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洛陽春과 一落索의 비교연구 = 用度 및 선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7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낙양춘(洛陽春)은 북송 때 고려로 전해진 43편 사악(詞樂)중의 하나이며, 『고려사』 악지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 악지의 낙양춘은 구양수(歐陽脩)의 사(詞)이며, 미전사와 미후사의 쌍조(双調)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의 사(詞)에는 일락삭(一落索)의 사가 있으며, 낙양춘은 바로 일락삭의 별칭이다. 바꾸어 말하면 일락삭은 낙양춘과 같은 계통의 사(詞)에 속한다.
      중국에서 일락삭과 관련된 악보가 여러 가지 전승되고 있으나, 한국의 낙양춘과 같은 가사와 선율을 가진 악보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였다. 아마도 현존한 낙양춘과 일락삭의 악보들은 모두 후대의 것이며, 북송과 고려의 악보가 아닌 관계로 악보에는 이미 어느 정도의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양춘과 일락사는 같은 계통의 사(詞)인 만큼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짐작되나, 아쉽게도 낙양춘과 일락삭을 주제로 하여 연구한 성과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락삭과 낙양춘을 사용 용도와 선율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같은 계통의 사(詞)에 대하여 두 나라에서 사용 및 전승된 양상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연출의 용도에서 낙양춘과 일락삭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연출의 형식을 통해 낙양춘과 일락삭의 차이가 발견된다.
      셋째, 낙양춘의 전승과정에서 선율의 변화는 일락삭보다 크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원래의 모습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일락삭의 선율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선율진행의 변화도 비교적 다양하다.
      번역하기

      낙양춘(洛陽春)은 북송 때 고려로 전해진 43편 사악(詞樂)중의 하나이며, 『고려사』 악지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 악지의 낙양춘은 구양수(歐陽脩)의 사(詞)이며, 미전사와 미후...

      낙양춘(洛陽春)은 북송 때 고려로 전해진 43편 사악(詞樂)중의 하나이며, 『고려사』 악지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 악지의 낙양춘은 구양수(歐陽脩)의 사(詞)이며, 미전사와 미후사의 쌍조(双調)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의 사(詞)에는 일락삭(一落索)의 사가 있으며, 낙양춘은 바로 일락삭의 별칭이다. 바꾸어 말하면 일락삭은 낙양춘과 같은 계통의 사(詞)에 속한다.
      중국에서 일락삭과 관련된 악보가 여러 가지 전승되고 있으나, 한국의 낙양춘과 같은 가사와 선율을 가진 악보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였다. 아마도 현존한 낙양춘과 일락삭의 악보들은 모두 후대의 것이며, 북송과 고려의 악보가 아닌 관계로 악보에는 이미 어느 정도의 변화가 생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양춘과 일락사는 같은 계통의 사(詞)인 만큼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짐작되나, 아쉽게도 낙양춘과 일락삭을 주제로 하여 연구한 성과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락삭과 낙양춘을 사용 용도와 선율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같은 계통의 사(詞)에 대하여 두 나라에서 사용 및 전승된 양상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연출의 용도에서 낙양춘과 일락삭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연출의 형식을 통해 낙양춘과 일락삭의 차이가 발견된다.
      셋째, 낙양춘의 전승과정에서 선율의 변화는 일락삭보다 크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원래의 모습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일락삭의 선율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선율진행의 변화도 비교적 다양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kyangchun is one of the 43 pieces of Sa-ak that were introduced to Goryeo during the North Song Dynasty. Its first record can be found in the musical records of [Goryeosa]. The Nakyangchun musical records of [Goryeosa] is a Sa of the ouyangxiu(歐陽修), and is in shuangdiao form consisting of the prior and latter part. Yiluosuo can be found among Chinese Sa, and the Nakyangchun is another name for Yiluosuo. In other words, Yiluosuo belongs to the same Sa system as Nakyangchun.
      Many types of music scores related to Yiluosuo are being handed down in China, whereas scores containing lyrics and melody of Korean Nakyangchun has not been discovered yet. It is likely that the existing Nakyangchun and Yiluosuo scores were created by later generations, and changes have been made from North Song or Goryeo scores. Nevertheless, Nakyangchun and Yiluosuo are predicted to be related to each other as they belong to the same Sa system,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thesis will be looking into the purpose and melody of Yiluosuo and Nakyangchun from two aspects, and how the Sa within the same system were used and passed dow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differs for Yiluosuo and Nakyangchun.
      Second, the form of the performance differs for Yiluosuo and Nakyangchun.
      Third, the melody of the Nakyangchun did not change as much as the Yiluosuo as it was passed down, and most of it is passed down in its original state. However, there are various forms of Yiluosuo of China, and in comparison, the melody has also changed diversely.
      Fourth, there are not as many variations or secondary pieces for the Nakyangchun compared to the Boheoja, and is passed down today as a single instrumental piece. The Yiluosuo of China has developed many kinds of variations for various musical styles, and is passed down as a “Yiluosuo genre (一落索群)”.
      번역하기

      The Nakyangchun is one of the 43 pieces of Sa-ak that were introduced to Goryeo during the North Song Dynasty. Its first record can be found in the musical records of [Goryeosa]. The Nakyangchun musical records of [Goryeosa] is a Sa of the ouyangxiu(...

      The Nakyangchun is one of the 43 pieces of Sa-ak that were introduced to Goryeo during the North Song Dynasty. Its first record can be found in the musical records of [Goryeosa]. The Nakyangchun musical records of [Goryeosa] is a Sa of the ouyangxiu(歐陽修), and is in shuangdiao form consisting of the prior and latter part. Yiluosuo can be found among Chinese Sa, and the Nakyangchun is another name for Yiluosuo. In other words, Yiluosuo belongs to the same Sa system as Nakyangchun.
      Many types of music scores related to Yiluosuo are being handed down in China, whereas scores containing lyrics and melody of Korean Nakyangchun has not been discovered yet. It is likely that the existing Nakyangchun and Yiluosuo scores were created by later generations, and changes have been made from North Song or Goryeo scores. Nevertheless, Nakyangchun and Yiluosuo are predicted to be related to each other as they belong to the same Sa system,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made on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thesis will be looking into the purpose and melody of Yiluosuo and Nakyangchun from two aspects, and how the Sa within the same system were used and passed dow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purpose of the performance differs for Yiluosuo and Nakyangchun.
      Second, the form of the performance differs for Yiluosuo and Nakyangchun.
      Third, the melody of the Nakyangchun did not change as much as the Yiluosuo as it was passed down, and most of it is passed down in its original state. However, there are various forms of Yiluosuo of China, and in comparison, the melody has also changed diversely.
      Fourth, there are not as many variations or secondary pieces for the Nakyangchun compared to the Boheoja, and is passed down today as a single instrumental piece. The Yiluosuo of China has developed many kinds of variations for various musical styles, and is passed down as a “Yiluosuo genre (一落索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낙양춘의 용도 및 선율 고찰
      • Ⅲ. 일락삭(一落索)의 용도 및 선율 고찰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낙양춘의 용도 및 선율 고찰
      • Ⅲ. 일락삭(一落索)의 용도 및 선율 고찰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방송, "兩亂 以後 洛陽春과 步虛子의 傳承樣相" 한국음악사학회 (38) : 4-4, 2007

      2 이혜구, "한국음악서설" 한국음악서설 75-116, 1967

      3 "조선왕조실록"

      4 조재선, "낙양춘의 선율 분석"

      5 "進爵儀軌"

      6 "純祖戊子進饌儀軌"

      7 "納書楹曲譜(乾隆本)"

      8 "禦定詞譜"

      9 "碎金詞譜(道光本衙藏板本)"

      10 鄭祖襄, "洛陽春詞調初考" 中央音樂學院 (02) : 1996

      1 송방송, "兩亂 以後 洛陽春과 步虛子의 傳承樣相" 한국음악사학회 (38) : 4-4, 2007

      2 이혜구, "한국음악서설" 한국음악서설 75-116, 1967

      3 "조선왕조실록"

      4 조재선, "낙양춘의 선율 분석"

      5 "進爵儀軌"

      6 "純祖戊子進饌儀軌"

      7 "納書楹曲譜(乾隆本)"

      8 "禦定詞譜"

      9 "碎金詞譜(道光本衙藏板本)"

      10 鄭祖襄, "洛陽春詞調初考" 中央音樂學院 (02) : 1996

      11 王寂, "拙軒集"

      12 "九宮大成南北詞宮譜"

      13 박은옥, "『고려사』 악지의 사악과 『구궁대성남북사궁보』의 관련 악곡 비교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