25 (25): 270-282, 2020

      32 보건복지부, "2023년 장애인복지시설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3

      33 국립국어원, "2020년 한국수어 활용조사" 국립국어원 2020

      34 국립특수교육원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2020 장애인 평생교육 현황조사 통계자료집" 국립특수교육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