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초등학교 국악 수업방안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7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에 크게 강조되고 있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융합인재교육 수업활동의 특징은 국악을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다른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음악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충실한 심화학습을 통해 관련 교과 내용이 국악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기초하여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융합학습 방안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이며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교과 내 융합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타 교과 요소를 연계한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과학, 사회, 수학, 공학, 역사, 언어 등의 다양한 교과의 내용을 국악수업 활동과 융합하는 것이다. 둘째, 국악 교과 연계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과 관련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관련 교과 내용을 연계하는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타 예술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과학 관련 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인문학 교과 연계활동 등의 융합학습이 있다. 셋째, 국악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형으로, 이 유형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학습이다. 이때 주제는 국악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제목이 선정되며, 연계된 각 교과 시간에 소주제를 중심으로 한 융합수업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예로 국악, 사회, 수학, 미술, 과학 등이 함께 하나의 대주제로 엮어 프로젝트 형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학습방안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며,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STEAM 융합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및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에 크게 강조되고 있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

      본 연구는 최근 창의․융합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교육계에 크게 강조되고 있는 STEAM 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융합인재교육 수업활동의 특징은 국악을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다른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음악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충실한 심화학습을 통해 관련 교과 내용이 국악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기초하여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융합학습 방안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이며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교과 내 융합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내용을 바탕으로 관련 타 교과 요소를 연계한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과학, 사회, 수학, 공학, 역사, 언어 등의 다양한 교과의 내용을 국악수업 활동과 융합하는 것이다. 둘째, 국악 교과 연계수업형으로, 이 유형은 국악과 관련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관련 교과 내용을 연계하는 학습이다. 예로 국악과 타 예술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과학 관련 교과 연계활동, 국악과 인문학 교과 연계활동 등의 융합학습이 있다. 셋째, 국악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형으로, 이 유형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학습이다. 이때 주제는 국악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제목이 선정되며, 연계된 각 교과 시간에 소주제를 중심으로 한 융합수업을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예로 국악, 사회, 수학, 미술, 과학 등이 함께 하나의 대주제로 엮어 프로젝트 형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국악 중심 STEAM 학습방안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며,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STEAM 융합교육의 학교현장 적용 및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STEAM education that has been highly stressed nowadays a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is being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class activities suggested here in this study help students understand other fields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and also cultivate their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musical knowledge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Also, through in-depth learning faithful to the curriculum, related subject contents are organized in a way that can realize natural converg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purpose, this author organized Korean traditional music-centered STEAM learning methods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convergent class within the subj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combined with other subject elements centering around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xample, various subject contents including science, society, math, engineering, history, or language are integrated with th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cond type is class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This is a type of learning relating a certain top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 contents. The examples include the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rt subjects,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cience, or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humanities-related subjects. The third is the type of curricular reorganization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is a type of learning to reorganize the entire curriculum with a certain topic or plan programs additionally. For this, the topics are selected as inclusive topics involving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ntents, and at the class of subjects related, subtopics are learned in order in the convergent class. For example, the class proceeds as a form of project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ociety, math, art, or science with a single major topic.
      This method of STEAM learning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lay the grounds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EAM presently being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nd also aid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STEAM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of 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STEAM education that has been highly stressed nowadays a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is be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STEAM education that has been highly stressed nowadays as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t persons of ability is being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class activities suggested here in this study help students understand other fields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and also cultivate their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musical knowledge and a variety of experiences. Also, through in-depth learning faithful to the curriculum, related subject contents are organized in a way that can realize natural converge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is purpose, this author organized Korean traditional music-centered STEAM learning methods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convergent class within the subj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combined with other subject elements centering around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example, various subject contents including science, society, math, engineering, history, or language are integrated with th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econd type is class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s. This is a type of learning relating a certain topic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other subject contents. The examples include the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rt subjects,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cience, or activity rel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humanities-related subjects. The third is the type of curricular reorganization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is a type of learning to reorganize the entire curriculum with a certain topic or plan programs additionally. For this, the topics are selected as inclusive topics involving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contents, and at the class of subjects related, subtopics are learned in order in the convergent class. For example, the class proceeds as a form of project b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society, math, art, or science with a single major topic.
      This method of STEAM learning centering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lay the grounds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EAM presently being suggested a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nd also aid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STEAM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creative persons of 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기초 연구
      • Ⅲ.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국악수업의 실제
      • Ⅳ. 결론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융합인재교육(STEAM)에 관한 기초 연구
      • Ⅲ.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국악수업의 실제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정,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한 미술 교과용 A-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미술교육학회 28 (28): 197-220, 2014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안동순,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소 10 (10): 75-96, 2012

      4 정광순, "초등학교 STEAM수업 활성화 방안 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9-119, 2015

      5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2016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업무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7 김경화, "음악교육의 융합교육 접근을 위한 융합 개념 논의" 초등교육연구원 26 (26): 211-234, 2015

      8 문경숙, "음악교육 관점에서 본 융합인재교육 정책과 최근의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현황 고찰" 미래음악교육학회 1 (1): 2016

      9 양은주, "음악-과학 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 개발: 대중음악 악기 제작과 앱 작곡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205-219, 2015

      10 석문주, "음악 교과 중심의 초등 STEAM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8 (18): 365-385, 2014

      1 이민정,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한 미술 교과용 A-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미술교육학회 28 (28): 197-220, 2014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안동순,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소 10 (10): 75-96, 2012

      4 정광순, "초등학교 STEAM수업 활성화 방안 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99-119, 2015

      5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2016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업무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7 김경화, "음악교육의 융합교육 접근을 위한 융합 개념 논의" 초등교육연구원 26 (26): 211-234, 2015

      8 문경숙, "음악교육 관점에서 본 융합인재교육 정책과 최근의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현황 고찰" 미래음악교육학회 1 (1): 2016

      9 양은주, "음악-과학 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 개발: 대중음악 악기 제작과 앱 작곡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205-219, 2015

      10 석문주, "음악 교과 중심의 초등 STEAM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8 (18): 365-385, 2014

      11 석문주, "음악 5~6" 동아출판 2014

      12 석문주, "음악 3~4" 동아출판 2014

      13 백윤수, "융합인재교육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4 오지향, "융합인재교육(STEAM)의 중등 음악수업 적용 및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9-97, 2014

      15 김성원,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88-401, 2012

      16 김영민, "융합인재교육(STEAM) 심화과정 연수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51-70, 2016

      17 한국과학창의재단,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최종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8 박현주,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669-679, 2016

      19 이철현,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39-161, 2011

      20 한국과학창의재단,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 무엇이 아이들을 즐겁게 하는가" 한국창의재단 2012

      21 옥일남, "사회·과학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07-138, 2016

      22 김진수,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29, 2007

      23 권덕원, "국악교육론" 교육과학사 2013

      24 조순자,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8 : 2013

      25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24-139, 2011

      26 류상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인식 및 개선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1-17, 2016

      2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과학기술부 2012

      28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