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주는 표현력이 강한 글자체이다. 전달하려는 문화적 메세지와 특성에 따라 표현될 수 있는 캘리그래피의 기능과 영역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72576
2012
-
KCI등재
학술저널
81-91(1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주는 표현력이 강한 글자체이다. 전달하려는 문화적 메세지와 특성에 따라 표현될 수 있는 캘리그래피의 기능과 영역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따...
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주는 표현력이 강한 글자체이다. 전달하려는 문화적 메세지와 특성에 따라 표현될 수 있는 캘리그래피의 기능과 영역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존하고 있는 전통서체들과 현재 쓰이고 있는 한글 서체(폰트)와 캘리그래피의 표현유형을 분류하고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어 사용되고 새롭게 표현되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사용범위는 캘리그래피 중 한글에 한하였으며, 역사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현재까지 이루어진 캘리그래피의 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필법의 의한 서체 분류로 제한한다.
캘리그래피 표현 유형의 전통필법 서체는 원방각이 뚜렷하며 획의 굵기가 일정하고 장중한 무거운 느낌을 준다. 이 서체는 전통적인 내용을 목적으로 하는 매체에 사용되고 있으나 주목성이 높지 못한 관계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전통서체를 변형한 서체는 전통적인 한글서체의 기반 위에 각진 부분의 획을 굴려 부드럽게 표현하거나 획의 굵기 변화를 주어 주목성을 강조한다. 이는 주로 시각적 비주얼이 큰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며, 역동적이고 강한 표현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독창적 서체는 획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장식적인 미를 주고, 불안정한 획과 스크래치를 줘서 재질감을 느끼는 독특한 서체미를 나타낸다. 이처럼 캘리그래피 디자인이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문자가 의미전달 기능 뿐 아니라 예술표현의 기능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mind4. 0 기획, "한글의 새로운 시도" 서울안그라픽스 1999
2 안상수, "한글디자인" 안그라픽스 1999
3 유정미, "한글 조형성의 자유로운 탐구" design NET 2003
4 심진수, "캘리그래피 개념의 한글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5 "청주인쇄출판박람회 도록, 직지에서 디지털까지" 청주 인쇄 출판박람회조직위원회 2000
6 윤양희, "조선시대 한글서예" 미진사 1994
7 "정글 창간호"
8 김일근, "월간서예"
9 김종건, "서양과 동양의 캘리그래피 차이점"
10 윤양희, "바른 한글서예" 1984
1 mind4. 0 기획, "한글의 새로운 시도" 서울안그라픽스 1999
2 안상수, "한글디자인" 안그라픽스 1999
3 유정미, "한글 조형성의 자유로운 탐구" design NET 2003
4 심진수, "캘리그래피 개념의 한글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5 "청주인쇄출판박람회 도록, 직지에서 디지털까지" 청주 인쇄 출판박람회조직위원회 2000
6 윤양희, "조선시대 한글서예" 미진사 1994
7 "정글 창간호"
8 김일근, "월간서예"
9 김종건, "서양과 동양의 캘리그래피 차이점"
10 윤양희, "바른 한글서예" 1984
11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디자인 사전.Marcolm couch, Calligraphy" SMITHMARK 1996
12 로베르마쌩, "글자와 이미지" 미진사 1994
13 강신혁, "국내 영화 타이틀 로고타입(Title Logotype)의 캘리그래피(Calligraphy)에 관한 연구 : 한글 캘리그래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4 JAGDA 교육위원회, "VISUAL DESIGN Volume 2" 아트북 1995
15 Michalel Beaumont, "Typography&Color" 예경출판사 1993
경상남도 특허종합정보컨설팅사업 디자인 연구개발 -사천시, 하동군, 함양군을 중심으로-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 디자인전문회사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사용자 태도에 근거한 가치공학적 UX/UI 디자인 평가모형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8-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1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 ![]() |
2010-11-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9-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