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초현실 표현의 무의식 심리적 유형분석 = The typological analysis of the unconscious mind in visual surreal advertisement commun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19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광고 디자인에서 초현실주의로 표현된 작품은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시각적 콘텐츠를 기반으로 무의식 상태에서 현실과 환상이라는 두 극단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노...

      현대 광고 디자인에서 초현실주의로 표현된 작품은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시각적 콘텐츠를 기반으로 무의식 상태에서 현실과 환상이라는 두 극단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검토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기존 연구문헌을 이용하여 무의식 관련 이론과 초현실주의 용어를 정의하고 있으며, 사례를 통해 초현실주의 비주얼은 수용자에게 무의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예술적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광고 기법임을 알 수 있다. 광고디자이너가 소비자의 이러한 무의식의 감성 영역을 유도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무의식으로까지 광고표현의 확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특히 존재한다고 믿지도 않는 허구적 비주얼 내용에 왜 수용자가 경이로움을 느끼는지를 사례를 통해 유형별로 설명하였다. 그러한 모순적으로 보이는 현상에 대한 궁금함이 제기되었고 초현실주의 비주얼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그러한 궁금함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찾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ks created with surreal expressions in modern advertisement design utilize visually approachable content to explore the correlation of the two polarized concepts reality and fantasy. This study defines surrealist language through literature review ...

      Works created with surreal expressions in modern advertisement design utilize visually approachable content to explore the correlation of the two polarized concepts reality and fantasy. This study defines surrealist languag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of related references. The surrealist visual is an advertisement method that arouses unconscious sentiments of the beholder and invites for artistic experience. Should the advertisement elicit such unconcious sensitivity of the consumers, the designer furthers the boundary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to the unconcious level.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e thesis explains on a typological level why consumers feel awe and wonder within such fictional, inexisistent visual content. Inquiries have been raised on the ironical phenomenon, and the thesis’ attempt to resolve the intellectual curiosity bears significant mea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초현실주의 광고와 심리적 유형
      • 4. 심리적 유형별 사례 분석
      • 5.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초현실주의 광고와 심리적 유형
      • 4. 심리적 유형별 사례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