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이미지축제 활성화방안 연구- 군포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an Activation Plan for the Image Festival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Centering on Cases of Gunpo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2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제가 실시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반영하여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문화자원을 이용하는 효과적인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지역축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이미지를 강화시키며 지역주민의 화합을 도모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의 현황과 유형을 파악하고 지역의 경제·사회·문화적 효과를 분석을 통해 지역축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확인한 후 지역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디지털콘텐츠 관점에서의 군포시 이미지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지방자치제가 실시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반영하여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문화자원을 이용하는 효과적인 발전 전략을 모...

      지방자치제가 실시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반영하여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문화자원을 이용하는 효과적인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지역축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이미지를 강화시키며 지역주민의 화합을 도모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의 현황과 유형을 파악하고 지역의 경제·사회·문화적 효과를 분석을 통해 지역축제의 효과와 문제점을 확인한 후 지역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디지털콘텐츠 관점에서의 군포시 이미지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주근, "향토문화제의 현대적 의의" 10 : 51-60, 1982

      2 류정아, "한국지역축제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7-31, 2006

      3 유럽사회문화연구소, "축제정책과 지역현황" 연세대학교 출판부 142-, 2006

      4 류정아, "축제인류학" 살림출판사 2003

      5 김영수,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58-59, 2006

      6 이승균, "지역축제의 정책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2004

      7 신현식, "지역축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2007

      8 김문환, "지역문화발전론" 문예출판사 177-, 1998

      9 유진룡,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정책방향 연구" 서울대학교 1987

      10 이무용, "서울형 축제발전 및 체계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1-, 2005

      1 장주근, "향토문화제의 현대적 의의" 10 : 51-60, 1982

      2 류정아, "한국지역축제조사평가 및 개선방안연구" 7-31, 2006

      3 유럽사회문화연구소, "축제정책과 지역현황" 연세대학교 출판부 142-, 2006

      4 류정아, "축제인류학" 살림출판사 2003

      5 김영수,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58-59, 2006

      6 이승균, "지역축제의 정책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2004

      7 신현식, "지역축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2007

      8 김문환, "지역문화발전론" 문예출판사 177-, 1998

      9 유진룡,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정책방향 연구" 서울대학교 1987

      10 이무용, "서울형 축제발전 및 체계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1-, 2005

      11 Harvey Cox, "바보제" 현대사상사 41-43, 1982

      12 김승환, "문화담론과 지역문화의 역할" 문예연구사 49-68, 2006

      13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의 변화와 성과(1996∼2005)" 문화관광부 95-, 2006

      14 김철원, "문화관광축제 육성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 2002

      15 임병호, "대전시 원도심 활성화 방안" (15) : 35-46,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