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Er$^{3+}$/Yb$^{3+}$/Li$^{+}$ 이온이 첨가된 SrWO$_{4}$와 SrMoO$_{4}$의 녹색상방형광 연구 = Green Upconversion Luminescence of Yb$^{3+}$/Er$^{3+}$/Li$^{+}$ Tri-doped SrWO$_{4}$ and SrMoO$_{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7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r$^{3+}$and Yb$^{3+}$ co-doped SrWO$_{4}$ and SrMoO$_{4}$ polycrystalline powder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and their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Under 975 nm laser diode excitation, strong green UCL emission peaks at 530 nm and 550 nm, which were due to transitions from the $^{2}$H$_{11/2}$ and the $^{4}$S$_{3/2}$ states to the ground state ($^{4}$I$_{15/2}$) of the Er$^{3+}$ ion, were observed. The incorporation of Li$^{+}$ ions into the SrWO$_{4}$:Er$^{3+}$/Yb$^{3+}$ and the SrMoO$_{4}$:Er$^{3+}$/Yb$^{3+}$ samples for charge compensation increased the intensity of the green UCL by more than 5 times because the Li$^{+}$ ions acted as charge compensators, which modified the strength of the crystal field by the reduction of the lattice constant and the distortion of the local crystal field. However, Li$^{+}$ ions in excess of the number needed for charge compensation at interstitial lattice sites increased the lattice constant, thus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local crystal field around the rare-earth ions.
      번역하기

      Er$^{3+}$and Yb$^{3+}$ co-doped SrWO$_{4}$ and SrMoO$_{4}$ polycrystalline powder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and their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Under 975 nm laser diode excitation, st...

      Er$^{3+}$and Yb$^{3+}$ co-doped SrWO$_{4}$ and SrMoO$_{4}$ polycrystalline powder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and their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detail. Under 975 nm laser diode excitation, strong green UCL emission peaks at 530 nm and 550 nm, which were due to transitions from the $^{2}$H$_{11/2}$ and the $^{4}$S$_{3/2}$ states to the ground state ($^{4}$I$_{15/2}$) of the Er$^{3+}$ ion, were observed. The incorporation of Li$^{+}$ ions into the SrWO$_{4}$:Er$^{3+}$/Yb$^{3+}$ and the SrMoO$_{4}$:Er$^{3+}$/Yb$^{3+}$ samples for charge compensation increased the intensity of the green UCL by more than 5 times because the Li$^{+}$ ions acted as charge compensators, which modified the strength of the crystal field by the reduction of the lattice constant and the distortion of the local crystal field. However, Li$^{+}$ ions in excess of the number needed for charge compensation at interstitial lattice sites increased the lattice constant, thus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local crystal field around the rare-earth 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5 몰\% Er$^{3+}$와 10 몰\% Yb$^{3+}$ 과 $x$ 몰\% ($x$ = 0, 7.5, 15, 22.5)의 Li$^{+}$이온을 첨가한 SrWO$_{4}$와 SrMoO$_{4}$형광체 분말을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고 상방전환형광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형광을 조사하였다. 불순물 함량에 관계없이 모든 형광체 분말의 결정구조는 주 회절 피크 (112)면을 갖는 scheelite 구조였다. 975 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시료에 입사하여 530 nm와 550 nm 중심파장을 갖는 강한 녹색 UC 형광을 관찰하였다. SrWO$_{4}$:Er$^{3+}$/Yb$^{3+}$와 SrMoO$_{4}$:Er$^{3+}$/Yb$^{3+}$에 Li$^{+}$ 이온의 첨가농도를 전하보상조건에 부합하는 15 몰\% 까지 증가하면 격자상수가 줄어들고 녹색형광의 세기도 5 $\sim$ 11배 증가하였고, 더 많이 첨가하면 오히려 상방형광의 세기는 줄어들었다. 치환된 Li$^{+}$ 이온은 격자상수를 줄이고 희토류이온 주위의 결정장 왜곡을 효과적으로 유발하며, 틈새에 들어간 Li$^{+}$ 이온은 오히려 결정상수를 증가시켜 결정장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5 몰\% Er$^{3+}$와 10 몰\% Yb$^{3+}$ 과 $x$ 몰\% ($x$ = 0, 7.5, 15, 22.5)의 Li$^{+}$이온을 첨가한 SrWO$_{4}$와 SrMoO$_{4}$형광체 분말을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고 상방전환형광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형광을 ...

      5 몰\% Er$^{3+}$와 10 몰\% Yb$^{3+}$ 과 $x$ 몰\% ($x$ = 0, 7.5, 15, 22.5)의 Li$^{+}$이온을 첨가한 SrWO$_{4}$와 SrMoO$_{4}$형광체 분말을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고 상방전환형광 (Upconversion Luminescence: UCL)형광을 조사하였다. 불순물 함량에 관계없이 모든 형광체 분말의 결정구조는 주 회절 피크 (112)면을 갖는 scheelite 구조였다. 975 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시료에 입사하여 530 nm와 550 nm 중심파장을 갖는 강한 녹색 UC 형광을 관찰하였다. SrWO$_{4}$:Er$^{3+}$/Yb$^{3+}$와 SrMoO$_{4}$:Er$^{3+}$/Yb$^{3+}$에 Li$^{+}$ 이온의 첨가농도를 전하보상조건에 부합하는 15 몰\% 까지 증가하면 격자상수가 줄어들고 녹색형광의 세기도 5 $\sim$ 11배 증가하였고, 더 많이 첨가하면 오히려 상방형광의 세기는 줄어들었다. 치환된 Li$^{+}$ 이온은 격자상수를 줄이고 희토류이온 주위의 결정장 왜곡을 효과적으로 유발하며, 틈새에 들어간 Li$^{+}$ 이온은 오히려 결정상수를 증가시켜 결정장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H. Chung, 22 : 3997-, 2012

      2 Y. Bai, 112 : 12259-, 2008

      3 O. Toma, 284 : 388-, 2011

      4 A. Shalave, 91 : 829-, 2007

      5 F. Vetrone, 107 : 1107-, 2003

      6 J. Silver, 105 : 948-, 2001

      7 F. Tong, 25 : 1939-, 1989

      8 R. Brede, 63 : 1727-, 1990

      9 A. Silversmith, 60&61 : 636-, 1994

      10 O. Toma, 284 : 388-, 2011

      1 J. H. Chung, 22 : 3997-, 2012

      2 Y. Bai, 112 : 12259-, 2008

      3 O. Toma, 284 : 388-, 2011

      4 A. Shalave, 91 : 829-, 2007

      5 F. Vetrone, 107 : 1107-, 2003

      6 J. Silver, 105 : 948-, 2001

      7 F. Tong, 25 : 1939-, 1989

      8 R. Brede, 63 : 1727-, 1990

      9 A. Silversmith, 60&61 : 636-, 1994

      10 O. Toma, 284 : 388-, 2011

      11 O. S. Dymshits, 409 : 54-, 2015

      12 M. Nyk, 8 : 3834-, 2008

      13 E. Guermen, 55 : 1093-, 1971

      14 L. Sun, 111 : 532-, 2007

      15 Z. H. Ju, 507 : 133-, 2010

      16 X. Ma, 465 : 406-, 2008

      17 J. Liu, 34 : 1557-, 2008

      18 T. Thongtem, 254 : 7581-, 2008

      19 T. Thongtem, 62 : 454-, 2008

      20 J. Liao, 487 : 758-, 2009

      21 J. Boyer, 105 : 263-, 2004

      22 M. Pollnau, 61 : 3337-, 2000

      23 G. Chen, 112 : 12030-, 2008

      24 R. D. Shannon, "Revised Effective Ionic Radii and Systematic Studies of Interatomic Distances in Halides and Chalcogenides" Acta Crystallographica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