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월드뮤직의 문화번역(2) =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아시아 구상과 구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7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의 심화로 탈경계적 문화텍스트의 월경(越境)이 목격되는 가운데 간(間)-아시아 역내 교류를 주목하는 이 연구는 아시아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통한 월드뮤직의 아시아 이동과 아시아 구성을 고찰한다. 월드뮤직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비서구 지역으로의 이동에서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역할은 주요하였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한 아시아 지역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궤적을 고찰하면서 아시아 월드뮤직의 구성과 문화번역의 과정과 의미를 논의한다.
      2000년대 이후 서구 월드뮤직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시작된 아시아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이후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분화되면서 월드뮤직의 아시아 이동의 주요 매개지가 되고 있다.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매개자들의 수행적 과정과 아시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연대를 구축하고 서구 월드뮤직 페스티벌과 구별되는 전통, 로컬, 아시아적 가치와 보편성을 강조하는 아시아적 구상을 실천한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서구 월드뮤직의 장이 구축한 서구-비서구의 관계에 균열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복수(複數)의 관계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새로운 의미생산이 가능한 수행의 장이 되고 있다. 향후 아시아 월드뮤직이 아시아의 상생의 인식에 유익한 장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실천주체들의 성찰적 인식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세계화의 심화로 탈경계적 문화텍스트의 월경(越境)이 목격되는 가운데 간(間)-아시아 역내 교류를 주목하는 이 연구는 아시아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통한 월드뮤직의 아시아 이동과 아시...

      세계화의 심화로 탈경계적 문화텍스트의 월경(越境)이 목격되는 가운데 간(間)-아시아 역내 교류를 주목하는 이 연구는 아시아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통한 월드뮤직의 아시아 이동과 아시아 구성을 고찰한다. 월드뮤직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비서구 지역으로의 이동에서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역할은 주요하였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한 아시아 지역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궤적을 고찰하면서 아시아 월드뮤직의 구성과 문화번역의 과정과 의미를 논의한다.
      2000년대 이후 서구 월드뮤직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시작된 아시아의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이후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분화되면서 월드뮤직의 아시아 이동의 주요 매개지가 되고 있다.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매개자들의 수행적 과정과 아시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연대를 구축하고 서구 월드뮤직 페스티벌과 구별되는 전통, 로컬, 아시아적 가치와 보편성을 강조하는 아시아적 구상을 실천한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은 서구 월드뮤직의 장이 구축한 서구-비서구의 관계에 균열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복수(複數)의 관계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새로운 의미생산이 가능한 수행의 장이 되고 있다. 향후 아시아 월드뮤직이 아시아의 상생의 인식에 유익한 장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실천주체들의 성찰적 인식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having in the background the intensifying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texts crossing national borders more and more fr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asian inter-Asia cultural exchange, more specifically, on world music’s transference to asia and how it is constructed in Asia. Within the context of world music building a global network and its transfer into non-western countries, the role of World Music festivals is becoming more and more conspicuou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world music festival, from its apparent development since the year 2000 and discusses the structure, process, and possible cultural translation featured in Asian world music.
      Asian world music festival, launched with background of the western world music’s global network since the year 2000, has developed into various channels and became a major venue for world music’s Asian development. Asian world music festivals, held through the performative process of participants, each with individual goals and prospects, and with the help of newly constructed Asian networks, have constructed a sense of local solidarity. This resulted in realization of the Asian idealism, emphasizing tradition, localism, Asian values and universalism, which is what differentiates Asian world music festival from a Western world music festival.
      During this process, Asian world music festival not only brings the “West and the Rest”(E. Said) constructed by the Western world music into question, but also can show new possibility for building a multi-layered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 cultures and produce new cultural meaning for the festival events. Now is the time when the performative subjects of asian world music festival reflect on how to transform future Asian world music into a useful channel for a communitive project for Asians involved.
      번역하기

      Today, having in the background the intensifying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texts crossing national borders more and more fr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asian inter-Asia cultural exchange, more specifically, on world music’s transference to as...

      Today, having in the background the intensifying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texts crossing national borders more and more fr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asian inter-Asia cultural exchange, more specifically, on world music’s transference to asia and how it is constructed in Asia. Within the context of world music building a global network and its transfer into non-western countries, the role of World Music festivals is becoming more and more conspicuou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world music festival, from its apparent development since the year 2000 and discusses the structure, process, and possible cultural translation featured in Asian world music.
      Asian world music festival, launched with background of the western world music’s global network since the year 2000, has developed into various channels and became a major venue for world music’s Asian development. Asian world music festivals, held through the performative process of participants, each with individual goals and prospects, and with the help of newly constructed Asian networks, have constructed a sense of local solidarity. This resulted in realization of the Asian idealism, emphasizing tradition, localism, Asian values and universalism, which is what differentiates Asian world music festival from a Western world music festival.
      During this process, Asian world music festival not only brings the “West and the Rest”(E. Said) constructed by the Western world music into question, but also can show new possibility for building a multi-layered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 cultures and produce new cultural meaning for the festival events. Now is the time when the performative subjects of asian world music festival reflect on how to transform future Asian world music into a useful channel for a communitive project for Asians invol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비서구 이동과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
      • Ⅲ.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문화번역
      • Ⅳ. 나가며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비서구 이동과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
      • Ⅲ. 아시아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문화번역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랜디 레인-로슈, "해외에서 본 한국음악의 전망"

      2 니콜라 흐발레, "한국에서 월드뮤직의 현황과 비전"

      3 김희선, "케이 뮤지컬의 아시아 이동: 일본 공연 한국 뮤지컬의 다층적 성격과 의미" 세계음악학회 (36) : 171-227, 2017

      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좌담 아시아 예술 왜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 아시아 예술교류 연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29 : 8-29, 2008

      5 김희선, "재현되고 상상되는 아시아: 아시아 월드뮤직의 구성과 재구성" 세계음악학회 (31) : 113-147, 2014

      6 "이정헌(전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감독)"

      7 김희선, "월드뮤직의 문화번역: 한국적 월드뮤직의 전개와 성격" 세계음악학회 (30) : 5-56, 2014

      8 김희선, "월드뮤직에서 "상상된 민족"의 정치학" 한국공연문화학회 (22) : 223-252, 2011

      9 김희선, "월드뮤직 컨텐츠 연구 : 그래미 어워즈 최고 전통 월드뮤직 음반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47) : 147-196, 2011

      10 신현준, "월드 뮤직과 (문화)번역의 실천: ‘대화적이지만 불평등한’ 네트워크와 그 불만들" 인문과학연구소 28 : 39-66, 2012

      1 랜디 레인-로슈, "해외에서 본 한국음악의 전망"

      2 니콜라 흐발레, "한국에서 월드뮤직의 현황과 비전"

      3 김희선, "케이 뮤지컬의 아시아 이동: 일본 공연 한국 뮤지컬의 다층적 성격과 의미" 세계음악학회 (36) : 171-227, 2017

      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좌담 아시아 예술 왜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 아시아 예술교류 연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29 : 8-29, 2008

      5 김희선, "재현되고 상상되는 아시아: 아시아 월드뮤직의 구성과 재구성" 세계음악학회 (31) : 113-147, 2014

      6 "이정헌(전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감독)"

      7 김희선, "월드뮤직의 문화번역: 한국적 월드뮤직의 전개와 성격" 세계음악학회 (30) : 5-56, 2014

      8 김희선, "월드뮤직에서 "상상된 민족"의 정치학" 한국공연문화학회 (22) : 223-252, 2011

      9 김희선, "월드뮤직 컨텐츠 연구 : 그래미 어워즈 최고 전통 월드뮤직 음반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47) : 147-196, 2011

      10 신현준, "월드 뮤직과 (문화)번역의 실천: ‘대화적이지만 불평등한’ 네트워크와 그 불만들" 인문과학연구소 28 : 39-66, 2012

      11 이수진, "아시아의 월드뮤직 네트워크 모델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12 "사이먼 브로튼(송라인즈 편집장)"

      13 김은령, "번역/문화번역 이론의 매체이론화 가능성 연구: 재매개론을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3 (3): 91-112, 2010

      14 이희은, "문화번역의 이론적 의미와 전지구화 시대의 영상번역"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87-223, 2014

      15 마정미, "문화번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6 신지은, "문화 번역과 로컬리티 연구 -타자에 대한 번역가의 과제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71) : 1-34, 2014

      17 "랜디 레인-로슈(전 말레이시아 레인 포레스트 월드뮤직 페스티벌 감독)"

      18 레이 초우, "디아스포라의 지식인: 현대 문화연구에 있어서 개입의 전술" 이산 2005

      19 키스 니거스, "대중음악이론: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마티 2012

      20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15

      21 "계명국(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부감독, ACC 월드뮤직 페스티벌 부감독)"

      22 "https://www.womad.co.nz/info/the-womad-story/"

      23 "https://www.skiddle.com/festivals/womad/history.html"

      24 "https://ja.wikipedia.org/wiki/"

      25 "http://www.scmp.com/magazines/post-magazine/article/1312213/rhythm-xues-dream-powered-unlikely-venue"

      26 "http://www.efwmf.org/memberfestivals/"

      27 "http://www.efestivals.co.uk/festivals/womadworld/"

      28 "http://womad.org/"

      29 "http://webzine.arko.or.kr/load.asp?subPage=10.View&idx=669&searchCate=02"

      30 "http://webzine.arko.or.kr/load.asp?subPage=10.View&idx=669&searchCate=02"

      31 "http://songlines.co.uk/encounters/Songlines-IWM-Festival-Guide.pdf"

      32 "http://archive.womadelaide.com.au/2010/files/womadelaide-history-2010-01-14.pdf"

      33 Mitchell, Tony, "World Music and the Popular Music Industry: An Australian View" 37 (37): 309-338, 1993

      34 Connell, John, "World Music : Deterritorializing Place and Identity" 28 (28): 342-361, 2004

      35 Glanvill, Rick, "Rhythms of the World" BBC 1989

      36 Meintjes, Louise, "Paul Simon’s Graceland, South Africa, and the Medication of Musical Meaning" 34 (34): 37-73, 1990

      37 Stokes, Martin, "Ethnicity, Identity and Music: The Musical Construction of Place" Berg 97-115, 1994

      38 Manuel, Peter, "Cassette Culture: Popular Music and Technology in West Ind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39 김희선, "Asia and the Rest: 동시대 아시아 전통음악의 연대 모색과 실천" 세계음악학회 (34) : 105-135, 2016

      40 Swedenburg, Ted, "Arab “World Music” in the US" Middle East 24-40, 2001

      41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Across the Universe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웹진 Issue 01"

      42 예술경영지원센터, "2011 월드뮤직 해외전문가 컨설팅 보고서" 예술경영지원센터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