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사회, 문화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적인 삶을 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차원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예술분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86550
양재희 (한남대학교 미디어 영상 전공)
2019
Korean
가상현실 ; 몰입 ; 상호작용 ; 하이데거 ; 세계-내-존재 ; virtual reality ; immersion ; interaction ; Heidegger ; being-in-the-world
KCI등재
학술저널
117-128(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사회, 문화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적인 삶을 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차원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예술분야...
최근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사회, 문화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적인 삶을 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차원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예술분야도 예외 없이 이러한 가상현실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작품을 통해 그것의 다양한 표현과 활용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 다. 그러나 최근 가상현실 예술작품에 대한 분석은 상당부분 기술 중심으로 논의되거나, 디바이스의 유 형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으로 가상현실 예술작품이 점점 더 증가한다고 할 때, 이러한 기술적 논의 외에 좀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가상현실 예술작품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의 개념을 가상세계에 적용하여 가상현실기술을 기반 으로 한 예술작품을 이해하여보고자 한다. 즉 가상세계에 대한 이해와 가상세계에서 참여자의 존재방식,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작품들과는 다르게 가상현실 예술작품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 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의미론적 고찰을 통하여 가상현실 예술작품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의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가상현실 예술작품이 추구해야할 의미와 가치, 그리고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have been growing rapidly across social, cultural and various industrial sectors, transforming our daily lives to a level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The field of art is not exempted from t...
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have been growing rapidly across social, cultural and various industrial sectors, transforming our daily lives to a level that has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The field of art is not exempted from this, and we are experimenting with various expressions and the possibilities of the utilization of these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through our works. However, recent analyses of virtual reality artworks mostly focus on technology, or mainly on studies that classify and analyze works according to the type of device used. As virtual reality artworks are gradually becoming more prevalent, there is a need to look at virtual reality artworks at a more fundamental level beyond these technical discussion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works of art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by applying Heidegger's concept of world-in-the-existence to the virtual world.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ask questions about how the virtual world is understood, how visitors exist in the virtual world, and what can be felt through virtual reality artworks, unlike other artworks. Through these semantic considerations, we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n ontological analysis of virtual reality artworks and further surmise the meanings, values, and directions that virtual reality artworks should pursu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부경, "제프리 쇼(Jeffrey Shaw)의 뉴미디어 설치미술: 물리공간과 가상공간 사이의 긴장" 서양미술사학회 (37) : 145-170, 2012
2 이미경, "뉴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특성 연구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13-21, 2017
3 임수연,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뉴미디어아트의 사례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7 (17): 41-48, 2017
4 전혜숙, "가상현실 기반의 뉴미디어아트: 물질 혹은 비물질" 서양미술사학회 (34) : 259-283, 2011
5 박현정, "가상 현실에 대한 한 존재론적 고찰" 한국하이데거학회 (37) : 133-163, 2015
6 Asia Art Archive in America, "VR Project"
7 Cluett, S., "To notice and remember"
8 "Sentient Flux"
9 Plant, N., "Sentient Flux"
10 Metrick-ChenMay, L., "Seeing with the Body"
1 손부경, "제프리 쇼(Jeffrey Shaw)의 뉴미디어 설치미술: 물리공간과 가상공간 사이의 긴장" 서양미술사학회 (37) : 145-170, 2012
2 이미경, "뉴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특성 연구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6 (26): 13-21, 2017
3 임수연,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뉴미디어아트의 사례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7 (17): 41-48, 2017
4 전혜숙, "가상현실 기반의 뉴미디어아트: 물질 혹은 비물질" 서양미술사학회 (34) : 259-283, 2011
5 박현정, "가상 현실에 대한 한 존재론적 고찰" 한국하이데거학회 (37) : 133-163, 2015
6 Asia Art Archive in America, "VR Project"
7 Cluett, S., "To notice and remember"
8 "Sentient Flux"
9 Plant, N., "Sentient Flux"
10 Metrick-ChenMay, L., "Seeing with the Body"
11 Augé. M., "Non-place_Introduction to the Anthropology of the Supermodernity" AkaNet 2017
12 Jin, J. K., "Media Art-the front line of art" Humanist 155-178, 2009
13 Sung, H. K., "Heidegger-a journey to existence" Yimun Publishing Co. 2009
14 Park, C. K., "Heidegger's 'Being and Time' reading" GreenB 2014
15 임익수, "HMD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디자인 방법론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영상학회 14 (14): 91-106, 2016
16 "Future Architecture-10,000 Moving Cities"
17 South China Morning Post, "Chinese artist Lin Yilin teams up with Nonny de la Peña, the ‘godmother of VR’"
18 Lee, M., "10,000 Moving Cities"
사회적 가면의 이탈-회귀를 위한 디지털설계와 제어- “Mirror Mask :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를 중심으로
노동과 여가의 경계공간으로서 예술적 가상현실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3D 드로잉과 빛으로 소환된 원초적 풍경 - < Beyond 2017-19 > 작품을 중심으로
매체의 확장을 통한 일상성의 탐구 - 본인의 회화, 디지털 프린트, 영상작업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