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은주, "현대의 공간개념과 디자인 변화에 따른 다학제적 교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13-421, 2010
2 김민영, "현대 교육 공간의 문제점과 새로운 교육 공간을 위한 제안" 175-178, 2015
3 홍순재, "핀란드 알토(Aalto) 대학교 창의적 교육환경 사례 연구" 183-184, 2013
4 조진일,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공간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남지은, "창의교육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특별실의 실내환경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6 계보경,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KERIS 한국교육헉술정보원 2011
7 송영은, "디자인 창의성 평가를 위한 테스트 모델 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117-134, 2018
8 장영중,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63-472, 2010
9 신은기,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 공간에서 소통을 위한 공간 구성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0) : 69-82, 2013
10 김자인, "디스쿨(d.School)의 디자인사고 교육"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97-108, 2015
1 심은주, "현대의 공간개념과 디자인 변화에 따른 다학제적 교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13-421, 2010
2 김민영, "현대 교육 공간의 문제점과 새로운 교육 공간을 위한 제안" 175-178, 2015
3 홍순재, "핀란드 알토(Aalto) 대학교 창의적 교육환경 사례 연구" 183-184, 2013
4 조진일,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공간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남지은, "창의교육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특별실의 실내환경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6 계보경,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KERIS 한국교육헉술정보원 2011
7 송영은, "디자인 창의성 평가를 위한 테스트 모델 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117-134, 2018
8 장영중,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63-472, 2010
9 신은기,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 공간에서 소통을 위한 공간 구성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0) : 69-82, 2013
10 김자인, "디스쿨(d.School)의 디자인사고 교육"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97-108, 2015
11 김남형, "다학제적인 디자인 교육모형을 적용한 인터랙션기반의 모션그래픽스 교육과정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533-546, 2012
12 "http://dschool.stanford.edu"
13 National Commission on Teaching & America's Future, "Team Up for 21stCentury Teaching and Learnng: What Research and Practice Reveal aboutProfessional Learnng (Condensed Excerpts)"
14 Kovacic, Z,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413-42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