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제19대 국회 내 정당 간 갈등 및 운영은 어떠한 성향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99231
2013
Korean
제19대 국회 ; 초선의원 ; 이념 ; 새누리당 ; 민주당(민주통합당) ; 19th National Assembly ; Freshmen ; ideology ; Saenuri Party ; Democratic Party
346
KCI등재
학술저널
73-97(25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제19대 국회 내 정당 간 갈등 및 운영은 어떠한 성향을 ...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제19대 국회 내 정당 간 갈등 및 운영은 어떠한 성향을 보일 것인지 살펴보았다. 초선의원들이 국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연구에 있어 초선의원들이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선의원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의 특징을 통시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통해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 중 여성의원의 비율이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높아졌으며 여성의원들의 평균 연령은 매우 낮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남성 초선의원들의 평균 연령은 과거 국회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제17대 국회 초선의원보다 보수적이지만 제18대 초선의원에 비해 진보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정당 초선의원들의 이념 분포는 소속 정당 이념 분포와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발견은 두 주요 정당 초선의원들 간 이념 격차가 과거 어느 때보다 크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두 정당 간 전체 평균이념을 비교하여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국회 내 갈등 심화 그리고 이에 따른 국회 불신을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In studying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Freshmen take significance because they always hold a majo...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In studying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Freshmen take significance because they always hold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which means that they can play a decisive role in decision-making. When the Freshmen made into the National Assembly, they drew special attention from the press and the public; however, the study on the Freshmen doesn’t meet expectation. This is why this study focuses on the Freshmen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analysis shows the percentage of femal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get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Likewise, the study finds that th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tend to be liberal than the 18th National Assembly’s but they are more conservative than the 17th National Assembly’s. The ideology distribution of the two major parties’ Freshmen is very similar to their affiliated party’s. In addition, the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wo parties’ Freshmen is much greater than ever. It is expected that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be more intensified than before. Accordingly, public dis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grow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익, "한국 국회의원 충원방식과 대표성: 7대에서 17대 국회의원 선거분석" 13 (13): 101-127, 2007
2 이현출, "초선의원의 공천과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36, 2004
3 전용주, "제19대 국회의원의 특성: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64, 2012
4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5 박홍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의원교체" 13 (13): 167-187, 2004
6 유성진, "오바마 이후 미국의회, 양극화는 완화되었나?" 한국정당학회 11 (11): 187-211, 2012
7 김용호, "국회의원 충원제도와 사회적 배경 분석" 4 (4): 54-76, 1998
8 Aldrich, John H., "Why Parties?: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9 Binder, Sarah A., "Uncovering the Hidden Effect of Party Uncovering the Hidden Effect of Party" 61 (61): 815-831, 1999
10 Aldrich, John H., "The Logic of Conditional Party Government: Revisiting the Electoral Connection, In Congress Reconsidered" CQ Press 2001
1 유승익, "한국 국회의원 충원방식과 대표성: 7대에서 17대 국회의원 선거분석" 13 (13): 101-127, 2007
2 이현출, "초선의원의 공천과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36, 2004
3 전용주, "제19대 국회의원의 특성: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64, 2012
4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5 박홍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의원교체" 13 (13): 167-187, 2004
6 유성진, "오바마 이후 미국의회, 양극화는 완화되었나?" 한국정당학회 11 (11): 187-211, 2012
7 김용호, "국회의원 충원제도와 사회적 배경 분석" 4 (4): 54-76, 1998
8 Aldrich, John H., "Why Parties?: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9 Binder, Sarah A., "Uncovering the Hidden Effect of Party Uncovering the Hidden Effect of Party" 61 (61): 815-831, 1999
10 Aldrich, John H., "The Logic of Conditional Party Government: Revisiting the Electoral Connection, In Congress Reconsidered" CQ Press 2001
11 Killian, Linda, "The Freshmen: What Happened to the Republican Revolution?" Westview Press 1998
12 Kalt, Joseph P., "The Apparent Ideological Behavior of Legislators: Testing for Principal- Agent Slack in Political Institution" 33 : 103-131, 1990
13 Ornstein, Norman J., "The 1995 Congress: The First Hundred Days and Beyond" 110 (110): 183-206, 1995
14 Sapiro, "Research Frontier Essay: When Are Interests Interesting? The Problem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75 (75): 701-716, 1981
15 Mezey, Michael, "Representative Democracy: Legislators and Their Constituents" Rowman&Littlefield Publishers 2008
16 Fleck, Robert K., "Reassessing the Role of Constituency in Congressional Voting" (112) : 31-53, 2002
17 Jackson, John E., "Public Goods, Private Interests, and Representation" 83 (83): 1143-1164, 1989
18 Krehbiel, Keith, "Pivotal Politics: A Theory of U.S. Lawmaking" University of Chicago 1998
19 Canes-Wrone, Brandice, "Out of Step, Out of Office: Electoral Accountability and House Members’ Voting" 96 (96): 127-140, 2002
20 Cox, Gary W., "On Measuring Partisanship in Roll-Call Voting: The U. S. House of Representatives, 1877-1999" 46 (46): 477-489, 2002
21 Sinclair, Barbara, "Majority Party Leadership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New U.S. House" 6 (6): 191-414, 1981
22 Cox, Gary W., "Legislative Leviathan: Party Government in the Hou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23 Jackson, John E., "Ideology, Interest Group Scores, and Legislative Votes" 36 (36): 1989
24 Levitt, Steven D., "How Do Senators Vote? Disentangling the Role of Voter Preference, Party Affiliation, and Senator Ideology" 86 (86): 425-441, 1996
25 Jenkins, Jeffery A, "Examining the Bonding Effects of Party: A Comparative Analysis of Roll-Call Voting in the U.S. and Confederate Houses" 43 (43): 1144-1165, 1999
26 Snyder, James M. Jr., "Estimating Party Influence in Congressional Roll-Call Voting" 44 (44): 187-205, 2000
27 Krehbiel, Keith, "Cosponsors and Wafflers from A to Z" 39 (39): 906-923, 1995
28 Snowiss, Leo M., "Congressional Recruitment and Representation" 60 (60): 627-639, 1966
29 Davidson, Roger H., "Congress Against Itself" Indiana University Press 1977
30 Kalt, Joseph P., "Capture and Ideology in the Economic Theory of Politics" 74 (74): 279-300, 1984
31 Davidson, Chandler, "At-Large Elections and Minority- Group Representation: A Re-Examination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Evidence" 43 (43): 982-1005, 1981
32 가상준, "18대 국회 초선의원과 17대 국회 초선의원의 비교연구"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285-314, 2009
33 가상준, "18대 국회 이념적 변화의 특징"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21-43, 2010
34 유승익, "17대와 역대 국회의원의 사회적 배경비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2 (12): 79-108, 2006
35 심정희, "17대 초선의원들의 입법활동"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173-178, 2008
36 손병권, "17대 초선의원들의 의정활동 평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85-107, 2004
37 임동욱, "17대 국회 초선의원의 예산결산활동 평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109-141,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9 | 1.8 | 2.699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