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법학자 루돌프 폰 예링(1818-1892)은 영미 사법권에서는 법학계의 마크 트웨인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그의 책들(일부)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고, 실제로 그의 탁월한 문장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98177
신동일 (한경대학교)
2022
Korean
Jhering ; Interessenjurisprudenz ; Zweckgedanken ; Historische Schule ; Rechtsdogmatik ; Normentheorie ; 예링 ; 이익법학 ; 목적사상 ; 역사학파 ; 법적 도그마틱 ; 규범론
KCI등재
학술저널
165-215(5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법학자 루돌프 폰 예링(1818-1892)은 영미 사법권에서는 법학계의 마크 트웨인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그의 책들(일부)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고, 실제로 그의 탁월한 문장과 ...
독일 법학자 루돌프 폰 예링(1818-1892)은 영미 사법권에서는 법학계의 마크 트웨인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그의 책들(일부)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고, 실제로 그의 탁월한 문장과 풍요로운 사상이 법학자로만 평가하기 어려운 요소도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예링은 프랑스혁명으로 인한 영향력과 유럽의 개혁사상이 뜨거웠던 분위기에서 부흥한 로마법의 개념논쟁만을 추구하던 법학계와 그와 달리 사회적 이해관계로 인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논쟁의 가운데에서 활동한 학자이다.
국내에서 널리 알려진 “권리를 위한 투쟁”은 재직하던 비엔나대학을 떠나 1871년 건국한 독일제국의 괴팅엔대학으로 옮기기 전 1872년 오스트리아 법률가협회에서 행한 연설을 확대한 책이다. 그는 이 책 이전에 이미 가장 유명한 로마법의 정신 전 4권을 출간한 바 있다. 역사법학파의 창설자 사비니의 정신적 후계자로, 그리고 실제로 판덱텐학자 푸흐타의 제자였던 예링은 초기 경력을 역사법학파 로마법 학자로서 시작하였다. 그러던 중 그는 19세기 중반부터 로마법을 강의하면서 고대 로마법은 전승될 존재론적 원칙이 아니라, 고대 로마인들의 정신 속에서 있던 법을 통한 이해관계 조정 도구로서의 사회 구성 원칙으로 파악하기 시작했다. 이 강의 결과들은 후에 “로마법의 정신” 전4권으로 출간되었다. 그의 “권리를 위한 투쟁”은 사실 “로마법의 정신”을 축약하여 강연으로 옮긴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후에 이를 더 정밀하게 요약한 “법의 목적” 전2권을 출간한다.
필자의 생각에 신학의 그늘에서 벗어나서 법학 자체의 이론을 정립한 것은 사비니로 보인다. 그런면에서 19세기 법전논쟁은 단순히 새로운 법전의 필요성에 대한 논란이라기 보다는 당시 독일 법학자들간 법에 대한 이해(방법론)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치적 필요를 바로 반영하는 법이 아니라 사회와 문화적 배경, 그리고 그 관계에서 발전하는 법학을 찾는 일은 역사법학파의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그들의 방법론의 소재가 된 로마법원리들에 대한 이해 차이는 예링이 이 학파를 떠나 새로운 자연과학적 법기술을 제안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경전적 신념을 계승하는 신학적 도그마틱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법이성과 원리를 통해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법 도그마틱은 예링의 로마법이론의 해부학적 분석과 재해석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지 모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erman law professor, Rudolf von Jhering was once regarded as the Mark Twain in sardonic humour. He has tried to modernize then German legal theories by analyzing and deep interpreting the republican Roman law. Jhering also pushed natural scientific...
A German law professor, Rudolf von Jhering was once regarded as the Mark Twain in sardonic humour. He has tried to modernize then German legal theories by analyzing and deep interpreting the republican Roman law. Jhering also pushed natural scientific methods into legal education to jettison its old ontological tediousness. He began professional career as a member of the historical school of jurisprudence proposed by Friedrich Carl von Savigny who was famous in pamphlet disputes between Anton Friedrich Justus Thibaut over the new German civil code in 1814. The school formulated an organic theory of legal and social evolution. Backing up his teacher Georg Friedrich Puchta, he joined the scene until coming out a series of book in title of the Sprits of Roman Law(Geist des römischen Rechts I-IV).
Far unlike other Roman law researchers who scrutinized themselves as uptight following (Begriffsjurisprudenz), Jhering anatomized the legal thoughts of Roman law piece by piece. And in the lecture for leaving Vienna university, he articulated that law was a tool for hunting down their interests, not for the conventional peace due. After the lecture, he printed the Struggle for Law(Der Kampf um’s Recht), a bestselling book all time. Through the book he was focused from the world and other academic fields. Later he simplified the SRL(Geist) into the Purpose in Law(Zweck im Recht), 2 volumes of book. He was extraordinarily success in publishing and admiring the audiences of the world. An orthodox pandectist became worldly recognizable. Many languages were able to enshrine his ideas to various legal cultures including Korea.
The first Korean version of the SfL was translated by Professor Jai-Woo Shim in 1977, lately it is rehabilitated by his chair successor Jai-Wang Yoon. It paid well attention but in some extent the book only was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gist of his whole ideas. Many other SfLs in Korean came out. To chase somebody’s thought is to read through the prime sets. The SRL, the PiL, and the SfL will be the keys to open it out as Rudolf von Jhering pioneered. In this essay, I would like to summarize those books in a small dining table for readers. It is not a big work though, I hope it could legitimate that the first translator Professor Shim took us to see what Professor Jhering–then tiny Koreans knew about–has ever dedicated himself for the futuristic settings of modern jurisprud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재,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vs 토마스 아퀴나스" 6 : 101-222, 2000
2 이상돈,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 Lizst, "형법에 있어서 목적사상" 15 : 133-188, 1977
4 문병효, "행정법 도그마틱의 변화에 관한 시론" 3 (3): 139-158, 2010
5 이상돈, "해킹의 형법적 규율 방안" (546) : 85-121, 2002
6 Wieacker, "판덱텐 법학과 산업혁명" 47 (47): 341-367, 2006
7 서을오, "티보와 사비니의 법전편찬 논쟁에 대한 재평가" 법학연구소 25 (25): 501-519, 2021
8 오세혁, "켈젠의 법이론의 발전과정" 7 (7): 425-450, 2005
9 서을오, "채권법의 학설사적 기초 연구 (1):법학제요체계와 판덱텐체계" 한국법사학회 (30) : 291-305, 2004
10 양금희, "종교개혁과 교육개혁" 애영커뮤니케이션 2017
1 이경재,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vs 토마스 아퀴나스" 6 : 101-222, 2000
2 이상돈,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 Lizst, "형법에 있어서 목적사상" 15 : 133-188, 1977
4 문병효, "행정법 도그마틱의 변화에 관한 시론" 3 (3): 139-158, 2010
5 이상돈, "해킹의 형법적 규율 방안" (546) : 85-121, 2002
6 Wieacker, "판덱텐 법학과 산업혁명" 47 (47): 341-367, 2006
7 서을오, "티보와 사비니의 법전편찬 논쟁에 대한 재평가" 법학연구소 25 (25): 501-519, 2021
8 오세혁, "켈젠의 법이론의 발전과정" 7 (7): 425-450, 2005
9 서을오, "채권법의 학설사적 기초 연구 (1):법학제요체계와 판덱텐체계" 한국법사학회 (30) : 291-305, 2004
10 양금희, "종교개혁과 교육개혁" 애영커뮤니케이션 2017
11 박은정, "자연법의 문제들" 세창출판사 2007
12 윤철홍, "예링의 법사상" 한국법철학회 10 (10): 107-148, 2007
13 김학태, "예링(Rudolf von Jhering)의 법사상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31) : 715-743, 2008
14 양창수, "예링 다시 지상에서 –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39 (39): 73-101, 1999
15 김영희, "영국법, 스코틀랜드법, 미국법, 그리고 로마법" 한국법사학회 (52) : 7-58, 2015
16 이원상, "스토킹 처벌규정 도입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4 (24): 147-186, 2013
17 Kelsen, "순수법학" 세창출판사 1998
18 Schorske, "세기말 비엔나" 생각의 나무 2014
19 이상수, "사비니에서 법의 역사성" 한국법사학회 (23) : 5-26, 2001
20 이동희, "사비니(F. C. v. Savigny)와 역사법학" 법학연구소 33 (33): 65-86, 2009
21 김성훈, "볼프의 윤리학에서 자연법(Gesetz der Natur) 이론" 철학연구소 61 : 99-126, 2020
22 Kelsen, "법학의 문제점에 대한 서론" 박영사 2018
23 배종대, "법이론이란 무엇인가?" 25 : 1-71, 1987
24 Cicero, "법률론" 한길사 2007
25 Popper, "반증과 추측 I" 민음사 2001
26 Livius, "리비우스 로마사, 제1권-제4권" 현대지성 2020
27 Machiavelli, "로마사 논고" 한길사 2018
28 김영희, "독일 대학의 성립과정과 독일 대학에서 자유, 자치, 그리고 개혁" 법학연구원 31 (31): 477-499, 2007
29 Ambos, "나치 형법" 박영사 2022
30 신동일, "기소책임제: 법체계 정형화와 공판중심 형사절차"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31 (31): 115-148, 2020
31 윤재왕, "“법, 도덕 그리고 사실” - 비얼링의 승인설에 대한 켈젠의 비판" 법학연구원 54 : 1-31, 2009
32 Jhering, R.v, "Zweck im Recht, 1.Bd" Breitkopf & Härtel 1877
33 Felix, D, "Zur verfassungsrechtlichen Relevanz einer juristischen Argumentationsfigur" J.C.B.Mohr 1998
34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Zum Wohle Aller: Geschichte der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von ihrer Gründung 1737 bis 2019" Steidl 2019
35 Puchta, G.F, "Zu welcher Klasse von Rechten gehört der Besitz? Beantwortet durch eine Klassifikation der Rechte überhaupt" Rheinisches Museum für Jurisprudenz 289-308, 1829
36 Feuerbach, P.J.A. v, "Wiederabgedruckt in Feuerbachs kleinen Schriften vermischten Inhalts" Nürnberg 133-151, 1833
37 Esser, A, "Vorverständnis und Methodenwahl in der Rechtsfindung" Fischer- Athenäum-Taschenbuch Verlag 1972
38 Hegel, G.W.F,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Bd.1" Meiner 1955
39 Savigny, F.C.v, "Vom Beruf unserer Zeit für Gesetzgebung und Rechtswissenschaft" Mohr & Zimmer 1814
40 Thon, A, "Untersuchungen zur allgemeinen Rechtslehre, 8" Weimar Herman Böhlau 1878
41 Stolleis, M, "Transfer normativer Ordnung: Baumaterial für junge Nationalstaaten. Forschungsbericht über ein Südeuropa-Projekt" 20 : 72-84, 2012
42 Stern, "Thibaut und Savigny. Zum 100jährigen Gedächtnis des Kampfes um ein einheitliches bürgerliches Recht für Deutschland 1814-1914"
43 Berman, H.J,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Legal Thought"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44 Savigny, F.C.v, "System des heutigen römischen Rechts, Bd. I-VIII" Veit 1849
45 Aquinas, T, "Summa Theologica" 2018
46 Kibre, P, "Scholarly Privileges. Their Roman Origins and Medieval Expression" 59 (59): 543-567, 1954
47 Jhering, R.v, "Scherz und Ernst in der Jurisprudenz, neu herausgeben von Max Leitner" Linde Verlag Wien Gesellschaft 2009
48 Thibaut, A.F.J, "Savigny und Thibaut. Ihre program- matischen Schriften" Vahlen 2002
49 Varvaro, M, "Ricerche sulla praescriptio" Torino 2008
50 Engisch, K, "Rezension zu Theodor Jaehner: Der Mythos vom Recht und seine empirischen Grundlagen" AcP 116-120, 1936
51 Diestelkamp, "Reichskammergericht und Rechtsstaatsgedanke, Die Kammerjudikatur gegen die Kabinettsjustiz" C.H.Müller 1994
52 Esser, A, "Rechtsvergleichende Beiträger zur Rechtsquellen-und Interpretationslehre" Mohr 1990
53 Aarnio, "Rechtstheorie 12" 423-448, 1981
54 Schlosser, H, "Rechtsentwicklungen im europäischen Kontext" C.H.Müller 2001
55 Wieacker, F, "Privatrechtsgeschichte der Neuzeit" Vandenhoeck & Ruprecht 1967
56 Hartmann, N, "Philosophie der Natur. Abriß der speziellen Kategorienlehre" De Gruyter 2015
57 Grotius, H, "Opera Omnia Theologica, 4.Bd" Leinen 1972
58 Binding, K.G, "Normen und ihre Übertretung, Bd.I" 1890
59 Mühllenbruch, C.F, "Nach den Grundsötzen des römischen Rechts" Ernst Mauritius 1817
60 Luig, K, "Luig, Römisches Recht, Naturrecht, Nationales Recht" Goldwach 1998
61 Mühllenbruch, C.F, "Lehrbuch der Institutines des römischen Rechts" C.A. Schwestschke und Sohn 1847
62 Bierling, E.R, "Juristische Prinzipienlehre, Bd.1" J.C.B.Mohr 1894
63 Behrends, "Jherings Antrittsvorlesung vom 16" Wallstein 1998
64 Merkel, A, "Jahrbücher für die Dogmatik des bürgerlichen Rechts, Bd.32" Verlag von Gustav Fischer 1893
65 Jhering, R.v, "Jahrbücher der Dogmatik des bürgerlichen Rechts" G. Fischer V-, 1857
66 Draper, G.I.A.D, "Hugo Grotiu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67 Hammerstein, "History of German Universities" 8 (8): 139-145, 1987
68 Barth, K, "Gesammtausgabe" Theologische Verlag Zürich 2014
69 Tönnis, F,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Bd.1-Bd.2" De Gruyter 1912
70 Jhering, R.v, "Geist des römischen Rechts auf den verschiedenen Stufen seiner Entwicklung, Bd.I(1852), Bd.II/1, Bd.. II/2, Bd. III/1(IV)" Breitkopf und Härter 1891
71 Starack, C, "Empirie in der Rechtsdogmatik" 609-613, 1972
72 Kaufmann, Arth, "Einführung in die Rechtsphilosophie und Rechtstheorie in der Gegenwart" C.H.Müller 2016
73 Goldschmidt, J, "Eine Kritik des prozessualen Denkens, Abhandlung aus Berliner Juristischen Fakultät 2" Scientia 1962
74 Kroppenberg, I, "Die Plastik des Rechts, Sammlung und System bei Rudolf von Jhering" Duncker & Humblot 2015
75 ahrendorf, A, "Die Historische Schuld der Ökpnpmie" 2004
76 Engisch, K, "Die Einheit der Rechtsordnung" C. Winter 1935
77 Schöler, C, "Deutsche Rechtseinheit: partikulare und nationale Gesetzgebung (1780-1866)" Böhlau Verlag 2004
78 Aarnio, "Denkweisen der Rechtswissenschaft" Springer Verlag 1979
79 Welzel, H, "Das deutsche Strafrecht. Eine systematische Darstellung" Walter de Gruyter & Co 1960
80 Hartmann, P.C, "Das Heilige Römische Reich deutscher Nation in der Neuzeit 1486–1806" Reclam 2005
81 Hartmann, N, "Aufbau der realen Welt. Grundriß der allgemeinen Kategorienlehre" De Gruyter 1940
82 May, L, "Ancient Legal Thought. Equity, Justice, and Humanness. From Hammurabi and the Pharaohs to Justinian and the Talmu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83 Purkiss, D, "A People‘s History" Harper Press 2012
84 Krook, J, "A Brief History of Legal Education: A Battle Between Law as a Science and Law as a Liberal Art" (17) : 30-61, 2017
85 Batiffol, H, "97 RECUEIL DES COURS" 431-485, 1959
86 Cassin, R, "34 RECUEIL DES COURS" RECUEIL DES COURS 655-702, 1930
불법행위에 대한 예방청구권 - 민법전으로의 체계조화적 편입을 위한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