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재담당 초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 = Novice Teachers"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3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국 P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토요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수업 관찰, 교수-학습과정안 및 수업 평가서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국 P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토요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수업 관찰, 교수-학습과정안 및 수업 평가서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재담당 초임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수업 특성을 분석하였다.<BR>  그 결과 첫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육이 영재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잠재력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영재교사는 안내자, 촉진자, 도우미, 역할 모델, 멘토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학습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나 학부형의 피드백으로 학습 여부를 판단할 뿐 특정한 준거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점검하지 않았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을 유능하고 성공적인 교사라고 지각하였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전공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해서 과목을 개설하고 수업 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대부분의 자료를 인터넷, 도서관, 영재교육연구소의 자료실 등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은 전문가에 의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질문이나 피드백 제공, 학급관리 기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vice teachers"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who took part in Saturday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n U.S.A. We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vice teachers"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who took part in Saturday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n U.S.A.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ach subject and observed their classroom.<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vice teachers considered gifted education as a valuable tool for helping Gifted/Talented students develop to their full potential. Also, they believed that gifted education is an excellent learning opportunity for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levels. Second, participants perceived the gifted teachers as a role model, a guider, and a facilitatior of students" learning. Third, teachers had difficulty in judging whether lesson was successful or not. They did not have concrete criteria to confirm their students" learning. Fourth, subjects considered them as a successful teacher and planed on staying the gifted area of teaching. Fifth, teachers obtained teaching ideas and materials from the internet, books, and other teachers. Finally, participants" teaching was evaluated positively by experts as a whole, but some of their teaching skills, such as classroom management and feedback skill, need to be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초희,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의 현황과 과제" 6 (6): 37-64, 2007

      2 김경진,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25 (25): 514-525, 2005

      3 Artiles,A.J, "thinking in urban schools: The need for a contextualized research agend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4 Kagan,D.M, "of research on teacher belief" 27 (27): 65-90, 1992

      5 Doyle.W, "Theme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6 Brighton,C.M,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teachers' beliefs on classroom practices" 27 (27): 177-206, 2003

      7 Kane, R, "Telling half story: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teaching beliefs and practices of university academics" 72 (72): 177-228, 2002

      8 Pajares,M.F,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62 (62): 307-332, 1992

      9 Pintrich,P.R, "Implication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student learning and college teaching for teacher educ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10 Silverman, L. R, "How are gifted teachers different from other teachers"

      1 윤초희,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의 현황과 과제" 6 (6): 37-64, 2007

      2 김경진,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25 (25): 514-525, 2005

      3 Artiles,A.J, "thinking in urban schools: The need for a contextualized research agend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4 Kagan,D.M, "of research on teacher belief" 27 (27): 65-90, 1992

      5 Doyle.W, "Theme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6 Brighton,C.M,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teachers' beliefs on classroom practices" 27 (27): 177-206, 2003

      7 Kane, R, "Telling half story: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teaching beliefs and practices of university academics" 72 (72): 177-228, 2002

      8 Pajares,M.F,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62 (62): 307-332, 1992

      9 Pintrich,P.R, "Implication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student learning and college teaching for teacher educ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10 Silverman, L. R, "How are gifted teachers different from other teachers"

      11 Haney, J. J, "Four case studies of perspective science teachers' beliefs concerning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86 (86): 783-802, 2002

      12 Story,C, "Facilitator of learning: A micro ethnographic study of the teacher of the gifted" 29 (29): 155-159, 1985

      13 Borko, H, "Expanding a teacher’s knowledge base: A cogn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Press 1995

      14 Hativa, N, "Exemplary universit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regarding effective teaching dimensions and strategies" 72 (72): 699-729, 2001

      15 Feldhusen,J, "Educating teachers for work with talented youth"

      16 Tobin, K, "Barriers to higher-level cognitive learning in high school science" 73 : 659-682, 1989

      17 Fenstermacher,G,D,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recent research on teacher effectiven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6 1.75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