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묵자의 비판적 사고가 초등학생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 주는 시사점(Ⅰ) = The implication of Mozi`s Critical Thinking to the Elementary Students` Critical Thought Skill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판적 사고란 기존의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 등에 대하여 무의식적,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보편타당한 근거를 토대로 최선의 판단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이다. 묵자는 개인과 공동체의 진보와 성장을 위하여 기존의 현상과 제도, 가치관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삼표(三表)``와 같이 분명하고 일관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비판적 사유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또한 묵자는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에 대해 항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태도와 성향, 즉 정의적 요소를 중시하며 실천하였다.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은 오늘날 초등학교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사고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에게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하면서 비판적 사고가 지녀야 할 기본적인 조건과 방법을 일러주는 등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비판적 사고란 기존의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 등에 대하여 무의식적,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보편타당한 근거를 토대로 최선의 판단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이...

      비판적 사고란 기존의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 등에 대하여 무의식적,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보편타당한 근거를 토대로 최선의 판단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이다. 묵자는 개인과 공동체의 진보와 성장을 위하여 기존의 현상과 제도, 가치관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삼표(三表)``와 같이 분명하고 일관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비판적 사유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또한 묵자는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에 대해 항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태도와 성향, 즉 정의적 요소를 중시하며 실천하였다.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은 오늘날 초등학교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사고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에게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하면서 비판적 사고가 지녀야 할 기본적인 조건과 방법을 일러주는 등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교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itical Thinking is an analytic and comprehensive thought that suggest the best solution or judgement with justifying grounds of a certain concept, evidence, criteria, method and context. It is not just blindly accept an existing system or values. The Mozi was a theorist who enlightened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achieve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development, he applied critical thinking to reconstruct the existing order, criteria and institution. And using the Three Standards(ground, basis, pragmatics), h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y introduced Mozi`s claim about critical thinking and attitude to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 harmoniously at this study. There are full of suggestions in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days. The students are lack of self-regulating, active thinking ability because of the present rote education, so they say that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lacking critical thought ability it`s time to develop multilateral and three-dimensional teaching methods using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번역하기

      The Critical Thinking is an analytic and comprehensive thought that suggest the best solution or judgement with justifying grounds of a certain concept, evidence, criteria, method and context. It is not just blindly accept an existing system or values...

      The Critical Thinking is an analytic and comprehensive thought that suggest the best solution or judgement with justifying grounds of a certain concept, evidence, criteria, method and context. It is not just blindly accept an existing system or values. The Mozi was a theorist who enlightened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achieve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development, he applied critical thinking to reconstruct the existing order, criteria and institution. And using the Three Standards(ground, basis, pragmatics), h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y introduced Mozi`s claim about critical thinking and attitude to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 harmoniously at this study. There are full of suggestions in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days. The students are lack of self-regulating, active thinking ability because of the present rote education, so they say that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lacking critical thought ability it`s time to develop multilateral and three-dimensional teaching methods using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알렉 피셔, "피셔의 비판적 사고" 서광사 2010

      2 배제현, "초등학생을 위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논리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01-110, 2005

      3 이상익, "유가 사회철학 연구" 심산 2001

      4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5 황갑진,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83-99, 2009

      6 박상준,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의 질문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121-152, 2006

      7 방선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원격교육연구소 7 (7): 61-83, 2011

      8 박세원,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도덕수업 재구성: 비판적 교육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2 (22): 119-139, 2011

      9 이운구, "묵가철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10 황성규, "동방사상과인문정신" 심산 193-211, 2007

      1 알렉 피셔, "피셔의 비판적 사고" 서광사 2010

      2 배제현, "초등학생을 위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논리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01-110, 2005

      3 이상익, "유가 사회철학 연구" 심산 2001

      4 김정섭, "우화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가능성 탐색: 초등학생용"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41-59, 2006

      5 황갑진,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83-99, 2009

      6 박상준,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 사회과의 질문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121-152, 2006

      7 방선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원격교육연구소 7 (7): 61-83, 2011

      8 박세원,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도덕수업 재구성: 비판적 교육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2 (22): 119-139, 2011

      9 이운구, "묵가철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10 황성규, "동방사상과인문정신" 심산 193-211, 2007

      11 강승희,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메타인지, 문제해결력간의 관계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693-1708, 2013

      12 최석민, "교육목적으로서 비판적 사고의 재고찰" 대구교육대학교 25 (25): 249-260, 2009

      13 孫中原, "墨學通論" 遼寧敎育出版社 1995

      14 王讚源, "墨子硏究論叢(二)" 山東大學出版社 26-77, 1993

      15 薛保綸, "墨子硏究論叢(三)" 山東大學出版社 102-110, 1995

      16 羅根澤, "墨子" 勝利出版社 1945

      17 夏甄陶, "中國認識論思想史稿(上)"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