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약관규제법에 의한 내용통제의 대상과 그 제한 = Subject of content control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and its restric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provides provisions that limit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the content control by clause and by industry(Article 15), but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for areas excluded from content control itself. In other words, it does not actively stipulate the contents that may be subject to content control, or exceptions that are not subject to it by the explicit provision. However, even if the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does not limit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by the explicit provisions, the content control by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may have certain limits based on the inherent limitations within the contract law or the general principles that our legislation is based on.
      The German Civil Law, which has greatly influenced the enactment of the korean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prescribes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in an explicit manner. However, despite the existence of these explicit provisions, the content of the legal regulation itself is not clear, requiring specific details, and the scope of the regulation has been controversial in Germany.
      Currently, our majority of theory accepts the German discussion and takes the position that (1) the agreement on performance and counter-performance and (2) the declarative regulation are not subject content control. However, since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find a number of cases where content control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is attempted even in areas that are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In addition, our theory only declares the content in principle, but there are not many papers discussing specifically the areas and limitations that are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However, in theory or in actual cases, it is not clear to distinguish between areas subject to content control and areas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As a result, it seems that also we have not been able to make clear delineation in our practice. In this paper, i tried to contribute some degree to the clarity of interpretive theory to some extent by referring to the German discussion.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the fact that there are certain inherent limitations in terms of content control in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fact that these inherent limitations are in 1) a declarative regulation that repeats the content of legal regulations and 2) a clause that sets the content of performance can be recognized without explicit regulation. Nevertheless, it is deemed necessary to legislate such matters because practice often seeks to control the content that is due in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without clear recogni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the declarative regulations and the provisions that determine the content of benefits seems clear, but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practically judge the parts excluded and included in the content control area. German precedents have also been criticized by German academics for not clearly presenting these areas and for being arbitrary. Also, looking at the cases related to our precedent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specifically judge whether one can be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or not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areas or other jurisdictions. Therefore, it seems to be an easy area at first glance, but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tasks that need to be materialized in the future.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to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n our academic world, there are more and more papers that study the contents of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but this principle has not yet been explicitly acknowledged by precedent. Furthermore, as shown in this paper, since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applied to areas excluded from content control, further research on th...
      번역하기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provides provisions that limit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the content control by clause and by industry(Article 15), but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for areas excluded from content control itself. In o...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provides provisions that limit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the content control by clause and by industry(Article 15), but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for areas excluded from content control itself. In other words, it does not actively stipulate the contents that may be subject to content control, or exceptions that are not subject to it by the explicit provision. However, even if the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does not limit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by the explicit provisions, the content control by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may have certain limits based on the inherent limitations within the contract law or the general principles that our legislation is based on.
      The German Civil Law, which has greatly influenced the enactment of the korean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prescribes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in an explicit manner. However, despite the existence of these explicit provisions, the content of the legal regulation itself is not clear, requiring specific details, and the scope of the regulation has been controversial in Germany.
      Currently, our majority of theory accepts the German discussion and takes the position that (1) the agreement on performance and counter-performance and (2) the declarative regulation are not subject content control. However, since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find a number of cases where content control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is attempted even in areas that are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In addition, our theory only declares the content in principle, but there are not many papers discussing specifically the areas and limitations that are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However, in theory or in actual cases, it is not clear to distinguish between areas subject to content control and areas not subject to content control. As a result, it seems that also we have not been able to make clear delineation in our practice. In this paper, i tried to contribute some degree to the clarity of interpretive theory to some extent by referring to the German discussion.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the fact that there are certain inherent limitations in terms of content control in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fact that these inherent limitations are in 1) a declarative regulation that repeats the content of legal regulations and 2) a clause that sets the content of performance can be recognized without explicit regulation. Nevertheless, it is deemed necessary to legislate such matters because practice often seeks to control the content that is due in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without clear recogni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the declarative regulations and the provisions that determine the content of benefits seems clear, but in many cases it is difficult to practically judge the parts excluded and included in the content control area. German precedents have also been criticized by German academics for not clearly presenting these areas and for being arbitrary. Also, looking at the cases related to our precedent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specifically judge whether one can be the subject of content control or not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areas or other jurisdictions. Therefore, it seems to be an easy area at first glance, but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tasks that need to be materialized in the future.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to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n our academic world, there are more and more papers that study the contents of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but this principle has not yet been explicitly acknowledged by precedent. Furthermore, as shown in this paper, since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applied to areas excluded from content control, further research on 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약관규제법은 조항별・업종별로 내용통제에 관한 규정의 적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제15조), 내용통제의 대상 자체에 제외되는 약관조항에 관하여는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하면 약관규제법은 내용통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약관조항을 적극적으로 규정하거나, 대상이 되지 않은 예외를 명문의 규정을 통하여 제외시키고 있지 않다. 그러나 약관규제법에서 명문의 규정으로 내용통제 대상을 제한하고 있지 않더라도 약관규제법에 의한 내용통제가 가지고 있는 계약법 내에서의 내재적 한계 또는 우리 법제가 기초로 하고 있는 일반원칙에 기하여 내용통제가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우리 약관규제법 제정에 많은 영향을 준 독일 민법은 내용통제의 대상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문의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률규정의 내용 자체가 명확하지 아니하여 그 구체화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 규정의 적용범위에 관하여 독일에서 학설상 논란이 많았다.
      현재 우리 다수설은 독일의 논의를 받아들여서 (1) 급부와 반대급부에 관한 합의내용과 (2) 법문반복조항은 내용통제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명문의 규정이 없다 보니, 실무에서는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도 약관규제법에 의한 내용통제를 하려는 사례를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우리 학설은 원칙적 내용만을 선언하고 있을 뿐이지, 구체적으로 내용통제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과 한계에 관하여 자세한 논의를 하는 문헌이 많지 않다. 그런데 이론적으로나 실제 사례에서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는 영역과 되지 않은 영역의 구분이 명확한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우리 실무에서도 명확한 경계획정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논의를 참조하여 어느 정도 해석론의 명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약관규제법에 기한 내용통제에 일정한 내재적 한계가 있다는 점에 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재적 한계가 1) 법률규정의 내용을 반복하는 법문반복조항과 2) 급부내용을 정하는 조항에 있음은 명시적 입법이 없어도 인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 이와 관련하여 명확한 인식 없이 약관규제법에 기한 내용통제를 하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같은 내용을 입법적으로 명문의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법문반복조항과 급부내용을 정하는 조항의 의미는 명확해 보이나, 내용통제 영역에서 제외되는 부분과 안에 있는 부분을 실무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일 판례도 이러한 영역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자의적이다라는 비판을 독일 학계로부터 받고 있다. 또한 우리 판례와 연관된 사례를 보면 다른 영역 내지 다른 법리와의 관계성 속에서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견 보기에는 쉬운 영역이라고 보이지만 앞으로 그 구체화가 많이 필요한 어려운 과제가 많이 남아 있는 분야라고 생각된다.
      또한 투명성 원칙과의 관계에 대하여도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학계에서 점차 투명성 원칙을 근거지우고 그 내용을 연구하는 문헌이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 판례상 명시적으로 이 원칙을 인정한 적이 없다. 또한 본 논문에서 드러났지만, 내용통제에서 제외되는 ...
      번역하기

      약관규제법은 조항별・업종별로 내용통제에 관한 규정의 적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제15조), 내용통제의 대상 자체에 제외되는 약관조항에 관하여는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않...

      약관규제법은 조항별・업종별로 내용통제에 관한 규정의 적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으나(제15조), 내용통제의 대상 자체에 제외되는 약관조항에 관하여는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하면 약관규제법은 내용통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약관조항을 적극적으로 규정하거나, 대상이 되지 않은 예외를 명문의 규정을 통하여 제외시키고 있지 않다. 그러나 약관규제법에서 명문의 규정으로 내용통제 대상을 제한하고 있지 않더라도 약관규제법에 의한 내용통제가 가지고 있는 계약법 내에서의 내재적 한계 또는 우리 법제가 기초로 하고 있는 일반원칙에 기하여 내용통제가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우리 약관규제법 제정에 많은 영향을 준 독일 민법은 내용통제의 대상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문의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률규정의 내용 자체가 명확하지 아니하여 그 구체화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 규정의 적용범위에 관하여 독일에서 학설상 논란이 많았다.
      현재 우리 다수설은 독일의 논의를 받아들여서 (1) 급부와 반대급부에 관한 합의내용과 (2) 법문반복조항은 내용통제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명문의 규정이 없다 보니, 실무에서는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도 약관규제법에 의한 내용통제를 하려는 사례를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우리 학설은 원칙적 내용만을 선언하고 있을 뿐이지, 구체적으로 내용통제 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과 한계에 관하여 자세한 논의를 하는 문헌이 많지 않다. 그런데 이론적으로나 실제 사례에서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는 영역과 되지 않은 영역의 구분이 명확한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우리 실무에서도 명확한 경계획정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논의를 참조하여 어느 정도 해석론의 명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약관규제법에 기한 내용통제에 일정한 내재적 한계가 있다는 점에 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재적 한계가 1) 법률규정의 내용을 반복하는 법문반복조항과 2) 급부내용을 정하는 조항에 있음은 명시적 입법이 없어도 인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 이와 관련하여 명확한 인식 없이 약관규제법에 기한 내용통제를 하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같은 내용을 입법적으로 명문의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법문반복조항과 급부내용을 정하는 조항의 의미는 명확해 보이나, 내용통제 영역에서 제외되는 부분과 안에 있는 부분을 실무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일 판례도 이러한 영역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자의적이다라는 비판을 독일 학계로부터 받고 있다. 또한 우리 판례와 연관된 사례를 보면 다른 영역 내지 다른 법리와의 관계성 속에서 내용통제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견 보기에는 쉬운 영역이라고 보이지만 앞으로 그 구체화가 많이 필요한 어려운 과제가 많이 남아 있는 분야라고 생각된다.
      또한 투명성 원칙과의 관계에 대하여도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학계에서 점차 투명성 원칙을 근거지우고 그 내용을 연구하는 문헌이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 판례상 명시적으로 이 원칙을 인정한 적이 없다. 또한 본 논문에서 드러났지만, 내용통제에서 제외되는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준, "키코판결과 약관규제법상의 쟁점" 법학연구소 38 (38): 131-144, 2014

      2 이병준, "전기요금 누진제와 가격결정에 대한 정당성 통제- 대전지방법원 2017. 12. 22. 선고 2017나103175 판결 -" 법조협회 68 (68): 726-762, 2019

      3 서희석, "일본의 3단계 전기요금 누진제 - 우리나라 누진제와의 비교 및 시사점 -" 한국소비자원 50 (50): 145-177, 2019

      4 이병준, "의외조항 내지 기습조항의 법률적 취급" 한국민사법학회 73 : 223-261, 2015

      5 최병규, "은행의 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에 관한 후속논의" 법학연구소 37 (37): 183-198, 2013

      6 최병규, "은행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에 대한 약관의 효력 - 대법원 2010.10.14. 선고 2008두2318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161-195, 2011

      7 유주선, "은행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 -2012년 5월 8일 선고한 독일 연방대법원 판례를 고려하여-" 한국기업법학회 27 (27): 229-251, 2013

      8 고동원, "은행 거래에 있어서 근저당권 설정 비용 부담 주체에 관한 논의의 검토" 은행법학회 5 (5): 167-189, 2012

      9 이재현, "약관의 개념"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331-364, 2003

      10 김화, "약관에 있어서 투명성 원칙에 대한 고찰 – 독일법상의 논의와 우리 약관규제법에 있어서의 함의 -" 한국비교사법학회 26 (26): 101-146, 2019

      1 이병준, "키코판결과 약관규제법상의 쟁점" 법학연구소 38 (38): 131-144, 2014

      2 이병준, "전기요금 누진제와 가격결정에 대한 정당성 통제- 대전지방법원 2017. 12. 22. 선고 2017나103175 판결 -" 법조협회 68 (68): 726-762, 2019

      3 서희석, "일본의 3단계 전기요금 누진제 - 우리나라 누진제와의 비교 및 시사점 -" 한국소비자원 50 (50): 145-177, 2019

      4 이병준, "의외조항 내지 기습조항의 법률적 취급" 한국민사법학회 73 : 223-261, 2015

      5 최병규, "은행의 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에 관한 후속논의" 법학연구소 37 (37): 183-198, 2013

      6 최병규, "은행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에 대한 약관의 효력 - 대법원 2010.10.14. 선고 2008두2318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161-195, 2011

      7 유주선, "은행근저당권설정비 부담주체 -2012년 5월 8일 선고한 독일 연방대법원 판례를 고려하여-" 한국기업법학회 27 (27): 229-251, 2013

      8 고동원, "은행 거래에 있어서 근저당권 설정 비용 부담 주체에 관한 논의의 검토" 은행법학회 5 (5): 167-189, 2012

      9 이재현, "약관의 개념"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331-364, 2003

      10 김화, "약관에 있어서 투명성 원칙에 대한 고찰 – 독일법상의 논의와 우리 약관규제법에 있어서의 함의 -" 한국비교사법학회 26 (26): 101-146, 2019

      11 이은영, "약관법과 민법의 관계, 계약내용통제 및 일부무효와 관련하여" 법학연구소 34 (34): 193-208, 2010

      12 최병규, "약관내용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한계" 한국경제법학회 12 (12): 183-200, 2013

      13 이은영, "약관규제법" 박영사 1994

      14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약관 규제의 입법" 1986

      15 서희석, "소비자계약의 법리" 부산대학교출판부 2018

      16 김진우, "불공정조항의 내용통제에 관한 몇 가지 법적 문제점 -유럽 및 독일계약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6 (36): 154-176, 2012

      17 장경환, "보통거래약관의 개념 –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2조를 중심으로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3 : 1991

      18 이병준, "민사법의 실현과 지향(윤용석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19 곽윤직, "민법주해(Ⅻ)" 박영사 1997

      20 김진우, "금융거래에서의 부수적 대가조항의 내용통제" 법학연구소 41 (41): 107-133, 2017

      21 최병규, "근저당권설정비의 부담주체에 대한 연구 -서울고등법원 2008년 11월 20일 선고 2008누7962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2 (22): 195-227, 2009

      22 황남석, "근저당권설정비용의 부담주체에 관한 고찰" 법조협회 61 (61): 5-28, 2012

      23 김진우, "근저당권설정비용의 부담에 관한 선택형 약관조항이 약관규제법 제6조의 의미에서의 불공정조항에 해당하는지 여부 - 대법원 2014. 6. 12. 선고 2013다214864 판결 -" 한국민사법학회 69 : 333-367, 2014

      24 송덕수, "근저당권 설정비용 등의 부담자 - 대상판결: 대법원 2014. 6. 12. 선고 2013다214864 판결 -" 법학연구소 22 (22): 365-407, 2018

      25 이채진, "고난도 금융투자상품과 투자자보호- 적합성원칙과 관련하여 -" 법학연구소 21 (21): 35-64, 2020

      26 정진명, "계약자유와 약관의 내용통제" 한국소비자법학회 5 (5): 65-97, 2019

      27 송덕수, "普通去來約款의 法律問題" 법학연구소 11 (11): 21-39, 2006

      28 Canaris, "Wandlungen des Schuldvertragsrechts – Tendenzen zu seiner „Materialisierung“" 200 : 2000

      29 "Staudinger BGB: AGB-Recht" 2019

      30 Niebling, "Schranken der Inhaltskontrolle nach § 8 AGB-Gesetz" Tübingen 1988

      31 Fastrich, "Richterliche Inhaltskontrolle im Privatrecht" C.H.Beck 1992

      32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2019

      33 진상범, "KIKO 사건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논점: 적합성 원칙과 설명 의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4

      34 Joost, "Der Ausschluss der Inhaltskontrolle bei Entgeltregelungen in Allgemeinen Geschäftsbedingungen" 1996

      35 Nord, "Datenschutzerklärungen – misslungene Erlaubnisklauseln zur Datennutzung Happy-Digits und die bedenklichen Folgen im E-Commerce" 2010

      36 Grigoleit, "Anlegerschutz im Wertpapiergeschäft - Verantwortlichkeit der Organmitglieder von Kreditinstituten" Bankrechtstag 2013

      37 Ulmer, "AGB-Recht: Kommentar zu den § 305-310 BGB und zum UKlaG" OttoSchmidt 2016

      38 Wolf, "AGB-Recht" C.H.Beck 2020

      39 이병준, "2014년 소비자법 판례의 동향" 1 (1): 2015

      40 지원림, "(근)저당권 설정비용의 부담자" 법학연구원 (66) : 133-16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터넷법률 -> 선진상사법률연구
      외국어명 : Internet Law Journal -> Advanced Commerci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0.862 0.8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