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인구가 125만을 훨씬 상회하는 현 시점에서 단기간 압축 성장을 보여준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하여 점검과 반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우리 한국 사회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26488
2011
Korean
신화 ; 스토리텔링 ; 다문화가족 ; 다문화정책 ; 다문화이해교육 ; 몽골 ; 베트남 ; 단군신화 ; 동아시아 ; Myth ; Storytelling ; Multicultural Families ; Multicultural Families Policy ;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 Mongolia ; Vietnam ; Dangun Mythology
004
KCI등재
학술저널
195-213(19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 인구가 125만을 훨씬 상회하는 현 시점에서 단기간 압축 성장을 보여준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하여 점검과 반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우리 한국 사회는...
다문화 인구가 125만을 훨씬 상회하는 현 시점에서 단기간 압축 성장을 보여준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하여 점검과 반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우리 한국 사회는 다문화 가족에 대해 ‘하나’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편견, 부적응, 차별이 여전하며 인종 갈등, 가족 해체와 같은 사회병리현상이 점증하는 추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진행되는 상황에 덧붙여 최근의 문화콘텐츠 연구 가운데 신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한국신화, 설화, 민담에 대한 문화원형 발굴 및 재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 근거할 때 다문화가족과 다문화이해교육을 통합하는 다문화콘텐츠의 개발은 시대적 과제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결혼 이민자의 출입국 비중이 커지고 있는 몽골(동북아시아)과 베트남(동남아시아)의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유사성과 차이성을 단군신화의 생태소를 비교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몽골, 베트남, 한국의 건국신화에서 토테미즘 사상과 육화 현상, 천지인의 조화 등을 공통적으로 발견(유사성)한 반면 생태적 적소 개념으로 볼 때 동물, 식물의 특수성(차이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건국신화 연구를 토대로 스토리텔링 방식을 활용한 다문화이해교육을 위해 문화원형의 발굴과 재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의 신화를 다른 민족의 신화와 비교해 봄으로써 ‘같음’과 ‘다름’을 인식하는 것이 다문화이해교육의 방향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다름’이란 차별성이 담기지 않은 ‘다양성’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민족 정체성 탐구는 물론 다른 민족의 문화까지 존중할 수 있게 된다. 무지개가 아름다운 것은 일곱 색깔 각각이 혼재(chaos)되기보다 고유한 조화(cosmos)를 이루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ies are one of the greatest issues in our modern societies. We reflect on our’s multicultral families policy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Recently, It is significant to attention that the storytelling use ...
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ies are one of the greatest issues in our modern societies. We reflect on our’s multicultral families policy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Recently, It is significant to attention that the storytelling use myths in study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should be used to maximize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East Asian My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Mongolia with Vietnam in nation-founding myths and analyse cultural archetype using storytelling in east asian myths. Therefore, I found the similarities sand difference between Mongolia with Vietnam in nation-founding myths. The similarities are Totemism, Incarnation and harmony between Mongolia with Vietnam in nation-founding myths. The Difference is an ecological niche between Mongolia with Vietnam in nation-founding myth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field of discussion on new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ont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숙,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9
2 송복,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현대문학 1990
3 정연희, "우리나라 다문화이해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2008
4 서상필, "신화를 통한 다문화교육방안" 영남대학교 2008
5 한윤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세신화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6 비얼레인 J.F, "세계의 유사신화" 세종서적 1996
7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8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2003
9 최병욱, "동남아시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10 양기호, "달라도 다함께: 지자체에 예산-권한 넘겨야"
1 김의숙, "한국신화와 스토리텔링" 북스힐 2009
2 송복,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현대문학 1990
3 정연희, "우리나라 다문화이해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2008
4 서상필, "신화를 통한 다문화교육방안" 영남대학교 2008
5 한윤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세신화 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6 비얼레인 J.F, "세계의 유사신화" 세종서적 1996
7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8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2003
9 최병욱, "동남아시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10 양기호, "달라도 다함께: 지자체에 예산-권한 넘겨야"
11 김유경, "다문화사회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2 김은미, "다문화사회, 한국" 나남 2009
13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사회과교육학회 (4) : 2000
14 노승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2006
15 설동훈, "결혼이민자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지원장책방안연구" 여성가족부 2006
16 조현설, "건국신화의 형성과 재편에 관한 연구:티벳,몽골,만주,한국신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1998
17 Cohen R, "Global Diaspora: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18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2010
19 문화체육관광부, "009 문화정책 백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역사교과서를 매개로 한 역사교육 주체들의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분석을 위한 시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5 | 1.46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