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인증 영역 중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영역에 어떠한 평가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미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4541
2006
-
375
학술저널
125-14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인증 영역 중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영역에 어떠한 평가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미국...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 관리를 위한 평가인증 영역 중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영역에 어떠한 평가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미국 NAEYC의 Accreditation Criteria & Procedures(1998년)와 호주
NCAC의 QIAS(Quality Improvement and Accreditation System)의 Quality Practices Guide의
기준,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가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의 건강, 영양, 안전 영역을 비교⋅분
석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건강과 영양영역에는 조리자의 건강검진과 그 기록 보관 항목이 포함되어져야 하
며, 안전영역에는 학대와 방임에 대한 보고의무 항목과 소풍 및 현장견학 시 안전점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의 선진국의 사례를 통하여 평가인증에 관련된 연구를 확장하
고, 건강과 영양 그리고 안전영역에 포함되어야 할 평가내용들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직 지향성 및 지향이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